이 소설집에 수록된 첫 번째 작품 「소거된 고독」은 2017년 10월, 슈에이샤의 월간 문예지 『스바루』에 발표된 소설이다. 주인공인 90세의 현역 소설가 K는, 과거 ‘요나키소바’라는 야식 라면 장사를 소재로 발표했던 세 편의 작품을 비교해 읽으면서 자신이 왜 그런 소설을 썼고, 같은 줄거리의 소설을 반복해 쓰는 과정에서 소거된 ‘고독’이라는 단어에 담긴 의미는 무엇이었는지 고민한다. 삶의 전환점이 되었던 만남과 사건을 반추하는 K의 내면의 흐름을 점묘하는 이 소설은 자신의 삶의 궤적을 회상하며 성찰하는 자기 검증적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두 번째 작품인 「보름달 아래 붉은 바다」는 『스바루』 2020년 7월호에 발표된 소설로, 재일조선인으로서의 실존 문제와 더불어 작가 자신이 천착해온 4·3을 기억하고 애도하는 문제를 되짚는 작품이다. 「소거된 기억」과 마찬가지로 작가 김석범과 등치 관계라 볼 수 있는 노작가 K가 주인공으로 등장하며, 그의 지인인 영이라는 젊은 여성과의 『바다 밑에서, 땅 밑에서』라는 작품을 둘러싼 대화, 영이와 K의 삶이 하나의 서사로 어우러지며 자기 실존과 4·3을 애도하는 방법을 사유케 한다.
세 번째 작품인 「땅의 동통」은 『스바루』 2022년 5월호와 6월호에 발표된 소설이다. 4·3과 제주도를 시공간적 무대로 하는 『화산도』를 집필한 작가 K가 1988년에 이룬 42년 만의 한국행과 1996년, 1998년의 한국행을 둘러싼 에피소드, 산천단에서 『화산도』의 주인공 이방근과 조우하며 그의 시선을 통해 다시금 4·3의 기억과 역사를 사유하는 K의 의식의 흐름이 서사의 축을 이루며 전개되는 작품이다. K는 4·3의 희생과 기억, 그 역사의 바로 세우기가 그저 4·3만의 일이 아니고, 4·19와 5·18 등으로 이어지는 한국 현대사의 ‘깊은 광맥’ 속에 침잠해 있는 ‘죽음 안에 밴 영원한 침묵’을 대상화하고 발화하게끔 하는 주체의 감성과 문학적 상상력을 통해 비로소 시작될 수 있다고 말한다.
김석범은 『보름달 아래 붉은 바다』를 통해 자신의 실감을 중심으로 한 개인의 삶을 넘어, 4·3을 둘러싼 사회적·역사적 문맥 등을 총체적으로 다뤘다. 이를 통해 ‘인간의 자유와 해방’ 정치 권력의 ‘억압’과 ‘통제’로 소거된 죽은 자들의 목소리를 소생시키는 ‘생존의 미학’을 펼치며 차별화된 ‘투쟁’과 ‘구제’의 글쓰기를 해온 작가라는 점을 명확하게 드러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