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입체표지(3D 표지)
2D 뒤표지

新 국제지역경제론


  • ISBN-13
    979-11-6282-140-4 (93320)
  • 출판사 / 임프린트
    (주)서울경제경영출판사 / (주)서울경제경영출판사
  • 정가
    33,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5-08-22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정영규
  • 번역
    -
  • 메인주제어
    국제무역 및 상거래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국제무역 및 상거래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88 * 257 mm, 360 Page

책소개

세계경제질서는 1980년대 중반 이후 구소련의 붕괴로 동서 간 이념대립과 냉전체제가 종식되면서 경제적 이해관계에 따라 급속히 재편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세계경제질서는 범세계적 차원에서 무역자유화를 추구하는 세계무역기구(WTO) 체제가 1995년 정식으로 출범함으로써 다자주의 기능이 크게 강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EU,  일본 등이 세계 경제의 주도권을 놓고 각축을 벌이는 과정에서 지역주의가 오히려 심화되는 이율 배반적인 모습을 띠면서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에서 세계경제는 자유화 및 개방화정책, 운송수단의 발달, 정보 통신기술의 획기적인 발전등에 힘입어 국가 간 무역 및 투자를 지원하기 위한 국가 간 경제협력도 크게 강화되고 있다.
앞으로 세계 경제는 다자주의 원칙에 입각하여 범세계적 무역자유화를 추구하는 새로운 WTO 체제가 큰 틀을 유지하였지만 세계경제의 주도 권쟁탈과정에서 지역주의가 심화, 확대되면서 미주경제권  유럽경제권 및 동아시아 경제권의 3극체제를 형성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지역주의의 심화 확산은 역내국과 역외국뿐만 아니라 역내국 간 비교우위를 바꾸어 놓음으로써 역내국과 역외국의 교역 및 산업구조의 변화를 초래하여 나아가 대외통상 및 산업정책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한편, 21세기 들어오면서 세계 경제는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다  첫째는 중국의 WTO 가입이다. 이의 결과로 세계 경제는 미국과 중국이 세계경제의 패권을 두고 첨예하게 대립하면서 정치적 혼란까지 유발하고 있다. 둘째는 WTO 출범이다. 세계 각국뿐만 아니라 우리나라도 모든 시장의 개방으로 세계시장에서 경쟁력 없는 개인이나, 산업, 국가는 도태되고 있다. 셋째는 유로화의 출범과 EU의 통합이다. 이 결과는 유럽 25개국 이 하나의 국가체제로 구축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유럽은  미국과  중국과 더불어 하나의 강력한 경제중심축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넷째는 트럼프 대통령의 2기 당선으로 각국에 대한 통상압력이 강회되고 있는 중이다. 이러한 세계경제환경의 급속한 변화속에서 우리나라도 모든 경제환경의 변화속에서 생존하기 위해 국제경제환경을 이해하고 착실히 준비해야 할 것이다. 본서는 국제통상환경을 이해한다는 차원에서 학생들을 주 대상으로 하는 개설서로서의 의미가 있으며 세계경제에 관심있는 사람들에게 이행의 폭을 넓히는데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목차

머리말

Part 01  최근 세계경제의 주요 이슈와 전망
CHAPTER 01 트럼프의 당선과 1기, 2기 경제정책의 주요 내용
1.1   재정정책
1.2   통화금융정책
1.3   통상정책
1.4   산업정책
1.5   고용·이민정책
1.6   트럼프 행정부의 경제정책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
1.7   미국과 중국의 경제패권 대립

CHAPTER 02 세계화와 지역화
2.1   세계화와 지역화의 개념 
2.2   세계화의 특징
2.3   세계화의 결과
2.4   경제블록의 대두


CHAPTER 03 신경제
3.1   신경제의 대두배경
3.2   신경제현상에 대한 논란
3.3   신경제의 특징

CHAPTER 04 중국의 WTO 가입
4.1   중국의 WTO 가입
4.2   중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4.3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CHAPTER 05 유로화의 출범
5.1   유로화의 출범과 의미
5.2   유로화가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
5.3   유로화 통용에 대한 주요국의 입장

 

CHAPTER 06 국제통화기금(IMF)
6.1   설립배경과 목적
6.2   IMF의 구성
6.3   IMF의 기능
6.4   IMF 금융지원 종류 및 지원 메커니즘
6.5   SDR의 창출과 운영관리
6.6   SDR이자율 및 수수료율
6.7   기타
6.8   우리나라와의 관계

Part 02  WTO 출범과 신국제경제환경
CHAPTER 07 GATT체제의 형성과 발전
7.1   GATT 의 형성
7.2   GATT 의 조직과 기본원칙
7.3   GATT 의 활동
7.4   UR의 추진과 협상내용

CHAPTER 08 WTO의 출범과 신국제무역환경
8.1   WTO(세계무역기구) 설립
8.2   WTO 협정의 기본원칙
8.3   세계무역기구(WTO)의 조직과 기능
8.4   분쟁해결제도
8.5   무역정책검토제도(Trade Policy Review Mechanism)
8.6   WTO의 새로운 협상의제
8.7   WTO와 한국경제에 주는 의미
 

CHAPTER 09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
9.1   UNCTAD의 성립배경
9.2   UNCTAD의 발전
9.3   일반특혜관세제도(GSP)
 

CHAPTER 10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10.1   OECD 출범의 배경
10.2   OECD의 조직기구
10.3   OECD의 위원회 활동
10.4   OECD의 주요 경제정책
10.5   한국과의 관계

Part 03   지역경제협력과 발전
CHAPTER 11 지역경제통합의 이론과 발전
11.1   지역경제통합의 정의
11.2   지역경제통합의 유형
11.3   지역경제통합의 효과
 

CHAPTER 12 유럽연합(EU)
12.1   서유럽 경제통합의 전개
12.2   EU의 형성
12.3   유럽연합(EU) 조약의 주요 내용
12.4   EU의 주요 기구
12.5   EU의 확대
12.6   EMU-EPU의 추진방향

CHAPTER 13 미주지역 지역경제협력
13.1   미국의 FTA  정책
13.2   NAFTA(북미자유무역협정)
13.3   중남미 지역의 지역경제협력
 

CHAPTER 14 아시아 지역의 지역경제협력
14.1   동북아 경제협력
14.2   AFTA (ASEAN 자유무역지대)
14.3   아시아·유럽정상회의(ASEM)
 

CHAPTER 15 APEC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
15.1  APEC의 개요
15.2  APEC의 성격
15.3  APEC의 특성
15.4  APEC의 발전과정 

15.5   APEC과 한국
 

CHAPTER 16 기타 지역 경제협력체
16.1   중동지역의 경제협력기구
16.2   비(非)아랍 경제협력기구(ECO)
16.3   아프리카 지역경제협력

Part 04 국제통화기구와 외환위기 사례 분석 
CHAPTER 17 국제통화기구와 외환위기의 사례분석
17.1   국제통화제도의 변천
17.2   브레튼우즈체제에서의 외환위기
17.3   변동환율제도 (1973년 이후)에서의 통화위기

CHAPTER 18 인도네시아 외환위기 사례분석
18.1   인도네시아 경제위기의 원인
18.2   경제적 파급효과
18.3   한국에 미치는 영향
18.4   한국 경제 위기와의 유사점
18.5   IMF와 인도네시아 정부와의 합의 사항

CHAPTER 19 한국의 외환위기의 사례분석
19.1   한국의 경제위기의 원인
19.2   IMF와의 합의사항
 

참고문헌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정영규
현재: 협성대학교 글로벌통상-문화학과 교수(경제학박사)(2009. 9~2025.2 현재) 전)한신대학교 교수(2013.4~2014.8)
(부총장, 산학협력단장 특성화사업단장)역임,
한국외국어대학교 말레이 인도네시어과 졸업(1984.3~1989.2)-
한국외국어대학교 동대학원 졸업(경제학 석사)(1989.3~1991.8)
세종대학교 대학원 졸업(경제학박사)(1994.3~1998.2)
세종대 박사과정 재학중 국비장학생 선발(1995~1998.2)
University of Indonesia 인도네시아 국립대
경제학 박사 수료(1996.1-2003.6)

경력
•한국외대 경제학과 강사(1998.3~2023.2)
•한국외국어대 대학원(경제담당) 겸임교수(2003.3~2012.2)
•한국외국어대 중동연구소 연구교수(2006.9~2008.10)
•University of Indonesia 국립대 경제학부 초청교수(2003.7~2005.2)
•University of Philippines, 국립대 경제학부 초청교수(2005.7~2006.2)
•Univ. of Catholic 한국학센타 이사장(2013.7~2014.8)
•대한민국 국회 예산결산위원회 심의 평가 교수(2007~2011)
•행정자치부 국가고시 출제위원(1999.3~현재)
•한국경제학회, 한국무역학회, 문화산업학회 국제지역학회 한국중동학회
•한국이슬람학회 이사 및 부회장 (2007~2022)
•현) 화성시 경제 조정위원장(임기:2024.3~2026.2)
•현) 한국글로벌문화학회 부회장(2021~현재), 외교통상부 Arab-Africa협회 부회장, (2023.5-현재), 중동정치-경제연구회 회장
•전)한신대학교 교수(부총장, 산학협력단장 특성화사업단장)역임 ,
•현)협성대학교 글로벌통상학-문화학과 교수 겸,협성대학교 제10대 총장 후보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