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Part 01 최근 세계경제의 주요 이슈와 전망
CHAPTER 01 트럼프의 당선과 1기, 2기 경제정책의 주요 내용
1.1 재정정책
1.2 통화금융정책
1.3 통상정책
1.4 산업정책
1.5 고용·이민정책
1.6 트럼프 행정부의 경제정책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
1.7 미국과 중국의 경제패권 대립
CHAPTER 02 세계화와 지역화
2.1 세계화와 지역화의 개념
2.2 세계화의 특징
2.3 세계화의 결과
2.4 경제블록의 대두
CHAPTER 03 신경제
3.1 신경제의 대두배경
3.2 신경제현상에 대한 논란
3.3 신경제의 특징
CHAPTER 04 중국의 WTO 가입
4.1 중국의 WTO 가입
4.2 중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4.3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CHAPTER 05 유로화의 출범
5.1 유로화의 출범과 의미
5.2 유로화가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
5.3 유로화 통용에 대한 주요국의 입장
CHAPTER 06 국제통화기금(IMF)
6.1 설립배경과 목적
6.2 IMF의 구성
6.3 IMF의 기능
6.4 IMF 금융지원 종류 및 지원 메커니즘
6.5 SDR의 창출과 운영관리
6.6 SDR이자율 및 수수료율
6.7 기타
6.8 우리나라와의 관계
Part 02 WTO 출범과 신국제경제환경
CHAPTER 07 GATT체제의 형성과 발전
7.1 GATT 의 형성
7.2 GATT 의 조직과 기본원칙
7.3 GATT 의 활동
7.4 UR의 추진과 협상내용
CHAPTER 08 WTO의 출범과 신국제무역환경
8.1 WTO(세계무역기구) 설립
8.2 WTO 협정의 기본원칙
8.3 세계무역기구(WTO)의 조직과 기능
8.4 분쟁해결제도
8.5 무역정책검토제도(Trade Policy Review Mechanism)
8.6 WTO의 새로운 협상의제
8.7 WTO와 한국경제에 주는 의미
CHAPTER 09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
9.1 UNCTAD의 성립배경
9.2 UNCTAD의 발전
9.3 일반특혜관세제도(GSP)
CHAPTER 10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10.1 OECD 출범의 배경
10.2 OECD의 조직기구
10.3 OECD의 위원회 활동
10.4 OECD의 주요 경제정책
10.5 한국과의 관계
Part 03 지역경제협력과 발전
CHAPTER 11 지역경제통합의 이론과 발전
11.1 지역경제통합의 정의
11.2 지역경제통합의 유형
11.3 지역경제통합의 효과
CHAPTER 12 유럽연합(EU)
12.1 서유럽 경제통합의 전개
12.2 EU의 형성
12.3 유럽연합(EU) 조약의 주요 내용
12.4 EU의 주요 기구
12.5 EU의 확대
12.6 EMU-EPU의 추진방향
CHAPTER 13 미주지역 지역경제협력
13.1 미국의 FTA 정책
13.2 NAFTA(북미자유무역협정)
13.3 중남미 지역의 지역경제협력
CHAPTER 14 아시아 지역의 지역경제협력
14.1 동북아 경제협력
14.2 AFTA (ASEAN 자유무역지대)
14.3 아시아·유럽정상회의(ASEM)
CHAPTER 15 APEC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
15.1 APEC의 개요
15.2 APEC의 성격
15.3 APEC의 특성
15.4 APEC의 발전과정
15.5 APEC과 한국
CHAPTER 16 기타 지역 경제협력체
16.1 중동지역의 경제협력기구
16.2 비(非)아랍 경제협력기구(ECO)
16.3 아프리카 지역경제협력
Part 04 국제통화기구와 외환위기 사례 분석
CHAPTER 17 국제통화기구와 외환위기의 사례분석
17.1 국제통화제도의 변천
17.2 브레튼우즈체제에서의 외환위기
17.3 변동환율제도 (1973년 이후)에서의 통화위기
CHAPTER 18 인도네시아 외환위기 사례분석
18.1 인도네시아 경제위기의 원인
18.2 경제적 파급효과
18.3 한국에 미치는 영향
18.4 한국 경제 위기와의 유사점
18.5 IMF와 인도네시아 정부와의 합의 사항
CHAPTER 19 한국의 외환위기의 사례분석
19.1 한국의 경제위기의 원인
19.2 IMF와의 합의사항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