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입체표지(3D 표지)

학습역량이 미래다

개별화 학습코칭 입문서


  • ISBN-13
    978-89-460-7581-8 (93370)
  • 출판사 / 임프린트
    한울엠플러스주식회사 / 한울아카데미
  • 정가
    36,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5-08-20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민철홍 , 김형엽
  • 번역
    -
  • 메인주제어
    교육
  • 추가주제어
    학습법: 일반(수험서 등)
  • 키워드
    #교육 #학습법: 일반(수험서 등) #학습역량 #학습 #코칭 #인지 #정서
  • 도서유형
    종이책, 양장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53 * 224 mm, 352 Page

책소개

인공지능과 디지털 전환의 시대,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개별화’에 있다

학습역량 기반의 개별화 학습코칭이 지금 필요한 이유

 

지식과 정보가 복잡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오늘날, 교육은 형식적인 교실 수업을 넘어 삶 속에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아이들을 지원해야 한다. 이 책이 제시하는 ‘개별화 학습코칭’은 모든 아이들이 동일한 출발점에 서 있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중요하게 고려한다. 아이들은 각기 다른 기초학력, 학습 경험, 성향 그리고 가족 배경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 책은 점수를 위한 학습이 아닌, 삶을 위한 학습을 위해서 교육의 중심을 ‘표준화’에서 ‘개별화’로 이동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개별화 학습코칭에서 학습코치의 역할은 학습자의 변화와 성장이 행동으로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것이며, 이때 코칭철학을 바탕으로 한 경청, 질문, 감정 언어 활용 등 다양한 전문 코칭 기술이 필요하다. 이 책은 이러한 코칭 기술을 정의한 입문서로, 학습코칭에 대해 알아야 할 기본 내용을 담았다. 공교육 교원을 비롯해 교육 관련 종사자들에게 좋은 지침이 될 것이다.

제1부 ‘학습코칭의 이해’에서는 학습코칭의 이론적 기반을 다룬다. 학습코칭의 필요성, 학습과 코칭의 정의, 역량의 개념, 학습역량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이론적 기반뿐 아니라 학습코치가 가져야 할 태도와 신념도 중요한 요소로서 포함했다.

제2부 ‘학습코칭의 실제’에서는 인지역량, 동기역량, 사회·정서 역량, 행동역량 등 네 가지 핵심 학습역량을 비롯하여, 그릿, 학습부진, 시험불안 등 학습코칭 현장에서 꼭 다루어야 할 주요 주제들을 함께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저자가 직접 개발한 학습역량 진단검사인 ‘다면적 학습역량검사(MTLC)’를 소개한다.

 

 

 

점수를 위한 공부가 아닌, 건강한 삶을 위한 공부로 이끄는 학습코칭  

학습역량은 삶으로 나아가는 힘이다

 

학습코칭에서 다루는 ‘학습역량’은 단순히 지식을 쌓는 것을 넘어서는 개념이다. 학습역량이란, 학습을 통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변화하는 힘을 의미한다. 즉, 정보를 아는 데 그치지 않고, 그것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역량을 넓혀나가는 과정이다. 이 개념을 교과 학습에 적용해 보면, 국어 학습역량은 단순히 글을 잘 읽고 쓰는 능력을 넘어서, 국어를 통해 사고하고 표현하며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이다. 국어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이해뿐 아니라, 이를 실제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술, 그리고 국어 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책임 있는 자세, 나아가 언어를 통해 타인을 이해하고 배려하려는 가치관까지 포함한다.

이처럼 학습역량은 각 과목에 대한 단편적인 실력이 아니라, 지식, 기술, 태도, 신념과 가치를 아우르는 통합적인 능력이다. 학생이 특정 과목을 공부할 때, 단순히 ‘점수를 위한 공부’가 아니라, 그 과목을 통해 사고하고 성장하며 삶에 적용할 수 있는 힘을 기르는 것이야말로 학습역량의 진정한 의미이다. 이 책은 학습역량을 인지역량, 동기역량, 사회·정서 역량, 행동역량의 네 부문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학습코치는 학습자와 동등한 입장에서 소통하는 사람이다

코칭은 단순한 대화 기술이 아니라, 견고한 철학에 바탕을 둔 구조화된 시스템이다

 

이 책이 제시하는 학습코칭의 핵심은 학습코치와 학습자가 ‘수평적 파트너십’을 형성한다는 점이다. 이는 코칭이 일방적인 지시나 명령이 아닌, 학습코치와 학습자가 동등한 위치에서 서로 협력하며 함께 성장해 나가는 과정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학습코칭 시, 코치는 개인적인 판단, 섣부른 판단, 지시, 충고, 비난, 불평, 가정, 제언 등을 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이 책은 강조한다.

학습코칭은 학습자가 자신의 미래 행동과 문제 해결 방안을 스스로 결정하도록 돕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학습코치는 단순히 해결책을 제시하거나 지시하는 역할이 아니라, 학습자가 스스로 생각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촉진자의 역할을 한다. 즉, 코칭은 학습자가 자신의 상황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목표를 설정하며,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스스로 수립하도록 이끄는 자기 주도적인 변화의 과정이다. 코칭은 학습자가 주체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함께하는 여정’인 것이다. 이 여정의 중심에는 깊은 신뢰와 협력 관계가 자리 잡고 있다.

 

✔ 학습코칭은 ‘사람 중심 접근법’, 즉 인본주의 철학을 바탕으로 한다.

✔ 학습코칭의 기본 신념은 인간이 스스로 해답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 학습코칭의 핵심은 학습자가 자신의 변화와 성장에 대한 주도권을 갖는 것이다.

✔ 코치는 학습자에게 직접적인 조언을 주기보다는 스스로 답을 찾을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 코치는 정확한 질문 기술, 경청 기술, 통찰력 있는 전문 대화 기술을 활용하여 학습자를 돕는다.

 

 

 

인지역량, 동기역량, 사회·정서 역량, 행동역량

뇌 과학 관점에서 학습역량을 구분하는 이유

 

뇌는 신경세포, 즉 뉴런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일련의 과정은 뉴런과 뉴런 간의 신호 전달을 통해 이루어진다. 뇌가 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려면 시냅스의 다발인 신경망이 발달되어 있어야 한다. 시냅스란 뉴런과 뉴런의 상호 연접을 말하며, 하나의 뉴런은 많은 뉴런과 연접을 이룬다. 코칭에서 ‘관계’는 뉴런의 발달과 성장을 돕고 뉴런의 성장과 생존에 필요한 에너지를 제공한다. 좋은 코칭 효과란 아동을 생화학적으로 자극하여 성장에 적합한 생리적 환경을 만들어줌으로써 신경가소성을 활발하게 하는 것이다.

학습역량은 4대 영역에서 발현될 수 있는데, 이 영역 구분은 뇌와 관련이 깊다. 인간 뇌의 기능적 조직화 모형을 보면, 크게 ‘인지의 뇌’, ‘동기의 뇌’, ‘정서의 뇌’, ‘행동의 뇌’의 기능을 한다. 최근에는 사회의 뇌로 ‘사회·정서의 뇌’가 추가되었다. 학습코칭에서는 자기조절 학습의 분류와 뇌 기제에 대한 연구를 통합하여 각 영역을 구분한다.

 

✔ 인지역량에서는, 집중력과 기억력을 향상하는 전략이 핵심이다.

✔ 동기역량에서는, 목표와 동기를 자극하여 성취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전략이 핵심이다.

✔ 사회·정서 역량의 핵심은 자신을 인식하고 다른 사람과 좋은 관계를 맺는 기술이다.

✔ 행동역량에서는, 학습 계획을 세우고 학습 습관을 형성하며, 자원을 관리하는 역량이 중요하다.

 

뇌에서 정보처리 과정이 이루어지는 것처럼 코칭은 문제 해결 또는 목표 달성을 통한 ‘변화와 성장’이 이루어지는 과정이다. 코치와 고객의 관계, 즉 코칭 환경이 신경망처럼 시스템적으로 잘 구성되어 있을 때, 그 효과는 탁월하게 나타난다.

 

 

 

인지역량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선택적 주의력을 길러야 한다

동기역량은 결과가 아니라 자기 믿음에서 시작된다

 

인지역량 향상의 핵심은 집중력과 기억력을 높이는 것이다. 수업 집중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업과 무관한 사소한 자극에 주의를 빼앗기지 않고, 다시 수업으로 집중을 회복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즉, ‘선택적 주의력’이 중요한데, 학습코치는 학생이 방해 요인을 인식하고 스스로 주의력을 회복하는 전략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이렇듯 개별화 학습코칭은 학습자의 주의 조절 능력과 자기주도성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길러줄 것인가에 대한 전략적 접근을 바탕으로 한다. 집중력은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훈련을 통해 길러지는 역량이며, 학습코치는 이 훈련의 든든한 안내자이다.

기억력을 향상하는 전략도 학습에서 중요하다. 우리 뇌 안에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는 기억은 지속해서 선회하는 전류가 아니라, 물질적으로 각인되어 저장되는 것이다. 단기기억의 필터를 통과하여 장기기억화하려면 반복, 부호화, 정교화, 이미지화 등의 학습전략을 사용해야 한다.

동기역량에서 ‘성취 동기’는 개인이 어떤 목표를 이루기 위해 노력하고 도전하려는 내적 에너지를 말한다. 성취 동기가 본격적으로 형성되는 시기는 초등학교 입학 무렵이다. 이 시기부터 아이들은 또래 친구들과 비교하고, 학습이나 놀이 속에서 자연스럽게 경쟁을 경험하게 된다. 이때 경쟁에서 자주 실패하거나 지속적으로 부정적인 경험을 하게 되면, 쉽게 낙담하거나 포기하는 습관이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작은 승리나 성공 경험이 반복되면 아이는 스스로에 대한 신뢰를 키우고, 성취에 대한 즐거움과 의욕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이 시기에는 학습의 결과보다도, ‘성공을 경험하게 해주는 과정’이 매우 중요하다. 학습코치는 아이가 적절한 수준에서 도전할 수 있는 과제를 제시하고, 노력한 부분에 대해 적극적인 인정과 격려를 해주어야 한다. 예를 들어, “맞았네!”보다는 “열심히 풀었구나!”, “끝까지 해낸 게 대단해!”와 같이 노력과 과정을 칭찬해 주는 것이 효과적이다. 학습코치로서 성취 동기는 무작정 높은 목표나 경쟁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내가 해냈다’는 감정에서 비롯된 자기 믿음에서 시작된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한다.

 

 

 

사회·정서 역량은 학습을 삶 속에서 지속해 나가기 위한 심리적 토대이다

행동역량을 통해 학습자 스스로 학습을 계획하고 관리할 수 있다

 

학습코칭에서 사회·정서 역량을 다루는 이유는, ‘학업역량’은 단순한 인지적 능력만이 아니라, 사회·정서적 기반 위에서 효과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주의집중력, 자기조절력, 학습 동기, 회복탄력성 등은 모두 사회·정서 역량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이 뒷받침될 때 학업 성과도 자연스럽게 향상된다. 결국, 학습코칭에서 사회·정서 역량을 다루는 것은 학생이 온전한 인간으로 성장하고, 학습을 삶 속에서 지속해 나가기 위한 ‘심리적 토대’를 마련하는 과정이다. 사회·정서 학습은 학생들이 자신을 이해하고 자신의 정서를 관리할 수 있으며, 타인과 긍정적인 관계를 맺음으로써 건강한 자기 정체성을 확립하여, 자신과 공동체를 책임감 있게 돌볼 수 있도록 돕는 과정이다.

행동역량의 핵심은 학습 계획을 세우고, 학습 습관을 형성하며, 학습 자원을 관리하는 일이다. 학습 환경 조성도 중요한 요소인데, 학습 환경은 학습자가 학습활동을 수행하는 물리적·사회적·심리적 환경을 말한다. 학습 환경은 학습자의 집중력, 효율성, 동기 등에 큰 영향을 미치며, 학습 성과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 물리적 환경은, 학습 공간이다. 학생들이 공부할 수 있는 공간의 구성과 상태가 중요하다.

✔ 사회적 환경은, 동료들과 함께 학습하는 협력적 환경이다. 선생님과의 관계, 가족이나 친구의 지원이 중요한 요소다. 이러한 환경은 서로의 의견을 교환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는 데 도움이 된다. 

✔ 심리적 환경은,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동기가 부여된 환경, 학습자가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이다.

✔ 문화적 환경은,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이 존중되고 다양성이 수용되는 환경이다.

 

 

 

저자가 개발한 MTLC 다면적 학습역량 검사 소개

학습역량 코칭 전문가 양성 과정 가이드 제공

 

MTLC(Multi-dimensional Test for Learning Competency) 다면적 학습역량검사는 학습자가 학습역량을 향상시키고 유지하기 위해 반드시 지녀야 할 학습역량 상태를 간단한 진단을 통해 확인하고, 이에 대한 학습 상담은 물론 학습코칭 맞춤 솔루션인 ‘학습역량코칭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학습자의 학습역량을 강화하여 학업성취도 향상에 기여하기 위해 개발된 검사지이다.

부록으로 제공하는 학습역량 코칭 전문가 양성 과정 가이드는 관련 공교육, 사교육 관련 종사자들에게 좋은 참고가 될 것이다.

 

✔ 카페 및 블로그: 한국학습코칭전문가협회(http://cafe.naver.com/krlca)

✔ (주)교담 공식블로그(https://blog.naver.com/kyodam7)

✔ 민철홍 교수의 교육담론(https://blog.naver.com/airforce1225)

✔ 자격증 신청 문의: 02-6951-1185(교담 서울 본사)

✔ 자격 과정 신청 방법: kyodam7@naver.com으로 ‘이름, 전화번호, 주소’를 적어서 발송

 

“하면 잘하는데, 애가 공부를 안 해요” 이런 아이를 알아서 공부하게 만드는 방법

유튜브에서 만나는 ‘학습역량이 미래다’

 

✔ 유튜브 책과삶(https://www.youtube.com/watch?v=qlxcVmdSwkI&t=829s)

“하면 잘하는데, 애가 공부를 안 해요” 이런 아이를 알아서 공부하게 만드는 방법

 

✔ 유튜브 0교시 부모영역(https://www.youtube.com/watch?v=j7KgGu67C_U&t=25s)

“우리 아이 공부법, 지금 제대로 가고 있나요?”

목차

서문 ∙ 8

 

제1부 ∙ 학습코칭의 이해

 

제1장 학습코칭의 필요성 ∙ 12

1. 교육의 변화 ∙ 12

2. 학습코칭의 인식 ∙ 17

3. 학습코칭의 관심 ∙ 20

4. 공교육에서의 학습코칭 인식 ∙ 24

 

제2장 학습이란 무엇인가? ∙ 26

1. 교육철학과 인본주의 관점 ∙ 26

2. 교육적 관점 ∙ 29

3. 교육과 학습 ∙ 31

4. 자기조절 학습의 접근법 ∙ 33

5. 자기조절 학습의 발달 ∙ 37

6. 자기조절 학습의 구성 요소 ∙ 39

7. 자기주도 학습과 자기조절 학습 ∙ 41

 

제3장 코칭의 이해와 적용 ∙ 45

1. 코칭의 어원 ∙ 45

2. 코칭의 지향 ∙ 47

3. 코칭철학 ∙ 49

4. 사람 중심 코칭 접근법 ∙ 52

5. 코칭 패러다임 ∙ 57

6. 다양한 코칭이론 ∙ 61

7. 코칭 세션과 코칭 프로세스 ∙ 64

8. 코칭 스킬 ∙ 68

9. 코칭 역량 ∙ 70

10. 커뮤니케이션 ∙ 72

11. 언어 ∙ 75

12. 경청 ∙ 79

13. 질문 ∙ 96

14. 코칭대화 모델 ∙ 102

15. 코칭과 멘토링 ∙ 108

16. 코칭에서 라포르 형성 ∙ 112

 

제4장 역량이란 무엇인가? ∙ 122

1. 역량의 이해 ∙ 122

2. OECD 학습나침반 2030 ∙ 128

3. 역량 기반의 교육 ∙ 135

 

제5장 학습역량의 이해 ∙ 140

1. 학습역량의 개념 ∙ 140

2. 뇌와 학습역량 ∙ 142

3. 신경전달물질과 학습 ∙ 150

4. 학습역량의 분류 ∙ 158

 

제2부 ∙ 학습코칭의 실제

 

제6장 인지역량 ∙ 162

1. 주의집중력 ∙ 162

2. 기억력 ∙ 174

3. 시연 ∙ 186

4. 정교화 ∙ 192

5. 그래픽 오거나이저(Graphic Organizer) ∙ 201

6. 메타인지 ∙ 205

 

제7장 동기역량 ∙ 211

1. 자기결정성 학습 동기 ∙ 211

2. 학업적 성취 동기 ∙ 217

3. 목표지향성 ∙ 224

4. 학업적 자기효능감 ∙ 227

5. 마인드셋(Mindset) ∙ 232

6. 학습몰입 ∙ 239

 

제8장 사회·정서 역량 ∙ 246

1. 왜 사회·정서 역량인가? ∙ 246

2. 자기인식 ∙ 250

3. 자기관리 ∙ 256

4. 사회적 인식 ∙ 265

5. 관계 관리 ∙ 270

6. 책임 있는 의사결정 ∙ 275

7. 회복탄력성 ∙ 279

 

제9장 행동역량 ∙ 285

1. 학습 계획 ∙ 285

2. 학습 습관 ∙ 288

3. 자원 관리 ∙ 291

4. 학습 환경 ∙ 296

5. 신체 관리 ∙ 306

6. 학습 태도 ∙ 311

 

제10장 기타 학습코칭 ∙ 318

1. 그릿(GRIT) ∙ 318

2. 학습 부진 ∙ 321

3. 시험불안 ∙ 326

 

제11장 MTLC 다면적 학습역량검사 ∙ 334

 

부록 학습역량 코칭 전문가 양성 과정 ∙ 335

 

참고문헌 ∙ 336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민철홍
현재 고려대학교 대학원 아동코칭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학습코칭전문가협회(KLCA) 부회장을 맡고 있다. 주요 연구 및 강의 분야는 학습상담, 학습코칭, 언어코칭으로, 교사, 강사, 전문 코치, 학부모 등을 대상으로 ‘학습역량 기반’의 학습코칭 전문가 2급·1급 과정, 4대 역량마스터 과정(Korea Master Coach), 학습역량 프랙티셔너(LC Practitioner) 과정을 통해 ‘전문 학습코치’를 양성하고 있다. 또한 ‘학습코칭 대학, University of Learning Coaching’ 컨셉으로 매월 ‘민 교수와 함께하는 교육콘서트’를 통해 교사, 강사, 코치, 부모들의 상담·코칭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학생들의 학습역량(공부의 힘)을 진단하기 위한 검사 도구인 다면적 학습역량검사(3종)_MTLC(Multi-dimensional Test for Learning Competency)를 개발하였으며, MTLC는 학생들의 건강한 공부를 돕기 위해 교육 현장(공교육, 사교육 등)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주요 저서로 『나는 자기주도학습 전문가다!』(공저, 2014), 『영어학습, 코칭이 답이다』(공저, 2016) 등이 있다.
저자 : 김형엽
고려대학교 글로벌학부 영미학 교수다. 고려대학교에서 영어영문학 학사학위를, 동 대학교 대학원에서 영어학 석사학위를, 미국 일리노이대학교(University of Illonois at Urbana-Champaign)에서 언어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음운론, 형태론, 영어 교육, 번역학, 언어 철학이다. 주요 저서로 『왜 우리 아이의 영어성적은 오르지 않을까?: 좌·우뇌 통합 영어독서법』(공저, 2016), 『인간과 언어: 언어학을 통해 본 서양철학』(2001) 등이 있고, 역서로는 『언어는 본능이 아니다』(2020), 『왜 우리만이 언어를 사용하는가: 언어와 진화』(2018), 『언어의 역사』(2016), 『언어의 일생』(2013) 등이 있다.
한울엠플러스(주)는 1980년에 도서출판 한울이란 사명으로 설립되어 2015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해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창립한 이래 교재와 정기간행물을 비롯해 사회과학(경제학, 사회학, 정치학, 지리학, 법학, 기타 교양 과목)과 인문학(철학, 신학 등등), 역사학, 영상 예술(영화, 애니메이션, 멀티미디어) 분야로부터 자연과학과 의학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영역의 출판물을 발행하고 있습니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