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 서론: 한국 양명학,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2장 양명학의 형성과 사상적 특성
1. 양명학 형성의 사회정치적 기반과 학술적 배경
2. 왕수인의 철학적 문제의식과 지향
3. ‘용장오도’의 실질과 함의
4. 양명학의 주요 이론과 경세사상적 함의
5. 양명학의 특성과 사상사적 의의
3장 조선 성리학의 심학화와 양명학 수용
1. 조선 성리학의 심학화
2. 양명학의 조선 전래
3. 화담학파의 양명학 수용
4장 조선의 정치문화와 양명학 비판
1. 양명학 비판 담론의 형성 배경
2. 양명 심학에 대한 이황의 규정과 계보학적 이해
3. 이황의 양명학 비판
4. 유성룡의 양명학 비판
5. 양명학 비판의 의의와 한계
5장 양란 전후 문인 관료의 양명학 이해
1. 이수광의 양명학 인식
2. 최명길의 양명학적 공부론과 경세사상
3. 장유의 양명학 이해
6장 정제두와 한국 양명학의 정립
1. 자유로운 학문 정신의 소유자
2. 소론계 주자학자들과의 양명학논변
3. 생리설에 기초한 정제두의 심학
4. 정제두의 『대학』 이해
5. 정제두의 경세사상
7장 조선 후기 실학과 양명학
1. 양득중 학문의 양명학적 성격
2. 성호학파의 양명학 인식
3. 홍대용의 양명학 이해
4. 정약용의 양명학 이해
8장 17~18세기 하곡학파의 양명학
1. 정제두 문인 제자들의 하곡학 규정과 의미
2. 윤순의 양명학적 경세론
3. 심육의 양명학 비판과 정제두 평가
4. 김택수의 양명학 긍정과 정제두 이해
5. 이광신의 왕주양가론
6. 이광사의 실학과 『대학』 이해
7. 이광려의 양명학 이해와 애민 활동
9장 18~19세기 강화학파의 양명학
1. 신대우의 양명학 이해와 철지론
2. 이영익의 양명학 인식과 격치론
3. 이충익의 양명학 이해와 패도 비판
4. 이시원의 절의 정신
5. 이건창의 자주적 개혁론
10장 근대 한국 양명학의 두 흐름
1. 박은식의 애국계몽운동과 양명학
2. 이건방의 양명학 이해와 현실 대응 방안
3. 정인보의 ‘실심 감통’의 양명학
11장 한국 양명학의 특성과 현대적 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