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입체표지(3D 표지)
2D 뒤표지

잡 크래프팅

자율적 직무 재창조를 위한 이론적·실천적 접근


  • ISBN-13
    979-11-89736-68-2 (93320)
  • 출판사 / 임프린트
    한국코칭수퍼비전아카데미 / 코칭북스
  • 정가
    25,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5-07-21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타카오 요시아키高尾 義明 , 모리나가 유타森永 雄太
  • 번역
    이정숙 , 김현주
  • 메인주제어
    비즈니스, 경영
  • 추가주제어
    경영: 리더십과 동기부여 , 인적자원관리 , 직장 내 다양성과 포함 , 조직론 및 조직행동
  • 키워드
    #잡크래프팅 #직무재창조 #직무 #경영경제 #자기계발 #조직심리 #인적자원관리 #조직웰빙 #직무설계 #직무역량 #직업 #일잘하는법 #일의의미 #번아웃 #업무몰입 #노령화 #타카오요시아키 #모리나가유타 #이정숙 #김현주 #호모코치쿠스 #한국코칭수퍼비전아카데미 #코칭북스 #경영: 리더십과 동기부여 #직장 내 다양성과 포함 #조직론 및 조직행동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52 * 225 mm, 436 Page

책소개

『잡 크래프팅』은 자율적 직무 재창조를 통해 조직 구성원의 동기와 역량을 끌어내고, 조직 전체의 유연성과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실질적 방안들을 제시한다. 변화하는 비즈니스 환경에 적응하고, 미래를 주도하는 조직으로 거듭나고자 한다면 잡 크래프팅이 해답이 될 수 있다. 잡 크래프팅을 통해 조직은 혁신적인 문화, 높은 몰입도, 그리고 빠른 변화 대응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조직 구성원은 일의 의미와 즐거움을 재발견하고, 스스로 일의 가치를 창조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다. 

조직의 변화를 이끌고자 하는 모든 리더와 실무자, 그리고 자기 주도적 성장을 꿈꾸는 이들이 조직과 개인이 함께 성장하는 행복한 일터 만들기의 여정에 함께 하기를 기대한다. 

목차

역자 서문

서론

 

제1부. 잡 크래프팅 이론의 전개

 

제1장. 잡 크래프팅 연구의 현주소

1. 서론: 왜 지금 잡 크래프팅인가?

2. 잡 크래프팅 개념의 제시

3. 잡 크래프팅 연구의 여명기

4. 잡 크래프팅 연구의 확립기

5. 최근의 연구 동향과 일본의 연구

제2장. 관계 크래프팅의 확장과 통합

1. 서론

2. 일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 단서가 되는 사회환경의 변화

3. 자원으로서의 관계와 일의 의미

4. 관계 크래프팅의 확장과 통합

5. 토론: 이론적 의의와 향후 과제

제3장. 잡 크래프팅의 인지 차원과 구성주의

1. 서론

2. 자원 크래프팅에서 인지 크래프팅이 간과된 이유

3. 역할 크래프팅

4. 일의 유의미성과 인지 크래프팅

5. 일본에서의 역할 크래프팅

6. 역할 크래프팅의 메타이론에 관한 결론

7. 역할 크래프팅 연구의 향후 과제와 가능성

제4장. 잡 크래프팅과 직무 스트레스 연구의 새로운 전개

1. 서론

2. 직무 설계 연구 이론의 흐름

3. 직무 스트레스 연구 이론의 흐름

4. 직무 스트레스 연구의 새로운 전개

 

제2부. 잡 크래프팅 실천과 과제

 

제5장. 잡 크래프팅을 지속하기 위한 주변의 지원

1. 문제의식

2. 조사 방법

3. 결과

4. 고찰

5. 요약

제6장. 리더의 잡 크래프팅과 조직 구성원의 잡 크래프팅의 연관성

1. 서론

2. 이론과 가설

3. 방법

4. 결과

5. 고찰

제7장. 산업보건과 잡 크래프팅

1. 서론

2. 산업보건심리학에서 잡 크래프팅의 현황

3. 잡 크래프팅 개입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의 검토

4. 잡 크래프팅 개입 프로그램 효과의 검토

5. 향후 잡 크래프팅 개입의 발전 방향

제8장. 잡 크래프팅의 선행 요인과 효과

1. 연구 배경

2. 바커와 동료들(2012) 및 데메루티와 동료들(2015)의 잡 크래프팅 개념

3. 바커와 동료들(2012) 연구의 재현성 검증

4. 데메루티와 동료들(2015) 연구의 재현성 검증

5. 일본의 잡 크래프팅 연구 결과를 통한 보완

6. 결론

 

제3부. 현 시대의 과제와 잡 크래프팅

 

제9장. 재택근무 중의 잡 크래프팅

1. 문제의식

2. 선행 연구

3. 가설

4. 연구방법

5. 결과

6. 고찰

제10장. 협력 지향 잡 크래프팅의 가능성

1. 서론

2. 이문화의 경계에서 가시화되는 잡 크래프팅

3. ‘사회 공헌’으로 비즈니스와 사회의 경계 넘기

4. 협력 지향 잡 크래프팅의 가능성

5. 결론

제11장. 고령 근로자의 잡 크래프팅

1. 서론: 고령 근로자가 당면한 사회 환경과 잡 크래프팅

2. 고령 근로자 잡 크래프팅의 선행 요인

3. 고령 근로자 잡 크래프팅의 성과

4. 고령 근로자에게서만 볼 수 있는 잡 크래프팅

5. 향후의 연구 방향

제12장. 외국인 전문 인력의 잡 크래프팅과 포용적 리더십

1. 문제의식

2. 선행 연구 검토

3. 분석 방법

4. 결과

5. 고찰

 

맺음말 :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과제

색인

저자 및 역자 소개

발간사

본문인용

브제스니에프스키와 더튼(2001)은 잡 크래프팅을 ‘개인의 일 경계 또는 관계 경계에서 이루어지는 물리적, 인지적 변화’로 정의했다. 이들은 ‘모든 조직 구성원이 동일한one size fits all 직무를 수행하는 직무 설계 이론’으로는 각 조직 구성원의 직무 경험을 충분히 반영할 수 없다고 했다. (25쪽)

 

잡 크래프팅 개념은 기존의 직무 설계 이론을 재검토하면서 탄생했다. 직무 설계 이론의 대표적인 이론인 직무특성 모델(Hackman & Oldham, 1975)과 이후의 많은 연구는 관리자가 직무 특성1)을 재설계해 조직 구성원이 일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내적 동기부여와 성과에 영향을 미치도록 하는 것이 목표였다. 그렇지만 이러한 하향식 접근은 조직 구성원의 직무 경험을 획일화하는 경향이 있었다(Berg et al., 2013). (28쪽)

 

JD-R 모델은 산업보건 영역에서 발전한 모델로, 일의 특성과 조직 구성원의 웰빙, 특히 업무로 인한 정신적 피로strain와 업무 몰입의 관계를 설명한다. 이 모델은 직무 요구와 직무 자원이 각각 건강 손상 과정과 동기부여 과정을 만든다고 설명한다. (32쪽)

 

브제스니에프스키Wrzesniewski와 더튼Dutton(2001)은 잡 크래프팅을 과업 크래프팅task crafting, 관계 크래프팅relationship crafting, 인지 크래프팅cognitive crafting의 세 가지로 제시했다. 잡 크래프팅 이론의 근간 가운데 하나가 직무 설계 이론(Hackman & Oldham, 1980 참고)인 점을 고려하면, 일의 변화를 의미하는 과업 크래프팅이 잡 크래프팅 유형의 하나로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57쪽)

 

잡 크래프팅은 자기 일을 더 나은 방향으로 바꾸려는 노력을 의미한다. 이는 ‘개인이 자신의 직무에 물리적 또는 인지적 변화를 주는 것’(Wrzesniewski & Dutton, 2001, p.179)으로 정의된다. 기존의 하향식 접근 방식(Hackman & Oldham, 1980)에서는 직무가 조직에 의해 설계되지만, 잡 크래프팅은 조직 구성원이 주도적으로 직무를 창조craft하는 상향식 접근 방식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Berg et al., 2013; Wrzesniewski & Dutton, 2001). (85쪽)

 

인지 크래프팅의 핵심 개념은 ‘일의 유의미성’이다. 일의 유의미성이란, 일이 자기 자신에게 중요하고significant 긍정적positive이라는 의미이다(Rosso et al., 2010; Steger et al., 2012). 일의 의미와 유의미성은 엄밀히 말하면 다르다. 일의 의미는 본인이 일을 어떻게 느끼는지를 나타내며, 긍정적, 부정적, 중립적일 수 있다. 반면, 유의미성은 일이 자신에게 중요하고 긍정적으로 인식되는 경우에만 해당한다(Rosso et al., 2010). (100쪽)

 

JD-R 모델은 번아웃이 모든 직업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직무 요구job demands와 직무 자원job resources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검증하기 위해 만들어진 모델이다(Demerouti et al., 2001). JD-R 모델에서 직무 요구는 조직 구성원의 지속적인 신체적, 심리적 노력을 요구하는 직무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조직적 측면을 의미한다(예: 강한 압박, 좋지 않은 물리적 환경, 정서적 부담). (134쪽)

 

잡 크래프팅을 효과적으로 실천하고 있는 크래프터와 그의 리더와 주변 사람을 조사한 결과, 조직과 직장은 잡 크래프팅을 촉진하는 지원과 함께 방향을 제시하는 지원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방향을 제시하는 지원은 잡 크래프팅의 부작용을 예방하고 해소하기 위해 제공되고 있었다. 또 부작용은 잡 크래프팅의 ‘과잉’으로 인해 조직 구성원의 건강, 성장, 역할 적응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172쪽)

 

잡 크래프팅은 최근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데, 경력 개발의 맥락에서 보면 조직 구성원에게 특히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조직 구성원은 구체적으로 젊은 조직 구성원과 커리어 정체기에 직면한 중견 이상의 조직 구성원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잡 크래프팅은 이들 모두에게 중요하다. (180쪽)

 

잡 크래프팅은 조직 구성원 개인의 노력에 달려 있지만, 이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기업이나 조직이 잡 크래프팅을 실천하기 쉬운 환경을 만드는 것도 중요하다. 조직 구성원이 잡 크래프팅을 할 때 재량권이나 자율성이 주어지고, ‘잡 크래프팅을 하고 싶다’라는 마음이 생기도록 회사의 지원이 필요하다(Takao, 2021; Kawakami, 2019). (231쪽)

서평

‘잡 크래프팅’이란 ‘개인이 자기 일이나 관계의 경계에서 행하는 물리적, 인지적 변화’로 정의되며, 에이미 브제스니에프스키Amy Wrzesniewski와 제인 더튼Jane E. Dutton이 학문 용어로 만든 것이다. 학계 일부에서 오래전부터 논의 되어온 ‘잡 크래프팅’이 처음 독자들에게 소개된다. 먼저 가까운 일본에서 연구와 실천 경험을 바탕으로 집필한 ‘자율적 직무 설계와 실천’ 경험을 소개한다. 이어서 두 번째 책도 준비 중이다. 이것이 호모코치쿠스의 관심 분야가 된 것은 사실 오래되었다. 〈행복하게 일하기, 일을 재미있고, 의미 있고, 일을 통해 자신의 탁월함을 드러내고, 일을 마치면 보람을 느끼는 생활_재의탁보〉는 코칭이 ‘일’을 대하는 지향점이다. 그러나 이를 어떻게 ‘코칭’할 것인가? 일하는 모든 사람과 코칭 관계에서 이를 이루려는 노력에 코치는 집요해야 한다. 

일에 대한 ‘재의탁보’는 자신이 지향하는 가치를 위해 현재 주어진 일에 최선을 다할 뿐이라는 언사와 조금 다르다. 이 말에는 현재 일과 가치가 조금 엇갈려 있다. 지향할 가치가 있기에 현재 ‘일’은 최선을 다하는 점에서 의미가 있겠으나 현재의 일과 자신의 가치에 있는 ‘작은 엇갈림’을 주목하게 된다. 반면에 자기 일을 통해 구현하는 ‘가치’가 분명하면 되는 언사가 있다. 이 또한 아쉬움이 있다. 가치를 지향해 주력한다는 점에 의미가 크나 현재 하는 일과 자신이 지향하는 가치와의 연결감이 무엇인지 궁금해진다. 왜냐하면 현재 하는 ‘일’에 자신의 가치가 ‘투영’되었으면 하는 바람이 있기 때문이다. 가치란 고개를 들고 쳐다봐야 보이는 저곳에 있는 것이 아니라 내 삶의 매 순간 모든 면에서 실현되는 것이고 삶이 직조되는 면에 무늬로 남는 것이어야 한다. 쳐다보며 확인하는 것은 가치가 지향하는 ‘북극성’이다. 

 

코칭은 ‘일’, ‘일하는 사람’, 일의 성과와 일의 행복에도 아낌없이 도전한다. 더 나아가 일 안에서, 일의 내용과 방식, 일과 자기와의 관계, 일의 가치와 일과 관련하는 ‘존재’를 마땅히 탐구한다. 일하는 사람 스스로 자기 과제를 명료화하고 창의성을 발견하고, 일 속에서 행복과 가치를 구현하는 일에 집중한다. 우리는 그 접근 방법 가운데 하나로 ‘자율적 직무 설계와 재-창조’인 잡 크래프팅을 제시한다. 자기 일을 자율적으로 설계, 재-구성하고, 더 나은 방법을 창조하는 일, 그리하여 자기 일에 스스로 주인이 되고, 심지어 일을 통해 얻은 ‘지혜’를 옆에서 느낄 수 있는 사람. 그런 현명한 일하는 사람을 지향한다. 이런 전환과 변화가 잡 크래프팅의 주체화이다. 사실 이런 모습은 일을 충실히 하는 ‘일의 현장에 있는 사람’들에게서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일의 현장에는 이렇듯 선수들이 어디든 있다. 이런 뛰어난 개인을 넘어 일하는 많은 사람이 자기 일을 재창조하는 길을 모색하기 위해 이 책을 권한다.

 

『잡 크래프팅: 자율적 직무 재창조를 위한 이론적·실천적 접근』은 일본 학계의 특성에 맞게 잡 크래프팅 관련 해외 여러 연구를 역사적, 개념적으로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천 과정을 제시한다. 또 재택근무, 협력관계, 고령 근로자, 외국 이주 노동자들의 이슈까지를 포괄한다. 우리는 이 연구를 길눈이로 하여 작업 현장에 적용하면서 잡 크래프팅 코칭, 그룹 및 팀코칭을 새롭게 연구해 갔으면 하고 희망해본다

저자소개

저자 : 타카오 요시아키高尾 義明
- 교토 산업대학 경영학부 교수·도쿄 도립대학교 명예교수
- 교토 대학교 대학원 경제학연구과 박사후기 과정 수료, 박사(경제학
- 큐슈 국제대학교 경제학부 전임강사, 유통과학대학교 정보학부 전임강사·조 교수, 도쿄 도립대학교(구 수도대학도쿄) 부교수·교수를 거쳐 현직에 있음
- (주요 업적) 「잡 크래프팅의 사상-Wrzesniewski and Dutton(2001)재 방문에 근거한 향후의 잡 크래프팅 연구에의 시사점」 『경영철학』 17(2), 2021년(2021년 경영철학학회상(논문상) 수상), 「50대에 행복하게 일하는 법 – 스스로 일의 보람을 향상시키는 ‘잡 크래프팅’ 기법」 다이아몬드사, 2024년 「조직론의 명저30」 치쿠마신서, 2024년 등
저자 : 모리나가 유타森永 雄太
- 와세다 대학교 글로벌 에듀케이션 센터 교수
- 고베 대학교 대학원 경영학연구과 박사후기 과정 수료, 박사(경영학)
- 무사시 대학교 부교수, 교수, 쇼지 대학교 교수 등을 거쳐 현직에 있음
- (주요 업적) 『웰빙 경영의 생각과 추진방법-건강경영의 새로운 전개』 노동신문사, 2019년 “Inclusive leadership and knowledge sharing in Japanese workplaces: the role of diversity in the biological sex of workplace personnel” Personnel Review, 52(5), 1405-1419, 2023년 (공저) 등.
번역 : 이정숙
- 크래프트 코칭(Craft Coaching) 대표
- ㈔한국코치협회 인증전문코치KPC
- ㈔한국코치협회 인증시험 심사위원
- 한국수퍼비전아카데미 파트너 코치
- 팀코칭아카데미(TCA) 전문가과정 디플로마
- Avatar® Master
- (전)한국사토리㈜ 이사
- 일어일문학 젼공
- 임원·중간관리자 일대일 코칭, 팀·그룹 코칭
번역 : 김현주
- 김현주코칭센터 대표, 교육학 박사 수료
- (사)한국코치협회 수퍼바이저코치(KSC)
- 코어리더십센터㈜ 마스터코치
- 한국팀코칭학회 이사
- 팀코칭아카데미 전문가 과정 트레이너
- 사내 코치 양성 및 훈련
- 임원·중간관리자 일대일 코칭, 팀·그룹 코칭
- 기업 및 기관 전담 코칭, 코칭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강의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