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입체표지(3D 표지)
2D 뒤표지

세익스피어 4대 비극


  • ISBN-13
    979-11-92575-14-8 (03840)
  • 출판사 / 임프린트
    도서출판대가 / 도서출판 린
  • 정가
    27,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3-03-15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윌리엄셰익스피어
  • 번역
    -
  • 메인주제어
    희곡: 고전, 20세기 이전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희곡: 고전, 20세기 이전 #고전문학 #서양문학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52 * 225 mm, 752 Page

책소개

 

“온 세상이 무대이고, 모든 사람이 배우다.”_셰익스피어

 

 

 

역사상 최고의 걸작이자 영문학의 정수 《셰익스피어 4대 비극》을 한 권으로 읽다!

 

셰익스피어는 1590~1613년 사이 우리에게 잘 알려진 작품들을 썼다. 그의 초기 연극은 주로 코미디와 역사였고 장르는 16세기 말까지 정교함과 예술성의 절정에 다다랐다. 1608년경에는 주로 비극을 썼는데 영어에서 가장 훌륭한 예로 추앙받는 〈햄릿〉, 〈맥베스〉, 〈리어왕〉, 〈오셀로〉가 여기에 포함된다. 이처럼 셰익스피어는 당대 존경받는 시인이자 극작가였지만 그의 명성은 19세기까지만 해도 오늘날과 같은 명성은 얻지 못했다. 하지만 낭만주의자들은 셰익스피어의 천재성에 찬사를 보냈고 빅토리아 시대의 영웅들은 셰익스피어를 숭배했다. 이 최고의 걸작들을 한 권에 담은 책이 린 인문고전 클래식의 9번째 책 《셰익스피어의 4대 비극》이다.

 

중세 필사본 속 풍성한 그림 자료 수록!

셰익스피어 4대 비극은 가장 위대한 비극적 연극을 말한다. 이 비극을 엘리자베스 시대 사람들은 ‘번영으로 시작해 불행하게 끝나는’ 슬픈 행동에 사로잡힌 ‘위대한 국가의 인물’을 보여주는 고상한 연극으로 정의했다. 

우유부단함으로 사랑하는 여인마저 미쳐버리게 만든 〈햄릿〉, 의심으로 사랑하는 아내를 해하는 〈오셀로〉, 마녀의 예언을 믿고 왕을 죽여 파멸하는 〈맥베스〉, 어리석게도 직언을 참지 못해 파멸을 자초하는 〈리어왕〉. 셰익스피어가 묘사하는 인간의 본성, 특히 악한 습들은 아직도 적용된다. 그 때문에  그의 작품이 최고의 고전으로 읽히는 이유이다. 특히 린 인문고전 클래식의 9번째 책 《셰익스피어의 4대 비극》은 100여 장의 중세 필사본 그림과 함께 읽을 수 있어, 누구나 쉽고 생생하게 4대 비극 작품들을 감상할 수 있다.  

 

목차

 윌리엄 셰익스피어 전기_12 

 

 셰익스피어 4대 비극 주요 장면_14 

 

 

『햄릿(Hamlet)』 _31 

 ·1막 1장~5막 2장 작품분석 

 

 

『맥베스(Macbeth)』 _197 

 ·1막 1장~5막 9장 작품분석 

 

 

『리어왕(King Lear)』 _359 

 ·1막 1장~5막 3장 작품분석 

 

 

『오셀로(Othello)』 _557 

 ·1막 1장~5막 2장 작품분석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윌리엄셰익스피어
윌리엄 셰익스피어(1564~1616)는 영국이 낳은 국민시인이며, 현재까지 가장 뛰어나고 영향력 있는 극작가로 손꼽힌다. 16세기 말에서 17세기 초에 쓴 그의 희곡은 오늘날에도 세계 여러 나라에서 여전히 가장 많이 공연되고 있다. 뛰어난 시적 상상력, 인간성의 안팎을 넓고 깊게 꿰뚫어보는 통찰력, 놀랄만큼 풍부한 언어의 구사, 매우 다양한 무대형상화 솜씨 등에서 그를 따를 사람이 없다.
셰익스피어의 주요 작품으로 《뜻대로 하세요》, 《말괄량이 길들이기》, 《한여름 밤의 꿈》, 《베니스의 상인》, 《끝이 좋으면 다 좋아》, 《사랑의 헛수고》, 《로미오와 줄리엣》, 《리어왕》, 《햄릿》, 《맥베스》, 《오셀로》, 《폭풍우》, 《십이야》 등 희·비극을 포함한 38편의 희곡과 여러 권의 시집 및 소네트집이 있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