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2D 뒤표지

Pavilion

Variations of Pavilions


  • ISBN-13
    979-11-988213-1-7 (92540)
  • 출판사 / 임프린트
    비아아트대동호텔아트센터 / 비아아트
  • 정가
    22,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5-07-01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이덕종(아크공간연구소)
  • 번역
    -
  • 메인주제어
    건축 구조, 디자인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건축 구조, 디자인
  • 도서유형
    종이책, 반양장/소프트커버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70 * 170 mm, 256 Page

책소개

건축은 단순히 공간을 만드는 것을 넘어, 감각과 경험을 자극하며 다양한 감정을 일으키는 역할을 한다. 이 책은 그중에서도 일시적이고 실험적인 건축 유형인 ‘파빌리온’에 주목했다. 파빌리온은 짧은 기간 설치되지만, 감각적 경험과 사람들 사이의 교류를 이끄는 특별한 공간이다. 특히 런던의 서펜타인 파빌리온은 매년 다른 건축가들이 빛, 재료, 공간을 새롭게 해석하며 파빌리온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아크공간연구소 이덕종 건축가는 이곳에서 건축이 감각적 연결과 소통을 만들어내는 힘을 깊이 체감했다. 이러한 경험이 아크공간연구소의 제주 파빌리온 프로젝트로 이어졌고, 2023년과 2024년에 걸쳐 ‘파빌리온의 변주’라는 부제 아래 연구되었다. 

이 책은 세 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장에서는 제주대학교 김태일 교수, 이타미준 건축문화재단 유이화 이사장, 아크스튜디오 이덕종 건축가의 기고를 통해 이번 프로젝트의 의미와 가치를 소개했다. 두 번째 장에서는 지난 100년 동안 건축적으로 주목할 만한 24개의 파빌리온을 선정하고, 그중 12개를 공간의 구성과 구축 방식 측면에서 자세히 분석했다. 세 번째 장에서는 제주의 자연과 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12개의 장소에 새로운 파빌리온을 제안하며, 앞선 사례에서 나온 공간적 요소와 방식들을 제주 지역에 맞게 재해석하여 적용했다.

아크공간연구소의 파빌리온 연구는 파빌리온을 단순한 건축 유형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현대적 시각과 미래 가능성을 담은 건축 실험으로 확장하려는 시도이자, 제주의 특별한 장소들을 위한 새로운 건축적 상상력을 이끌어 낸 창작물이다.

목차

서론

 

Ⅰ. 파빌리온의 이해

신 파빌리온의 탐색적 접근과 도전

파빌리온: 자연과 인간 사이, 건축이 묻는 질문

파빌리온: 감각의 발견과 공간의 공감

 

Ⅱ. 영감을 준 24개 파빌리온

100년, 영감을 준 24개 파빌리온 

24개 파빌리온 사례연구4

24개 파빌리온 사례연구 유형 분류

12개 파빌리온 선정

챕터Ⅱ사용방법

바로셀로나 파빌리온

조각공원 파빌리온

카노아스하우스 파빌리온

노르딕 파빌리온

로스차일드를 위한 주말 주택 

손스베이.크 공원 조각 파빌리온

서펜타인 파빌리온 2003

메스티조 레스토랑 파빌리온

임시 박물관 파빌리온

페르코르소 파빌리온

바이오모픽 파빌리온

워터문 티 파빌리온

 

Ⅲ. 제주 12개 파빌리온 제안

제주 12개 파빌리온 제안

제주 12개 지역

12개 지리적 위치

12개 파빌리온 유형 분류

챕터 Ⅲ 사용방법

삼성혈 파빌리온

아부오름 파빌리온 

용눈이오름 파빌리온 

왕벚나무 파빌리온 

불턱 파빌리온

서귀다원 파빌리온 

목관아 파빌리온 

구품연지 파빌리온 

하논 파빌리온 

탐라 파빌리온

동굴진지 파빌리온 

유리의성 파빌리온 

 

건축가 설명(국문) 

참고문헌

도판출처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이덕종(아크공간연구소)
아크공간연구소(이덕종 건축가)는 2020년에 설립된 공간 리서치 단체로, 선례 건축물에서 공간 개념을 배우고 이를 바탕으로 역사적으로 의미 있는 공간을 연구해 오고 있다. 설립 취지인 “Learning from precedent architecture, Designing into history”라는 문장처럼, 우리는 과거의 유의미한 공간이 오늘날 어떻게 새롭게 해석되고 구현될 수 있는지를 꾸준히 탐구해 왔다. 새로운 양식이나 패러다임을 제시하기보다는, 기존 건축 요소 중 의미 있는 공간을 재해석하고 기록하며, 이를 시대와 장소에 맞게 변형하고 재구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 활동은 매년 하나의 주제를 중심으로 전시로 이어졌다. Season 1(2021): Museum, Season 2(2022): House, Season 3(2023): Religious, Season 4(2024): Pavilion 등 각 시즌의 전시는 특정 공간 유형에 대한 우리의 탐구 과정을 공유하는 자리였다. 아크공간연구소는 공간을 단순한 형태나 구조가 아닌, 불완전한 요소들이 새롭게 조합되어 탄생하는 결과물로 이해한다. 그리고 그러한 공간이 신체의 움직임과 어우러질 때, 비로소 진정한 아름다움을 드러낸다고 믿는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