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SHIBUYA CHRONICLE
프롤로그
왜, 시부야 재개발은 ‘100년에 한 번’이라고 하는가.
역과 도시 기반의 개량으로 여러 개발이 얽히고설킨 “시부야 모델”의 도시만들기는 ‘사람이 주역’
제1장
시부야와 디자인
디자인회의=디자인 코드가 아니다
시부야 거리의 아이덴티티 ‘어반 코어’
‘가이드라인형’으로부터 다양성을 중시한 ‘프로세스형’ 경관룰
TALK-01
어반코어로 연결. ‘사람의 움직임’과 ‘도시의 다양성’
TALK-02
시부야스크램블스쿼어에서 생각하는 “도시를 흥미롭게” 재개발
제2장
시부야와 커뮤니티
행정과 사업자, 주민 모두가 만드는 프로젝트형, 상향식 도시만들기 대표적인 사례
‘시부야 중앙거리’ ‘시부야미래디자인’이라는 새로운 도시만들기 실험장
TALK-03
시부야역 주변 “도시만들기” 현재 그리고 미래
TALK-04
지역과 재개발이 깊게 연계된 도시만들기
COLUMN 01
지역과 커뮤니티와 개발이 유기적으로 연결
시부야역 남서쪽 지역 도시 재생
제3장
시부야와 퍼블릭 스페이스
시부야강 주변과 고가역을 개발에 활용한 ‘일본형 하이라인’
퍼블릭 스페이스와 상업시설이 일체화된 ‘미야시타공원’ ‘시부야파르코’
도시계획을 가로 레벨로 접근한 프로젝트
TALK–05
개발에서 태어난 새로운 장소, 시부야강 재생과 시부야 리버스트리트
TALK-06
두 개 “공원”에서 알아보는 퍼블릭 스페이스와 상업 시설의 새로운 관계
COLUMN 02
지역 연계와 수익성이 양립하는 새로운 공원 모델을 목표로 시부야구립 키타야공원
제4장
시부야와 매니지먼트
‘100년에 한 번’의 개발이 순조롭게 진행된 이유
공사 진행과 동시에 지속적으로 정보 발신을 가능하게 한 옥외 광고 법제 완화와 “시부야다움”
TALK–07
9개 사업자가 합친 “팀 시부야”에 의한 공사 매니지먼트와 홍보 활동
TALK-08
에리어매니지먼트가 그리는 새로운 시부야를 만드는 방법
제5장
시부야와 미래
시부야미래디자인이라는 플랫폼은 어떻게 탄생했는가
관광 자원이며, 동시에 이노베이션의 계기가 되는 ‘SIW’민관산학이 연계된 시부야다운 프로젝트를
TALK-09
시부야를 다양성이 넘치는 세계 최고의 실험 도시로
SPECIAL TALK
하세베 켄 구청장에게 듣다
지속적으로 변하는 시부야의 미래와 지역 만들기
마치며
다양한 도시 ‘시부야’의 미래 디자인
프로젝트 데이터
사진 크레딧·도판 출처·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