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러두기
동료 축하의 글
요약
축하의 글
동료 서문
서장
‘수퍼바이지’는 누구이며 어디에 있는가?
용어 활용
1장. 코칭수퍼비전란 무엇인가?
코칭수퍼비전에 대한 기존 설명
중요한 차이점 [코칭수퍼비전의 독특함] 검토
일부 수용된 정의
수퍼비전에 대한 코칭 전문기관의 의견
프랙티셔너들의 주장
코칭수퍼비전 활용 현황은 어떠한가?
수퍼비전 참여의 이점은 무엇인가?
요약: 코칭수퍼비전과 코칭수퍼비전이 아닌 것
2장. 코칭수퍼비전의 형태
자격 있는 수퍼바이저들과 활용할 수퍼비전의 종류
주제의 변형: 개인 수퍼비전의 몇 가지 형식
주제의 변형: 집단 수퍼비전의 다양한 형태
동료 수퍼바이저와의 수퍼비전
수퍼바이지(수퍼비전-주체)가 수퍼바이저이기도 한 경우
자기 자신을 수퍼비전하는 것이 가능한가?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수퍼비전을 어떻게 선택하는가?
얼마나 수퍼비전 해야 하는가?
성찰적 실천은 수퍼비전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결론적 사고
3장. 코칭수퍼비전 접근과 철학
시스템적 접근
정신역동/정신분석적 접근
행동적 접근
다방면적이고 통합적인 코칭수퍼비전 접근
어떻게 선택할 수 있는가?
4장. 코칭수퍼비전 모델
과정 모델
내용 모델
통합적 모델
수퍼바이저의 개인 스타일 모델
결론적 사고
5장. 유능한 수퍼비전-주체(수퍼바이지) 되기
유능한 ‘수퍼비전-주체’-되기의 동기, 자질, 특성, 기술, 실천은 무엇인가?
수퍼비전 관계와 수퍼비전-주체의 자질과 특성
기술
성찰을 위한 수용력 개발하기
성찰적 실천 개발
집단 수퍼비전에 참여할 때 고려할 점
수퍼비전-주체의 수퍼비전 활용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가?
결론적인 생각
6장. 유능한 수퍼바이저-되기
수퍼비전이 잘 작동하면 어떤 경험을 하게 하는가?
수퍼바이저가 ‘잘 하면’ 프랙티셔너들은 어떤 경험을 하는가?
유능한 코칭수퍼바이저는 어떤 ‘행동’을 보여줄 수 있는가?
좋은 코칭수퍼바이저는 어떤 ‘태도’를 보일 수 있는가?
코칭수퍼비전 일곱 가지 마인드셋
수퍼바이저의 ‘동기’에 대한 이해
수퍼바이저를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
현재 수퍼바이저에게서 벗어나야 할 때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수퍼바이저를 선택하기 위한 체크리스트
7장. 수퍼비전 준비하기
프랙티셔너들이 수퍼비전하는 실제 예시
준비가 도움이 되는 이유
반대로 어떤 경우에는 준비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준비”해야 하는 것은 무엇인가?
수퍼비전에 가져갈 자료를 결정하는 실천 단계
수퍼비전에 장기적 관점으로 접근하기
생각을 결론지으면서
수퍼비전에 가져갈 자료에 접근하는 방법 체크리스트
8장. 내부-수퍼바이저 개발하기
내부-수퍼바이저를 개발하는 법
당신의 코칭 여정
코치로서 개인 개발 계획
코치의 성장과 발전에 역량 활용하기
9장. 코칭수퍼비전에서 문화적 차이 활용하기 - ‘다름’을 지렛대로
문화적 맥락에서 ‘차이/다름’ 정의하기
범-문화 렌즈를 통해 복잡성 보기
코칭 역동의 차이를 이해하기
코칭 관계 내의 편견
성찰적 실천을 통해 편견 이해하기
코칭 파트너의 편견 탐색
조직 또는 시스템 내 편견 탐색
‘차이/다름’을 활용하여 수퍼바이저 선택하기
수퍼비전 준비
마무리 생각
역자가 안내하는 학습 자료
10장. 수퍼바이저를 위한 수퍼비전
스스로 수퍼비전 필요성을 인식하기
당신의 수퍼비전을 작업을 수퍼비전하는 수퍼바이저 찾기
자기 스스로 수퍼비전을 “방해하는 것들”
[권말 부록 1] ICF 코칭수퍼비전 역량 모델
[권말 부록 2] EMCC 수퍼비전 역량과 구조
[권말 부록 3] 코치 협회 코칭수피비전의 원칙 구조-틀
[권말 부록 4] 전문 임원 코치·수퍼바이저 협회APECS 수퍼바이저 인증
[권말 부록 5] ICF 멘토 코칭 역량 모델
약어
색인
저자 및 기여자, 역자 소개
역자 후기
[부록 5.1] SOAP: 성찰에서 배우기
[부록 5.2] 성찰 구조 모델(Johns, 1991)
[부록 5.3] 성찰을 위한 “무엇” 구조(Rolfe et al., 2001)
[부록 7.1] 중요한 사건 분석
[부록 7.2] SOAP 성찰 학습 양식
[부록 7.3] 코칭 회기 검토 양식
[사례 연구 2.1] 프로리얼을 활용한 가상 수퍼비전
[사례 연구 2.2] 동료 수퍼비전 그룹의 초기 예
[사례 연구 2.3] 경험 많은 코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퍼비전과 성찰적 실천의 접근 방식을 발전시킨 방법
[사례 연구 3.1] 시스템적 변혁 코칭의 상호작용
[사례 연구 3.2] 컨스텔레이션 기반 두 명의 수퍼비전-주체
[사례 연구 3.3] 게슈탈트에 근거한 코칭수퍼비전 회기
[사례 연구 3.4] 어떻게 할지 매우 당혹해 하는 코칭 파트너 사례
[사례 연구 3.5] 고위직 도전에 주저하는 코칭 파트너
[사례 연구 3.6] 팀과 상사를 격하게 비난하는 코칭 파트너
[사례 연구 3.7] 자신감 강화를 원하는 코칭 파트너와의 코칭
[사례 연구 5.1] 사내 코치 – 그 아래에 무엇이 있는가?
[사례 연구 7.1] 수퍼비전을 위한 코치의 준비
[사례 연구 7.2] 특별한 준비 없이 수퍼비전에 임한 사례
[사례 연구 7.3] 앨리슨 - 수퍼비전 사례 연구
[역자 부록 1.1] 2015년 역자가 확인한 ICF 편지
[역자 부록 1.2] ICF 코칭수퍼비전과 멘토 코칭의 공생 관계와 강조점의 차이
[역자 부록 3.1] 현대 정신분석과 정신역동에 대하여
[역자 부록 3.2] 코칭수퍼비전에서 정신역동 이론의 활용
[역자 부록 3.3] 최근 코칭수퍼비전 철학, 이론과 접근
[역자 부록 4.1] 프로이트의 사후성
[역자 부록 4.2] 역자가 수퍼비전에 활용한 개입 유형
[역자 부록 4.3] 코칭수퍼비전 이론과 모델 추가 검토
[역자 부록 5.1] 다섯 가지 성찰 고리(In-On-To-For-About)에서 일곱 가지(with와 above)로
[역자 부록 5.2] 볼튼Gillie Bolton. 반성성Reflexivity(비찰성)
[역자 부록 5.3] 뮤지컬 레 미제라블과 반성성reflexivity
[역자 부록 5.4] 수퍼바이저를 앞세우며 걷는 길의 행복
[역자 부록 6.1] 국제코치연맹ICF
[역자 부록 6.2] 코칭 가능성coachability 수준
[역자 부록 7.1] ‘코칭의 결정적 순간’ 분류에 사용되는 12가지 코드
[역자 부록 8.1] 다섯 가지 습관이 된 〈생각 회로〉
[역자 부록 8.2] 셀프 코칭을 위한 WISDOM 모델
[역자 부록 8.3] 역량 기반과 발달 기반 코칭수퍼비전
[역자 부록 8.4] Self Coaching WISDOM 모델 질문 연습
[역자 부록 9-1] 교차 문화와 다양성 코칭
[역자 부록 10.1] 수퍼비전의 수퍼비전 발전을 위한 과제
[자료 5.1] 코칭협회의 집단 수퍼비전
[체크리스트 2.4] 수퍼비전 배치를 결정하는 체크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