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입체표지(3D 표지)
2D 뒤표지

회초리 연가


  • ISBN-13
    979-11-988967-7-3 (03810)
  • 출판사 / 임프린트
    다인숲 / 다인숲
  • 정가
    10,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5-04-15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유춘홍
  • 번역
    -
  • 메인주제어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시조 #한국 정형시 #민족시 #시
  • 도서유형
    종이책, 반양장/소프트커버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25 * 200 mm, 176 Page

책소개

“절제된 언어 속에서 피어나는, 사랑과 기도의 시조”

《회초리 연가》는 교육자이자 시인인 유춘홍의 첫 시조집으로,

삶의 고단함과 제자들을 향한 깊은 애정, 신앙과 기도의 내면을 고요한 시선으로 담아낸 작품집이다.

시집의 제목이 암시하듯, 여기서 '회초리'는 단순한 체벌의 도구가 아닌, 사랑의 징표이며, 가르침과 돌봄의 상징으로 다시 태어난다.

한 줄 한 줄에는 오랜 교직 생활에서 우러난 삶의 지혜와 참회, 연민이 배어 있으며,

그 감정은 절제된 시어 속에서 더욱 깊은 울림으로 다가온다.

윤삼현 시인은 해설에서 이 시집을 “훈육의 시, 추모의 시, 기도의 시이며 동시에 회복과 구원의 시”라고 평하며, 단순한 형식미를 넘어 삶에서 솟아오른 발생론적 미학,

곧 존재에서 자연스레 흘러나온 참된 서정의 세계를 이 시집의 진경으로 짚어낸다.

《회초리 연가》는 시조라는 정형을 통해 단단하지만 따뜻한 시인의 마음을 그대로 전해주는, 가르침이 사랑이 되고, 사랑이 기도가 되는 순간을 만날 수 있는 시집이다.

목차

시인의 말
제1부_ 회초리 연가 05
제2부_ 모정 
가정방문 13
철쭉에 부치는 노래 14
회초리 연가 16
반성문 19
추모 21
스승의 날에 23
수학여행 1- 25
수학여행 2 -27
등대 29
갈꽃섬 이야기 1- 31
갈꽃섬 이야기 2 -32
안부 33
팽목항 소감 37
기도 38
이별 연습 39
제2부_ 모정
모정母情 43
가을, 어머니 45
회초리 연가 47
독백 49
하관 51
성묘省墓 56
난蘭 58
자화상 59
울산바위 61
산에 오르다 63
여정旅情 64
가을비 오는 날 66
사랑 노래 1- 67 
사랑 노래 2 -69
제4부_ 갈릴리 호수에서
땅끝별곡 73 
한듬산 75
겨울 고천암 76
타인의 바다 78
고향에서 온 편지 80
들 샘 82
청보리 84
동백꽃 86
낙화 87
여름 이야기 89
늦가을 산정에서 90
광야를 지나다 91
적설부 93
낙일落日 95
낙엽 97

제4부_ 갈릴리 호수에서

금강산 소회1 - 101
금강산 소회2 - 102
금강산 소회3 - 103
금강산 소회4 - 104
보길도 이야기 1-105
보길도 이야기 2-107
보길도 이야기 3-109
신들의 정원, 앙코르 왓 1-111
신들의 정원, 앙코르 왓 2-113
피라미드 유감有感 115
광야를 지나다 116
시나이에 오르다 118
갈릴리 호수에서 120
베드로 대성당에서 122
예수 승천 기념 성당에서의 기도 124

제5부_ 눈물을 논하다 

눈물을 논하다 127
기도 128
당신이 아프고 나서야 129
길 130
망향가 1 - 132
망향가 2 - 134
서설瑞雪 136
다시 봄을 맞으며 137
봄비 오는 밤 139
말, 문을 열다 141
혼밥 유감 143
당신에게 가는 길 144
흔적 지우기 146
이별을 헤아리며 147
통원 치료 가는 날 148
해설 발생론적 미학과 물큰한 서정_ 윤삼현 150

본문인용

시인의 말 /

다시 새는 날엔
꽉 찬 듯, 텅 빈 듯
진짜 그렇게 살아가고 싶다. 
또 다른 삶의 궤적을 위해.

2025년 봄 유춘홍

시 본문 -

가정방문

봄바람 앞장세워 
보리밭 이랑 지나

진달래 향기 좇아 
사립문 열고 서면

오메메
선상님 오시요 
단내 나는 목소리.

회초리 연가

1. 시험 공부
동그라미 하나에 
폈다지는 꿈이 있어

봄바람에 가슴은
꽃물결로 일렁여도

이 밤사
어두운 창문
별을 헤지 못했더냐.

2. 시험 시간
엄마의 깍지 손이 
시험지에 가득해서

눈에 선 문제들
밑줄 그어 셈을 하다

한숨만
답안지 가득 
파랗게 그렸더냐.

3. 결과 반성
가늠 못 할 꽃샘바람
봄 햇살도 무딘 세상

꿀을 빨 듯 달콤한 게 
사는 맛이 아니란 걸

회초리
매운 손끝에
눈물 찍어 새겨 둬라.

서평

유춘홍 시인의 첫 시조시집 『회초리 연가』는 삶과 언어의 가장 밑바닥에서 길어 올린, 존재론적 서정의 집약체다. 이 시집은 단순한 삶의 기록이 아니라, 고통과 침묵, 믿음과 사랑을 끌어안고 끊임없이 사유하는 시인의 내면 미학을 증명해낸다.
시인은 평생 교단에 몸담은 교육자로서, 제자들과의 관계를 통해 삶의 진정한 의미와 사랑의 본질을 시조 형식 안에 절제된 언어로 새긴다. 『회초리 연가』라는 제목에서 드러나듯, ‘회초리’는 체벌의 도구가 아닌, 스승의 간절한 마음과 훈육의 은유로 재해석된다. 「시험 시간」, 「결과 반성」 같은 시편은 교육 현장에서의 상호 연민과 공감의 풍경을 정서적으로 구현해낸다.
삶과 죽음의 문제 또한 시인은 예리하게 응시한다. 특히 「추모」와 「눈물을 논하다」는 실존적 고통과 상실, 그리고 그 안에서 피어나는 구원의 가능성을 슬픔과 기도의 언어로 끌어낸다. 그 언어는 억지로 울리지 않고, 조용히 번져나간다. 그것이 시인의 미학이다.
더 나아가 이 시집은 신앙과 구원의 서사로 자연스럽게 나아간다. 「산에 오르다」, 「광야를 지나다」, 「기도」 등의 작품은 성서적 이미지와 존재론적 각성을 통해, 시적 자아가 천상과 접촉하는 구도자적 여정을 보여준다. 이는 단지 종교적 고백이 아니라, 인간 내면에 대한 근원적 탐구로 읽힌다.
『회초리 연가』의 서정은 어느 하나 꾸며지거나 포장된 문장이 없다. 시인은 오히려 삶의 땀과 주름을 그대로 쥐고 있는 시인이다. 그의 언어는 차갑거나 냉소적이지 않다. 대신 물근하고 따뜻한 감성, 그리고 끈질긴 기도의 숨결을 품고 있다.
결국 이 시조집은 단순한 미학을 넘어 발생론적 미학, 즉 시인의 삶과 존재에서 자연스레 솟구쳐 나온 진정한 서정의 미학을 보여준다. 이는 오늘날의 시조문학이 지향해야 할 중요한 방향성을 제시한다.
『회초리 연가』는 훈육의 시, 추모의 시, 기도의 시이며 동시에 회복과 구원의 시다. 이 언어들이 모여 하나의 시조적 신념을 만든다. 바로, “삶을 있는 그대로 껴안고도 여전히 시를 믿을 수 있는 용기” 말이다.

저자소개

저자 : 유춘홍
유춘홍(劉春弘) 1958년 전남 해남 출생. 1990년 《시조문학》 등단. 광주전남시조시인협회, 해남문인협회 활동. 남촌문학상, 무등시조문학상 수상.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