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2D 뒤표지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학교학습 효과와 수업 잘하는 교사가 되기 위한)

Instructional Method and Technology


  • ISBN-13
    979-11-6328-646-2 (93370)
  • 출판사 / 임프린트
    동문사 / 동문사
  • 정가
    20,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4-12-30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박완성
  • 번역
    -
  • 메인주제어
    교육체계 및 구조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교육체계 및 구조 #교육방법 #교육공학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교사의 역할과 자질 #학습이론 #교수이론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88 * 257 mm, 272 Page

책소개

교육의 3요소는 교사와 학습자와 교육과정을 말한다. 교육의 4요소는 교사와 학습자와 교육과정 그리고 교육상황(educational context)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면 이 중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무엇일까? 중세의 대학 탄생의 역사를 보면 교사가 있었고 그 훌륭한 교사 밑에 제자들이 모여 학파를 형성했다. 즉 교사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요즘은 교사 변인뿐만 아니라 학습자 변인이 교육에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어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이 매우 중요하게 되었다.

 

이 교재는 대학의 교직을 이수하는 학생들을 위하여 집필되었다. 저자는 다년간 대학의 강단에 선 경험을 기초로 하여 예비교사들이 이 교과목을 통하여 공부하고 학교 현장에 나가 학생들을 인도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려고 하는 마음으로 본 교재의 집필을 시작하였고, 교재의 제목을 ‘학교학습 효과와 수업 잘하는 교사가 되기 위한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으로 결정하였다.

목차

01 교사의 역할과 자질

1. 교사의 영향력

2. 유능한 교사 역할 준비

3. 교사 역할

 

02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의 개념과 교수설계의 이해

1.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의 개념

2. 교수설계의 개념

3. 거시적 교수설계와 미시적 교수설계

4. 교수설계모형

5. 계열화에 대한 이해

 

03 수업과 수업계획

1. 수업과 수업계획을 위한 원리

2. 수업의 단계와 주요활동

3. 수업지도안의 작성

 

04 학습이론에 대한 고찰

1. 학습의 개념

2. 행동주의 학습이론

3. 인지주의 학습이론

 

05 교수이론

1. 교수의 의미

2. 교수이론과 학습이론의 비교

3. 교수학습 지도원리

4. 교수모형

 

06 강의식 수업

1. 강의법이란?

2. 강의순서

3. 강의법의 장·단점

4. 강의식 수업 보충 방안으로서의 판서

 

07 토의·토론법

1. 토의·토론 수업의 필요성

2. 토의·토론의 개념

3. 토의·토론의 규칙과 금기

4. 토의·토론의 본질적 성격 9가지

5. 토의(토론)의 원리

6. 토의(토론) 과정

7. 토의(토론)의 단계

8. 토의(토론) 수업의 교육적 가치

9. 토의(토론)법의 장·단점

10. 토의(토론)의 유형

11. 토의·토론 교수법을 활용하여 수업하기

 

08 협동학습

1. 협동학습의 개념

2. 협동학습의 원리

3. 협동학습의 장·단점

4. 협동학습의 모형

5. 협동학습을 촉진하는 방법

 

09 효율적인 학습법

1. 학습전략

2. 학습양식

3. 학습기술

4. 시간관리법

5. 노트하기

 

10 구성주의적 수업방법

1. 구성주의 학습이론

2. 문제중심학습

 

11 교수매체와 매체의 선정

1. 비투사매체

2. 시각 매체

3. 청각 매체

4. 시청각 매체

5. 컴퓨터 활용 매체

6. 교수매체의 선정과 활용

 

12 학습지도안의 작성

1. 학습지도안 작성의 중요성

2. 학습지도안의 양식

3. 학습지도안의 실제

 

13 웹 활용 수업

1. 웹의 이해

2. 웹을 학습에 활용 시의 장점

3. 웹 활용의 단점

4. 웹 활용 수업의 실제

 

14 미래의 교육방법

1. 미래의 학교 모습

2. 교육공학 관점에서 보는 미래 교육환경

3. 교육공학적 관점에서 보는 미래교육기관의 역할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박완성
박완성(朴垸成)

<경력>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박사(교육심리ㆍ교육방법 전공)
전) 중·고등학교에서 후학양성(교사, 연구부장, 윤리부장)
삼육대학교 입학처장, 입학관리본부장/ 교무부처장
삼육대학교 교육혁신단장, 교수학습개발센터장
학생커리어개발센터 부장/ 인력개발원 부장
법무부 범죄예방위원, 소년 선도위원
서울특별시 교육청 꿀맛닷컴 학부모 튜터
효자중학교 학교운영위원회 부위원장
경기도 교육감 위촉 경기도 진로교육협의회 위원(부위원장)
삼육대학교 스미스학부대학장
현) 삼육대학교 학부 교직과/ 대학원 상담심리학과 교수
교육부 교양선택 교육과정 심의위원
해피에듀연구소 소장

<자격>
평생교육사 1급
APT(적극적 부모역할훈련) 강사
MBTI(성격유형검사) 일반강사
학습상담전문가, 진로상담전문가, 가정상담사, (사)한국군상담학회 수련감독 군상담전문가

<수상내역>
교육부장관상, 서울시 교육청 교육감상 수상

<학회활동>
한국진로교육학회 학회장
(사)한국교육심리학회 운영위원
한국상담학회 산하 한국군상담학회 감사
한국학습상담학회 이사, 안암교육학회 이사, 한국교원교육학회 이사
한국교육학회, 한국교육심리학회, 한국상담학회(가족상담학회, 진로상담학회, 군경소방상담 학회), 한국학습상담학회,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한국심리유형학회 정회원

<저서>
대학생활의 진로돋보기(동문사, 2021)
인생설계와 진로Ⅰ, Ⅱ(삼육대학교, 2021)
새롭게 보는 진로상담(교육과학사, 2013)
신세대교사를 위한 교직실무(학지사, 2012)
정보화 시대의 신세대를 위한 신실기교육방법론(학지사, 2011)
진로교육개론(교육과학기술부, 2010)
진로교육의 이론과 실제(교육과학사, 2011)
중학교 진로와 직업 교과서(지학사, 2011)
고등학교 진로와 직업 교과서(미래앤컬쳐그룹, 2011)
교육실습의 이론과 실제(삼육대학교출판부, 2011)
교육평가(교육과학사, 2007)

<논문>
코로나19로 실시한 온라인 수업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고교생의 진로자아효능감·진로준비행동과 관련변인과의 관계-심리적 독립성, 성역할 정체감, 학업성취를 중심으로
등 수십 편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