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입체표지(3D 표지)
2D 뒤표지

중국 전기차가 온다

자전거 왕국은 어떻게 전기차 강국이 되었나


  • ISBN-13
    979-11-6909-390-3 (03500)
  • 출판사 / 임프린트
    주식회사 글항아리 / 주식회사 글항아리
  • 정가
    22,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5-05-28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먀오웨이
  • 번역
    강정규 , 김광수 , 김민정 , 배인선 , 이도성 , 이벌찬 , 이윤정 , 정성조 , 정은지
  • 메인주제어
    경제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중국 #전기차 #경제경영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40 * 220 mm, 440 Page

책소개

“중국 전기차가 온다.” 

2025년 1월 선봉을 자처한 비야디에 이어 상하이자동차, 샤오펑 등도 ‘한국 상륙작전’에 시동을 걸었다. 비야디가 국내에 출시한 ‘아토3’가 가성비를 앞세웠다면, 지리자동차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 ‘지커Zeekr’는 품질로 승부를 내겠단 전략이다.

세계 전기차 시장의 판도는 한발 먼저 요동쳤다. 2024년 비야디는 전기차 176만 대를 팔아 179만 대를 기록한 미국 테슬라의 왕좌를 넘보고 있다. 하이브리드차까지 포함하면 427만 대로 테슬라의 2.5배에 달

한다. 지리(138만 대)와 상하이자동차(101만 대)의 추격도 매섭다. 전기차 판매량 글로벌 Top 10에 중국 기업만 다섯 곳이다. 

중국 전기차의 공습은 기술력으로 무장했다. 광둥성 선전의 비야디 본사 전시관 벽면엔 4만2000건에 달하는 특허증서가 빼곡히 걸렸다. ‘기술은 왕, 혁신은 근본技術爲王, 創新爲本’이란 문구도 큼지막하게 붙였다. 연구소 11곳에 연구 인력 10만 명이 포진한 비야디는 ‘세계 1위’의 경쟁력이 어디서 나오는지를 잘 보여준다.

가성비 중국차도 옛말이다. 2025년 2월 27일 출시한 샤오미의 ‘SU7 울트라’는 슈퍼카급 성능을 자랑한다.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킬로미터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1.98초에 불과하다. 설계상 최고 속도는 시속 350킬로미터에 이른다. 레이쥔 회장이 “포르쉐 타이칸 터보를 능가한다”며 자신만만하게 웃은 이유다. 판매 개시 2시간 만에 한 해 목표치인 1만 대가 팔릴 만큼 시장의 반응도 뜨거웠다.

혁신은 전기차 공급망 전반으로도 퍼져나가고 있다. 세계 1위 CATL이 제패한 배터리는 물론 수소차 시장도 중국의 깃발로 붉게 물들어 간다. 14억 인구의 애국 소비와 정부 보조금 덕분이란 시각도 있다. 하지만 절반의 진실일 뿐이다. 굴지의 글로벌 기업들까지 포진해 피 튀기는 경쟁을 벌이고 있는 곳이 바로 중국 시장이다. 정글에서 살아남은 ‘무림 고수’들은 이제 넘치는 내공을 해외로 발산하고 있다.

전기차 굴기의 판을 깔아준 건 중국 당국과 관료들이다. 그 대표적인 인물이 이 책의 저자인 먀오웨이苗圩다. 내연기관 전문가 출신으로 2010년부터 10년 동안 국가산업·기술의 주무 부처인 공업정보화부 장관을 역임하며 신에너지차 정책을 진두지휘했다. 시행착오를 거듭하며 깨달은 모든 걸 이 책에 고스란히 담았다. 

“길이 차를 기다릴지언정 차가 길을 기다리게 해선 안 된다.” 먀오웨이가 말하는 전기차 기술 혁신의 핵심 철학이다. 중국의 스마트 도로와 충전소로 대표되는 인프라가 지금의 전기차 전성시대를 이끌었다. 뒤

처진 내연기관 자동차 대신 전기차로 건너뛰어 새로운 경주로를 열었다. 민간 업체들은 당국이 터준 길로 하나둘 옮겨와 거침없이 질주했다.

 ‘자전거 왕국’이었던 중국은 어떻게 ‘전기차 강국’이 됐을까? ‘시진핑 사상’을 운운하는 중국 관료의 문법이 낯설지만, 객관적 진술을 따라 읽으면 답이 보인다. 중국의 기술 역전을 외면해선 안 된다. 베이징 특파원 9명이 이 책을 함께 읽고 번역 작업에 나선 이유다. 

목차

전언  

서문  

 

 1장 : 자동차 산업, 대변혁을 마주하다  

 1_ 바퀴 위의 혁명  

 2_ ‘초읽기’에 들어간 동력혁명  

 3_ 도약을 이끄는 소프트웨어  

 4_ 재편되는 공급사슬  

 

 2장 : 폭풍우 속에서 오래 버티는 힘  

 1_ 앞서나간 기술 연구개발  

 2_ 각자의 장점이 뚜렷한 시범 구역  

 3_ 치밀하게 그려낸 산업화 청사진  

 4_ ‘고속도로’ 단계에 진입한 발전 여정  

 

 3장 : 전기차가 먼저냐, 충전소가 먼저냐  

 1_ 카멜레온처럼 변화하라: 충전소  

 2_ 중국의 표준이 세계로: 급속충전  

 3_ 자신의 색깔을 찾아라: 배터리 스와핑  

 4_ 납득 가게, 질서 있게: 수소충전소  

 

 4장 : 핵심 부속품 강화  

 1_ 동력배터리의 약진  

 2_ 글로벌 경쟁의 출발선에 선 중국 ‘배터리 관리시스템BMS’  

 3_ 내실을 다지는 전기모터 기술  

 4_ 폐배터리 재활용  

 [대담] 중국 전기차 발전의 몇 가지 걸림돌  

 

 5장 : 완성차들의 제품별 특징  

 1_ 선구자: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2_ 주력 부대: 순수 전기차PEV  

 3_ 전진하여 탐험: 연료전지차  

 4_ 표준화: 저속 전기차LEV  

 5_ 무한한 잠재력: 신에너지 상용차  

 

 6장 : 자동차 업계 혁신 경쟁 방아쇠  

 1_ 신흥 강자 ‘웨이샤오리’의 고지 선점  

 2_ 진입 문턱에 걸린 ‘좀비기업’들  

 3_ 끈질긴 실천, 비야디 역전의 발판  

 4_ 베이징차, 과잉생산과 실적 널뛰기  

 5_ 보조금 벗어난 우링훙광의 차별화  

 6_ 현실 안주는 금물, 독립 브랜드 아이온  

 7_ “노병은 죽지 않는다” 다시 뛰는 ‘빅3’  

 [대담] 산업화 발전의 전환점  

 

 7장 : 안전 우려를 없애라  

 1_ 바보야, 핵심은 배터리 안전이야  

 2_ 충전의 ‘안전벨트’를 꽉 조여라  

 3_ 완성차 안전, 손 놓고 있을 수 없다  

 

 8장 : ‘대국’이 ‘강국’이 된 비밀  

 1_ 역량을 모아라, 큰일을 해내라  

 2_ 차선을 바꿔야 추월한다  

 3_ 손끝을 보고 전진하라  

 4_ 선수는 앞으로, 감독은 뒤로  

 [대담] 산업 재출발의 몇 가지 초점  

 

 9장 : 끊임없이 노력해 후반전을 맞이하다  

 1_ 도전 속 ‘쌍탄’의 새로운 기회를 잡아야  

 2_ 스마트카 시대에서  

 3_ 날아라 신에너지차  

 

후기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먀오웨이
1955년 베이징 출생, 허페이공업대학에서 내연기관을 공부했다. 중국 기계공업부(지금의 공업정보화부) 차석 엔지니어, 둥펑자동차 총경리를 지내며 자동차 전문가로 성장했다.
2005년 자동차 도시 우한 당서기와 후베이성 당위원회 상무위원에 올랐다. 2008년 공업정보화부 차관에 이어, 2010년 12월엔 장관으로 발탁됐다. 중국의 산업·기술을 총괄하는 부처의 수장으로서 10년 동안 전기차 산업 육성과 ‘중국제조 2025’ 전략 이행의 중요 역할을 했다. 2023년부터는 중국 최고 국정자문기구인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의 상무위원과 경제위원회 부주임을 맡았다.
번역 : 강정규
YTN 베이징 특파원 | 교환학생 시절 중국에서 마르크시즘과 마오쩌둥 사상 수업을 찾아 들었다. 중국 역사교과서로 졸업 논문을 썼고, 대학원에선 북핵을 연구했다. 지금은 베이징에서 중국 소식을 전하고 있다.
번역 : 김광수
서울경제신문 베이징 특파원 | 대학에서 중어중문학을 전공했고, 2005년 입사 후 2019년 저장대에서 연수했다. 중국대학원에서 공부한 뒤 2022년부터 베이징에서 4년째 중국의 기술 발전을 체감하고 있다.
번역 : 김민정
KBS 베이징 특파원 | 대학에서 중어중문학을 전공하고 기자로 살다가 통번역대학원에서 잊고 지냈던 중국어를 다시 공부했다. 전공을 살려서 밥벌이를 해보려 중국 살이를 택했다.
번역 : 배인선
아주경제 베이징특파원 | 중국 베이징 특파원 4년차다. 고등학교 때 시작한 중국어 공부가 인연이 돼 대학과 대학원에서 중국을 전공했다. 신문사 입사 후에도 중국이라는 한우물만 쭉 파는 중이다.
번역 : 이도성
중앙일보-JTBC 베이징특파원 | 10여 년 만에 베이징으로 돌아온 중국학 전공자. 하루가 다르게 괄목상대하는 중국을 글과 영상으로 기록하고 있다. 일로도 취미로도 중국을 공부한다.
번역 : 이벌찬
조선일보 베이징 특파원 | 베이징대학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2014년 신문사에 입사해 사회부, 국제부, 산업부 등을 거쳤다. 저서로는 『딥시크 딥쇼크』 『AI소사이어티』 『북중 머니 커넥션』 등이 있다.
번역 : 이윤정
조선비즈 베이징 특파원 | 기자가 된 직후부터 베이징 특파원을 꿈꿨고 준비했다. 중국에 오기 전까지 배터리 산업을 취재해 전기차에도 관심이 많다. 저서로는 『한국의 젊은 임원들』이 있다.
번역 : 정성조
연합뉴스 베이징 특파원 | 대학에서 중국어를, 대학원에서 중국 정치를 공부하고 늦깎이로 기자가 됐다. 중국 생활 1년 반이 넘었지만 매일 같이 터지는 사건들에 여전히 적응 못 하고 있다.
번역 : 정은지
뉴스1 베이징 특파원 | 중국이 세계무역기구에 가입한 직후 중국 유학길에 올랐다. 런민대학을 졸업하고 언론사에 입사해 기자가 됐다. 2023년 뉴스1 초대 베이징 특파원으로 부임해 하루하루 바뀌는 중국을 관찰 중이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