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개정 교육과정의 ‘깊이 있는 학습’을 위한 다양한 실천 방안 제공
학생 주도성을 위한 준비와 실행 과정을 수업과 사례 중심으로 구체적 제시
기초소양을 키우는 AI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방안 제시
성취기준 기반의 논·서술형 평가 방안과 루브릭 제작 방법 소개
2022 개정 교육과정은 깊이 있는 학습을 위해 ‘핵심 아이디어 중심의 수업 설계, 교과 내 영역 간 및 교과 간 내용의 연계성 고려, 삶과 연계한 의미 있는 학습, 탐구 방법의 학습 및 학습에 대한 성찰, 기초소양 학습’ 등을 강조하고 있다. 2022 개정 교육과정에 새롭게 등장한 개념인 핵심 아이디어는 해당 교과의 얼개를 드러낸 것으로, 교사가 가르치는 게 아니다. 학생들의 주도성과 역량을 키웠을 때 이해하고 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런 깊이 있는 학습을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하게 보일 수 있다. 이런 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안내서가 바로 이 책이다.
AI 디지털 교과서(AIDT)가 등장했지만, 수업의 모든 것을 AI 디지털이 해결할 수 있는 게 아니다. 수업은 디지털과 아날로그의 조화를 추구해야 우수한 성과를 낼 수 있다. AI 시대에도 학교 교육은 학생과 교사가 함께 주도성을 발휘하여 사유 역량을 키워야 한다.
AI로만 수업하는 실험은 미국에서 진행된 적 있고 실패로 판가름 났다. AI 디지털 교과서는 수업의 한 요소다. 미래형 수업은 교사와 학생이 주도하게 되고 AI 교과서를 활용하기도, 다른 교재로 공부할 수도 있다(정제영,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원장). 이런 맥락에서 이 책은 깊이 있는 학습의 전반에 관하여 2022 개정 교육과정을 토대로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더불어 협력 학습과 개별 학습의 실천을 위한 준비와 실천 과정도 자세히 안내하고 있다.
이 책의 안내에 따라 수업 평가를 설계하면 모든 교과(목)에서 2022 개정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교육의 가치를 더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론을 최소화하여 실용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다양한 활동을 활동지와 함께 제공하고 있다. 이것은 이 책이 가지는 가장 큰 미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