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을 재미나고 처연하게 그려낸 인생 비망록
그래도 인생은 살만한 것이다. 악전고투로 살아온 추억이 있기 때문이다. 지나온 생의 환상과 권태와 희망과 환멸이 뒤섞인 추억은 존재의 본질이기 때문이다. 모든 존재는 추억을 발판 삼아 미래로 나아간다. 추억은 가혹한 현실을 살아내는 존재를 환하게 불 밝히는 쏘시개로 작동한다. 그리하여 추억을 먹고 마시고 태우며 사는 인생은 살만한 것이다.
양병호 시집 『그리워라 홍길동』은 지나온 추억을 생동감 있게 리메이크하고 패러디한다. 시인을 키워온 문화예술철학과의 치열한 연애를 사색한다. 시인은 노래와 그림과 시와 영화와 책과의 신나는 연애사를 몽상한다. 그 추억은 아름답다. 그러나 처연한 슬픔이 배어있다. 그 추억은 재미나다. 그러나 아릿한 실의가 풍겨난다. 마치 인생이 기쁨과 슬픔과 희망과 좌절로 점철되어 있듯이.
전북대학교 국문과 교수인 양병호 시인의 이번 시집은 36년의 교직 생활을 마감하는 기념시집으로 기획되었다. 자신의 정신과 영혼에 자양을 공급한 예술작품을 소환하여 고마운 마음을 헌정한다. 그가 소환한 예술가와 작품 목록은 다채롭다. 가요에 양희은, 송창식, 진성, 송대관, 배호, 이장희, 목포의 눈물, 황성옛터 등, 시(인)에 만해, 소월, 영랑, 릴케, 에밀리 디킨슨, 헌화가, 공무도하가, 쌍화점 등, 그림에 고흐, 샤갈, 이중섭, 김홍도, 신윤복, 박수근, 뭉크 등, 영화에 쇼생크 탈출, 닥터 지바고, 빠삐용, 러브 스토리, 영자의 전성시대, 용쟁호투 등, 서적에 어린왕자, 만다라, 논어, 무소유, 별, 돈키호테, 빨간책, 선데이서울 등이다. 하여 이 시집은 앞서간 문화예술인들의 성취를 신나게 재생하고 업적을 재미나게 고양하는 헌정시집의 성격을 띤다.
라이너 마리아 릴케의 「두이노의 비가」는 인생의 본질인 고독자의 의미를 관통하는 의미로 재해석된다.
덧없는
꿈일지라도
산다는 것은 즐거운 일이다
어둔 밤
촛불처럼
홀로 소리 죽여 울게 되리라
「두이노의 비가 – 라이너 마리아 릴케여」 전문
추사 김정희의 그림 「세한도」는 인생의 본색인 외로움과 허무를 기록한 그림으로 재평가된다.
강설도 멈추고
인적도 끊겼다
한겨울
꽝꽝하다
새도 날지 않아
묵묵부답의 풍경
허름한
집
한
채
허허롭다
「세한도 - 추사 김정희 그림에 부쳐」 부분
양병호 시집 『그리워라 홍길동』은 지나온 생의 문화예술철학에 대한 추억을 아름답고 소슬하게 구축한다. 그 추억의 바탕에는 인생의 희로애락이 장강처럼 도도히 흐른다. 삶의 방방곡곡을 활달하게 주유하는 체험과 발랄한 상상력은 가히 대하드라마에 버금간다. 시편의 에스프리는 흐뭇한 미소와 헛헛한 슬픔을 교직하여 역설적 인생의 페이소스를 펼쳐 보인다. 하여 외롭고 쓸쓸한 세상에서 부박하게 삶을 이루는 존재들에게 따스한 위로를 전달한다. 그래도 살아갈 만한 인생이라고 정답게 속삭인다. 그러하기 때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