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제1장 서론
1. 문제 제기와 연구과제
2. 기존 연구 검토
3. 연구 범위와 연구 방법
1) 연구 범위
2) 연구 방법
제2장 이론적 검토
1. 리더십 이론
1) 왜 리더십인가?
2) 리더십 이론의 발전
2. 카리스마적 리더십 이론
1) 카리스마적 리더십의 특징
2) 카리스마적 리더십과 ‘변화 저항’
3) 카리스마의 승계
4) 카리스마적 리더십 구축과 ‘합리성’의 문제
3. 논문의 분석틀
제3장 카리스마의 기원과 스탈린 개인숭배 비판
1. 카리스마적 리더십의 기원과 개인숭배
1) 카리스마적 리더십의 기원
2) 개인숭배로 발전해 나간 카리스마
3) 개인숭배에 대한 차별적인 태도와 대응
4) 카리스마체제 구축과 그 특징
2. 스탈린 개인숭배 비판과 중·북의 대응
1) 스탈린 사망으로 불거진 ‘개인숭배’ 문제
2) 흐루쇼프 ‘스탈린 개인숭배 비판’의 충격
3) ‘스탈린 개인숭배 비판’에 대한 불만과 이탈의 조짐
3. 소결
제4장 도전받는 ‘카리스마의 반격’
1. ‘도전’과 ‘응전’, 강화된 마오쩌둥 개인숭배
1) 첫 ‘도전’ 직면한 마오쩌둥 카리스마 리더십
2) 대약진과 ‘8차 당대회 뒤집기’
3) 개인숭배의 이론화
4) 대약진의 혼란과 개인숭배 충돌
2. 대내외 ‘도전’ 극복과 유일사상체계의 ‘서막’
1) 개인숭배 갈등의 폭발, ‘8월 종파사건’
2) 중·소의 개입과 김일성의 최대 위기
3) 김일성의 반격과 대내외 위기 극복
4) 김일성 유일사상체계의 ‘서막’
3. 소결
제5장 문화대혁명과 정치적 반대파의 운명
1. 중국 문화대혁명: 개인숭배가 촉발한 비극
1) 대약진의 대실패와 상처받은 카리스마
2) 개인숭배로 손잡은 마오쩌둥-린뱌오 연합
3) 마오쩌둥 카리스마의 변화 저항
4) 문화대혁명: ‘개인숭배가 촉발한 대재난’
2. 북한판 문화대혁명: 유일사상체계 구축
1) 경제위기와 ‘혁명전통’의 다변화 기류
2) 갑산파 숙청과 김정일의 등장
3) 「5.25 교시」와 유일사상체계
4) 북한판 문화대혁명
3. 카리스마체제와 정치적 반대파의 운명
1) ‘타협적’ 숙청 vs ‘비타협적’ 숙청
2) ‘카리스마 중심’의 집중도와 반대파와의 관계
4. 소결
제6장 반개인숭배의 제도화 vs 개인숭배의 제도화
1. 중국, 반개인숭배의 제도화
1) 마오쩌둥-린뱌오 ‘개인숭배 연합’의 파국
2) 개인숭배 극복의 마지막 고비
3) 반개인숭배의 제도화
2. 북한, 개인숭배의 제도화
1) 유일지도체계 구축과 후계구도
2) 개인숭배의 제도화와 혈통승계
3. 소결
제7장 결론
부록
〈부록 1〉 「유일사상체계10대원칙」의 원형(1967년)
〈부록 2〉 「당의 유일사상체계확립의 10대원칙」(1974년)
〈부록 3〉 「당의 유일적령도체계확립의 10대원칙」(2013년)
〈부록 4〉 중국공산당 「당내 정치생활에 관한 약간의 준칙」(1980년)
〈부록 5〉 중국공산당 제12차 당대회 당헌(1982년)
〈부록 6〉 중화인민공화국 헌법(1982년)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