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입체표지(3D 표지)
2D 뒤표지

분열과 통합의 남북 체육사(1947∼1991)


  • ISBN-13
    979-11-6068-971-6 (93910)
  • 출판사 / 임프린트
    도서출판 선인 / 도서출판 선인
  • 정가
    35,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5-06-02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최진환
  • 번역
    -
  • 메인주제어
    아시아사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아시아사 #남북관계 #남북 단일팀 #서울올림픽 #IOC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52 * 225 mm, 510 Page

책소개

  이 책은 필자가 2020년 박사 학위를 받은 내용과 졸업 후, “남북 ‘단일팀’과 올림픽 ‘공동주최’ 논쟁에 관한 연구”를 보완하여 쓴 책이다. 필자는 2019년과 2023년 두 번에 걸쳐 스위스 로잔에 있는 IOC 아카이브 센터를 방문해서 1947년부터 1991년까지 남과 북이 IOC와 주고받은 서신(당시로는 공문서)과 회의록, 브런디지 컬렉션(1952~1972년까지 IOC 위원장인 그의 서신 모음집)을 수집해서 정리하였다. 또한 국가기록원의 남북 체육 회담록(1979~1991)과 외교부 공개문서(1963~1991)에서 남북 체육 교류와 회담 관련 내용 그리고 북한의 공간 문헌 등을 참고하여 기존 연구에서 놓치고 있었던 역사적 사실을 재구성하여 그 함의를 밝히려고 하였다.

  2019년 스위스를 방문했을 때는 박사 학위 논문을 쓰기 바쁘고 자료의 양이 방대해 1972년까지만 자료를 확보해 왔다. 1950~60년대 남북 관계 자료가 많지 않은 시기의 자료들이라 가슴이 두근거리며 수집했던 기억이 있다. 학위를 마치고 나니 70년대 이후의 내용도 너무 궁금해졌다. 통일부 신진연구자로 선정되어 바로 가려고 했으나, 코로나로 두 번이나 연기되면서 2023년에 다시 방문하여 나머지 자료 수집에 성공했다. 80년대 자료는 88 서울 올림픽 관련 내용이 주를 이룬다. 우리가 알고 있던 내용 이면에 어떤 상호 작용이 있었는지 보다 자세히 들여다볼 수 있었다. 그리고 1991년 최초 단일팀이 구성되던 시기 국내와 북한에서는 어떤 움직임으로 성사되었는지를 또한 살펴볼 수 있었다. 이 연구에는 당시 노태우 북방정책에 관해서 다시 재조명하게 된 의미있는 시간이었다. 

  결론적으로 1990년까지 남북의 단일팀 구성이 어려웠던 이유는 서로 지향하는 바가 뚜렷해서 성사되지 못했다. 그러다가 1991년 노태우 정부의 북방정책과 정치적 결단에 의해 탁구와 축구 종목을 통해 단일팀 구성을 성사시킬 수 있었다. 남북의 화해는 해외 동포들에게 더 반가운 일이 되었다. 하지만, 북방정책을 폐기하려는 신보수의 등장과 함께 북방정책은 과거 뒤안길로 사라지게 되었다. 그 기회는 다시 오기 힘든 매우 귀중한 시기였음을 알게 해준다.

목차

 

머리말 

 

 

1장 | 서론

 

 

2장 | KOC 승인과 북한의 등장

1. KOC 탄생과 역할

 

2. 북한의 올림픽 참가 요구

 

3. 남한의 거부와 북한 올림픽 참가 좌절

 

4. IOC 내 KOC 퇴출설에 따른 단일팀 회담 수용

 

5. 최초의 남북 당국자 체육회담

1) 1차 로잔 회담(1963. 1. 24.)

2) 1차 홍콩 회담(1963. 5. 17.~6. 1.)

3) 2차 홍콩 회담(1963. 7. 26.)

4) 2차 로잔 회담(1963. 8. 19.)

 

 

3장 | 북한의 IOC 가입 운동

1. ‌북한(North Korea) NOC 승인과 1964년 인스브루크, 도쿄올림픽

 

2. 홍명희, 우리의 국호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DPRK)이다

 

1) 제67차 멕시코 IOC 총회(1968. 10. 7.~11.)

2) 제68차 바르샤바 IOC 총회(1969. 6. 7.~9.)

3) IOC 인물 간의 입장과 변화

 

3. 남북 스포츠 분단과 엘리트(전문) 체육 정책 강화

1) 1972년 8월 뮌헨하계올림픽

2) 남북의 국가 주도 스포츠 정책 강화

 

4. 소결

 

 

4장 | 남북 스포츠 대결과 통합 시도

1. 남북 스포츠 경쟁의 소산

 

2. 1979년 세계탁구선수권대회 단일팀 구성 회담(1~4차)

1) 1차 회담(1979. 2. 27.)

2) 2차 회담(1979. 3. 5.)

3) 3차 회담(1979. 3. 9.)

4) 4차 회담(1979. 3. 12.)

 

3.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 단일팀 제안과 거부

 

 

5장 | 남북의 명암, 88서울올림픽 

1. 1981년 바덴-바덴과 서울올림픽 유치

 

2. 북한의 올림픽 방해 공작 이슈

1) 국제 사회의 올림픽 장소 변경 논란(1982~1986)

2) 버마 폭발 사건(1983. 10. 9.)

3) 김포공항 폭발 사건(1986. 9. 14.)

4) 금강산 댐 개발 대응 사기 사건(1986. 10. 30.)

5) KAL기 폭발 사건(1987. 11. 29.)

 

3. 1984년 LA올림픽(1~3차 회담)

1) 1차 회담(1984. 4. 9.)

2) 2차 회담(1984. 4. 30.)

3) 3차 회담(1984. 5. 25.)

4) 북, LA올림픽 불참 선언과 남, 체육회담 제의

 

4. 88 서울, 남북 올림픽 공동주최 논쟁

1) 공동주최 제안 배경

2) IOC 로잔 1차 회담(1985. 10. 8.~9.)

3) IOC 로잔 2차 회담(1986. 1. 8.~9.) 

4) IOC 로잔 3차 회담(1986. 6. 10.~11.)

5) IOC 로잔 4차 회담(1987. 7. 14.~15.)

6) 북한의 88서울올림픽 불참 선언(1988. 1. 12.)

 

5. IOC 고문 피사르(Pisar) 제안과 반쪽 올림픽

 

 

6장 | 남북 단일팀 성사와 한계

 

1. 1990년 베이징 아시안게임

1) 1~5차 본 회담(1989. 3. 9.~11. 24.)

2) 1~3차 실무 대표 접촉과 6차 본 회담(1989. 12. 1.~12. 22.)

3) 4~5차 실무 대표 접촉과 7차 본 회담(1990. 1. 10.~1. 18.)

4) 6차 실무 대표 접촉과 8~9차 본 회담(1990. 1. 22.~2. 7.)

 

2. 노태우 대통령 북방정책과 단일팀 성사

1) 북방정책 배경과 난관

2) 최초 1991년 세계탁구선수권대회, 세계청소년축구대회 단일팀 구성

3) 1~3차 회담(1990. 11. 29.~1. 30.)

4) 4차 회담(1991. 2. 12.), 단일팀 구성 최종 합의

5) 남북 최초 단일팀 구성과 평가

 

3.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단일팀 구성 실패

 

4. 단일팀과 공동주최 논쟁에 관한 소고

1) 단일팀 구성 논쟁

2) 공동주최 논쟁

 

 

7장 | 결론

 

 

참고문헌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최진환
고려대학교와 연세대학교에서 체육교육을 전공하고, 2020년 북한대학원대학교에서 「IOC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올림픽위원회 승인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통일부 신진연구자 공모 연구, 학회 논문 게재, 책 집필, 특강 등으로 계속 연구 중이다. 주요 연구로는 「김정은 시대 체육시설의 변화와 의미」(2019), 「남북 스포츠 분단의 역사적 함의」(2020), 「88 서울올림픽 남북 공동주최 논쟁에 관한 연구」(2021), 「남북한 중학교 체육교육과정 비교연구」(2021), 「1991년 남북단일팀 성사와 단절에 관한 고찰」(2022), 「남북 접촉지대의 기원으로서 1963년 체육회담 고찰」(2024) 등이 있다. 저서로는 『쫌 이상한 체육 시간』(2022, 창비교육)이 있다. 본업은 서울 공립학교 체육 교사이다. 현재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초빙연구위원으로 북한 체육·문화 연구를 병행하고 있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