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내 코칭은 100% 코칭이며, 의문의 여지가 없다. 사내 코치는 외부 코치와 마찬가지로 고객이 [심신이] 건강하고, 온전하며, 창의적이라고 믿는다. 이는 사내 코치가 자신의 전문 지식보다는 고객의 경험과 전문 지식을 더 많이 의지한다는 의미이다. 사내 코치와 외부 코치는 모두 말함으로써 자신의 탁월함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질문함으로써 고객의 탁월함을 끌어내는 데 중점을 둔다. (25쪽)
이미 시스템의 일부인 사내 코치는 고객과 관계적 역사가 있고 코칭 대화 중에 언급되는 개인과 팀을 이미 알고 있다. 사내 코치는 시스템 내에 있을 뿐 아니라 시스템의 일부이기도 하다. (26쪽)
“직원들이 필요할 때 지원하고, 더 자립하고, 더 큰 힘과 동기를 얻어 성공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돕는 사람이 조직 내에 있다고 상상해 보세요. 그 가치가 얼마나 클까요? 각 개인이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면, 조직은 더 효과적effective이고 효율적efficient으로 운영될 것입니다. (39쪽)
한 명 이상의 사내 코치에게 지급하는 급여는 조직의 중요한 투자입니다. 사내 코치의 작업에서 얻을 수 있는 향상된 효율성과 동기 부여, 성과는 그들의 급여로 지불하는 금액을 훨씬 뛰어넘는 가치를 만들어냅니다. 또한 사내 코치에게 투자하는 비용은 외부 코치를 고용하는 것보다 훨씬 경제적이며, 장기적으로 조직에 지속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그만한 투자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40쪽)
“나는 항상 사람들이 잠재력을 발휘하고, 스스로 최고의 사람이 될 수 있도록 돕는 일을 좋아했습니다. 용기를 내어 인사팀 임원진에게 코치 자격증을 취득하는 것을 지원해 줄 수 있는지 물어봤어요. 그들도 용기 있게 ‘예’라고 대답했습니다. (69쪽)
사내 코칭의 핵심 원칙을 설명하기 위한 배경으로 역량competencies과 핵심 원칙의 차이를 제시하고자 한다. 간단히 말하자면, 스킬과 전략의 차이이다. 역량은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는 구체적인 기술 또는 기준benchmarks을 말한다. 예를 들어 코칭에서 중요한 역량 가운데 하나는 적극적 경청이다. 효과적인 코칭은 적극적인 경청을 특징으로 한다.
핵심 원칙은 역량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접근 방식, 전략, 관점이다. 예를 들어 코칭의 핵심 원칙 중 하나는 질문이 답보다 더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 핵심 원칙은 코치가 경청한 후 어떻게 반응할지를 결정한다. (77쪽)
반면에 사내 코치는 고객의 일상 속에서 함께 생활하며, 그 혼란 속에서 코칭을 진행한다. 유능한 사내 코치는 자원, 기술, 전문 지식expertise으로 가득 찬 도구 상자를 손끝에 두고 언제든지 꺼내 쓸 수 있어야 한다. (86쪽)
사내 코칭에는 수많은 고유한 특징이 있지만, 외부 코칭과 비교하면 적어도 한 가지 공통점이 있다. 이 공통점은 모든 코칭의 출발점이다. 우리는 이 출발점을 코칭 마인드셋 또는 경우에 따라 코칭적 태도라고 부른다. 코칭 대화의 주제나 초점과 관계없이 코칭적 태도는 동일하다. (89쪽)
전문가 대 전문가 관계는 외부 코칭 관계보다 사내 코칭 관계에서 훨씬 더 뚜렷하게 나타난다. 일반적인 사내 코칭 대화에서는 사내 코치가 일반적인 외부 코치보다 더 빨리 역할을 바꿀 뿐만 아니라 그 빈도도 훨씬 더 자주 있다. (104쪽)
사내 코칭에는 세 번째 관계가 있다. 세 번째 관계는 코치가 변화를 위해 참여하게 된 조직 시스템과의 관계이다. 따라서 코치는 본질적으로 조직 시스템을 코칭하는 것이다. 코치가 함께 일하는 작은 단위에서 변화를 만들어내면, 그 영향이 조직 전체로 확산될 수 있다. (114-115쪽)
사내 코칭의 특징은 코칭에 관한 주도적인 행동이 다방향적이라는 점이다. 사내 코칭 대화는 고객, 상사, 후원자, 최고 경영진, 심지어 코치 등 다양한 주체에 의해 시작될 수 있다. 사내 코치는 일상적인 업무 환경의 일부이기 때문에 코칭 대화를 주도적으로 시작하는 경우가 많 다. 이는 사내 코치의 일상적인 업무 환경에서 자주 발생하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129쪽)
자신의 혼란 속에서 살아간다는 어색함과 불편함은 조직에서 매일 이루어지는 결정과 변화의 한가운데에 있기 때문에 생기는 직접적인 결과이다. 다시 말해, 외부 코치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시점에서 주요 변화와 수행implementation의 특정 순간들을 스냅샷처럼 보지만, 사내 코치는 수행과 변화를 실시간 영상으로 보고 있으며, 동시에 그 영상의 등장인물로 참여한다. 이는 사내 코치가 항상 준비된 상태로 있어야 한다는 부담을 더 할 수 있다. (157쪽)
자신의 가치를 입증하기 위해 자주 간과되는 전략은 HR 부서와의 정렬align이다. 그들은 사내 코치의 가장 큰 지지자가 될 수 있는 그룹 중 하나이다. HR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과 사내 코치가 정렬되어 있으면, 가시성이 높아진다. (18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