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러두기
서문
제1편 중국 근현대 각 정당 및 정치집단과 한국독립운동
제1장 현대 중한관계 발전의 역사적 요소
제2장 북양 집단과 한국 독립운동
제1절 북평(北平) 중앙정부의 대한관계
제2절 길림(吉林) 지방 당국의 ‘엄격함과 관대함’
제3절 혼춘(琿春) 사건과 한국 독립운동에 대한 중일 연합 단속
제3장 남방호법군정부와 한국독립운동
제1절 손문의 한국 지원 사상
제2절 호법군정부의 한국 지원 행동
제3절 손-신의 ‘상호승인’에 관한 역사적 평가
제4장 중국 국민당과 한국 독립운동
제1절 중일전쟁 전 중국 국민당의 대한관계
제2절 중일전쟁 이전 중국 국민당의 대한정책
제3절 태평양전쟁 발발한 후 중국 국민당의 대한정책
제4절 2차 세계대전 이후 중국 국민당의 대한정책
제5장 중국 공산당과 한국독립운동
제1절 중국 공산당 관내지역에서의 대한관계
제2절 중국 공산당의 동북 지역에서의 대한 관계
제3절 중국 공산당의 적후 항일전장에서의 대한 관계
제4절 중국 공산당과 한국임시정부의 관계
제2편 한국독립운동특집 - 한국주화대표단 연구
제1장 한국주화대표단의 연구 기인
제2장 한국임시정부 주화대표단 설립의 배경
제1절 2차 세계대전 후 한국임시정부가 직면한 문제
제2절 전후 한국임시정부의 응대방안
제3장 한국임시정부 주화대표단의 설립 및 기구
제1절 전후 한·중 한교문제의 초보적 교섭
제2절 한교선무단의 설치
제3절 한국임시정부 주화대표단의 설립
제4절 한국임시정부 주화대표단의 하위지구 및 변천
제4장 한국 주화대표단의 정치외교활동
제1절 4강의 조선반도 신탁통치 반대
제2절 한국 국내의 독립광복투쟁에 성원
제3절 대미국 외교 시도
제4절 한국임시정부가 있어야 하는 역사적 지위 쟁취
제5장 한국 주화대표단과 중국 정부간의 관계
제1절 중국정부에 한반도의 중요정보 제공
제2절 중국정부에 협조하여 한국 관련사건 처리하기
제3절 적극적인 중·한 우호관계 추진
제4절 한국독립당과 중국정부 간의 적극적인 관계 추진
제6장 한중 관내지역의 한교민 문제 교섭
제1절 한교민 집중문제의 교섭
제2절 한교 산업문제 교섭
제3절 한교 관리문제의 교섭
제4절 한교 송환문제의 교섭
제5절 한교민 전적 관리권을 얻기 위한 교섭
제6절 한중 통항문제의 교섭
제7장 한중 동북지역 한교문제 교섭
제1절 교섭의 중심문제로 부각된 동북한교문제
제2절 동북지역 한교 농업대출 교섭
제3절 동북한교 핵심군대 훈련문제 교섭
제4절 동북한교 산업문제의 교섭
제5절 동북한교 송환문제 교섭
제8장 한국 주화대표단의 해체
제1절 미국 주한군정부 대표 중국에서의 활동
제2절 이승만 중국 방문 및 그 영향
제3절 중국에서 우호활동 계속
제4절 한국 주화대표단의 종료 선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