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입체표지(3D 표지)
2D 뒤표지

(개정판)집단상담을 위한 동물매개치료의 이론과 실제


  • ISBN-13
    979-11-91950-82-3 (03490)
  • 출판사 / 임프린트
    (주)형설이엠제이 / 형설eLife
  • 정가
    22,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5-03-21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김옥진 , 강원국 , 오가영 , 이민자 , 장윤석
  • 번역
    -
  • 메인주제어
    심리치료: 일반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심리치료: 일반
  • 도서유형
    종이책, 반양장/소프트커버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76 * 251 mm, 268 Page

책소개

동물매개치료는 동물을 사람 대상자의 치료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재의 도구로 활용하여 심리치료 또는 재활치료를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국내외적으로 동물매개치료의 놀라운 효과는 과학적 연구 결과로 잘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도 한국동물매개심리치료학회(www.kaaap.org)가 2008년 창립되어 국내 동물매개치료의 학술적 지원과 자격을 갖춘 동물매개심리상담사를 양성하는 데 기여하고 있으며, 동물매개치료의 과학적 접근과 학술적 지원을 위하여 국내 최초로 2008년 원광대학교 대학원에 동물매개심리치료학과를 신설하여 동물매개치료의 효과에 대한 과학적 학술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그동안의 학술활동을 통하여 습득한 동물매개치료의 놀라운 효과와 과학적 검증 결과들을 접하면서, 저자들은 집단상담을 계획하는 동물매개심리상담사에게 도움을 드리고자 지침서로 활용될 수 있는 도서를 계획한 바 있다.

본 교재는 동물매개심리상담사와 동물매개치료 관련 전문가들에 동물매개치료를 활용한 집단상담 활동에 필요한 지식과 프로그램을 제시하는 기본 지침서로 동물매개치료 활동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확신한다.

본 교재가 동물매개치료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관련 활동과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여 줄 수 있으면 하는 바람으로 이 글을 맺을까 한다.

2025년 2월 28일

저자 일동

목차

제1장 동물매개치료

1. 동물매개치료(AAT) 이해 010

 1) 동물매개치료의 역사와 발전 010

 2) 동물매개치료에 공헌한 학자 012

 3) 동물매개치료의 개념 014

2. 동물매개치료(AAT) 구성 요소 018

 1) 동물매개치료의 구성과 역할 018

 2) 동물매개치료의 4대 구성 요소 019

 3) 치료도우미동물의 조건과 기준 037

3. 동물매개치료(AAT) 특징 및 효과 기전 041

 1) 동물매개치료의 특징 041

 2) 동물매개치료의 효과 042

 3) 동물매개치료의 효과 기전 046

4. 동물매개치료(AAT) 유의점 054

 1) 동물매개치료 활동 시 유의사항 054

 2) 치료도우미동물 복지 향상을 위한 권장 사항 056

 

제2장 집단상담

1. 집단상담 이해 060

 1) 집단상담의 정의 060

 2) 집단의 유형 061

 3) 집단의 형태 065

 4) 대상별 상담 068

 5) 집단상담 장점 및 한계점 070

 6) 집단상담사의 자질과 윤리 072

2. 집단상담 과정 076

 1) 집단상담 계획 076

 2) 초기 단계 080

 3) 중기 단계 083

 4) 종결 단계 090

 5) 추수 단계 092

3. 집단상담 효과 증진을 위한 기술 및 활동 094

 1) 집단변화 촉진 094

 2) 집단과정 기술 097

 3) 집단내용 기술 099

 

제3장 집단상담에 따른 상담이론

1. 정신역동적 집단상담 106

 1) 주요 개념 106

 2) 집단상담 목표 109

 3) 집단상담사의 역할 109

 4) 집단상담 단계 110

2. 개인심리학적 집단상담 113

 1) 주요 개념 113

 2) 집단상담 목표 115

 3) 집단상담사의 역할 116

 4) 집단상담 단계 117

3. 인지행동 집단상담 119

 1) 주요 개념 119

 2) 집단상담 목표 122

 3) 집단상담사의 역할 122

 4) 집단상담 단계 123

4. 인지·정서·행동적 집단상담 126

 1) 주요 개념 126

 2) 집단상담 목표 129

 3) 집단상담사의 역할 129

 4) 집단상담 단계 130

 

제4장 동물매개치료(AAT) 프로그램 기법

1) 접촉기법 136

2) 미용기법 137

3) 간식기법 138

4) 산책기법 139

5) 놀이기법 141

 

제5장 동물매개치료(AAT) 프로그램 실제

1. 초기단계 146

 1) 우리의 규칙 정하기 146

 2) 치료도우미견 신체 탐색하기 149

 3) 치료도우미견 소개하기 151

 4) 치료도우미견 빗질하기 153

 5) 치료도우미 용품 알아보기 156

2. 중기단계 159

 1) 마사지 하기 159

 2) 감정 나누기 162

 3) 치료도우미견의 일생 165

 4) 산책하기 168

 5) 치료도우미견을 위한 음식 알아보기 171

 6) 간식 만들기 174

 7) 가면 만들기 177

 8) 치료도우미견을 위한 집 만들기 180

 9) 산책 가방 만들기 183

 10) 치료도우미견 장난감 만들고 터그 놀이하기 185

 11) 치료도우미견 스피드 게임 188

 12) 치료도우미견과 노즈워크 놀이 191

 13) 치료도우미견 교육 시키기 194

 14) 치료도우미견과 주사위 놀이 197

 15) 다트 던지기 200

3. 종결단계 202

 1) 추억 회상하기 202

 2) 치료도우미견과 사진찍기 205

 3) 액자 만들기 207

 4) 치료도우미견과 나의 꿈 209

 5) 다 함께 롤링페이퍼 212

 

제6장 동물매개치료(AAT) 집단상담 프로그램 사례

1. 지적장애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동물매개중재(AAI) 218

 1) 대상자 특성 218

 2) 프로그램 구성 219

 3) 전체 프로그램 221

 4) 세부 프로그램 223

2. 초등학생의 정서적 안정과 인지 향상을 위한 동물매개교육(AAE) 226

 1) 대상자 특성 226

 2) 프로그램 구성 227

 3) 전체 프로그램 228

 4) 세부 프로그램 230

3. 경도 신경인지 장애 노인의 인지기능과 정서,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동물매개치료(AAT) 233

 1) 대상자 특성 233

 2) 프로그램 구성 235

 3) 전체 프로그램 236

 4) 세부 프로그램 238

4. 노인의 웰니스와 심리적 행복감 향상을 위한 동물매개치료(AAT) 241

 1) 대상자 특성 241

 2) 프로그램 구성 242

 3) 전체 프로그램 244

 4) 세부 프로그램 246

● 부록

부록(1) 예비면담 질문지 249

부록(2) 집단상담 신청서 250

부록(3) 동의서` 251

부록(4) 집단상담 경험 일지(집단원용) 252

부록(5) 집단상담 일지(상담사용) 253

부록(6) 기본 물품 254

부록(7) 치료도우미견 감정 카드 255

부록(8) 생활선 양식지 257

부록(9) 치료도우미견 음식카드 258

부록(10) 치료도우미견 가면 260

 

● 참고문헌 261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김옥진
•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및 동대학원ㆍ수의학박사
• 前, 미국 농무부 USDA 연구과학자
• 現, 원광대학교 동물보건학과 대학원 동물매개심리치료학과 교수
• 現, 대한수의학회 부회장
• 現, 한국동물매개심리치료학회 회장
저자 : 강원국
•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농학과 농학박사
• 前, 원광대학교 반려동물산업과 초빙교수
• 現, 원광대학교 반려동물산업과 조교수
• 現, 한국동물매개심리치료학회 상임이사
• 現, (사)한국동물보건사대학교육협회 회원
저자 : 오가영
•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가정학과 이학박사
• 現, Big Apple 심리상담센터 센터장
• 現, 원광대, 동국대, 계명대 외래 교수
• 現, 한국동물매개심리치료학회 상임이사
저자 : 이민자
•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농학과 농학박사
• 前, 서정대학교 반려동물과 겸임교수
• 現, 위드동물교감치유센터 대표
• 現, 상지대학교 동물자원학과 외래교수
• 現, 부천대학교 반려동물과 외래교수
• 現, 한국동물매개심리치료학회 상임이사
저자 : 장윤석
•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농학과 반려동물학박사
• 現, 동물자원개발연구센터 연구원
• 現, 원광대학교 반려동물산업과 외래교수
• 現, 우송정보대학교 반려동물학부 외래교수
• 現, 원광보건대학교 반려동물산업과 외래교수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