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내가 겪은 시가 나를 구원한다
1부 울면서 걷는 마음
〈사는 일〉 나태주 / 울면서 걸었다
〈속리산에서〉 나희덕 / 인생은 개척이 아니라 살아가는 것
〈야간 산행〉 오세영 / 시시포스의 운명
〈생활에게〉 이병률 / 일의 기쁨과 슬픔
〈동사무소에 가자〉 이장욱 / 동사무소만이 알고 있다
〈삶은 달걀〉 백우선 / 새가 먼저인지 알이 먼저인지…
〈밥을 주세요〉 김지녀 / 정답이 없는 시
〈지하인간〉 장정일 / 반지하 인간
〈겨울산〉 황지우 / 나도 견디고 있다
2부 번지는 마음
〈밤〉 박시하 / 슬픔과 침묵
〈어둠이 아직〉 나희덕 / 이토록 충만한 어둠
〈초산〉 장석주 / 울음이 온몸으로 밀려들어온 후에
〈무릎으로 남은〉 유병록 / 어찌하여 이번 생에
〈사과 없어요〉 김이듬 / 소심하면 어때
〈밥〉 천양희 / ‘혼자’라는 시대
〈탕자의 기도〉 손택수 / 나는 떠돌이
〈껌〉 김기택 / 내 안의 파시스트
〈아프리카의 어느 어린이가〉 / 너는 어느 색이냐고 묻는 말들에 관하여
〈형용사로 굴러가는 기차〉 박연준 / 그립다 말을 할까 하니, 그리워
〈수묵 정원 9 – 번짐〉 장석남 / 번짐의 기적
3부 슬픔을 공부하는 마음
〈어두워지기 전에〉 한강 / 한강의 눈꺼풀
〈슬픔이 없는 십오 초〉 심보선 / 기리코의 그림과 함께한 십오 초
〈길을 잃다〉 이병승 / 발자국이 찍히길
〈슬픔은 자랑이 될 수 있다〉 박준 / 슬픔은 자랑
〈교조〉 송경동 / 답답함과 굳은 마음 사이
〈오래된 기도〉 이문재 / 눈을 감거나 천천히
〈화〉 도종환 / 화가 난 내 앞에서
〈질투는 나의 힘〉 기형도 / 촘촘한 결핍의 마음
〈침대를 타고 달렸어〉 신현림 / 돌침대와 라텍스
〈내 자아가 머무는 곳〉 박서원 / 밧줄이 필요해
〈어쩌자고〉 진은영 / 어찌할 수 없고, 어찌할 바를 몰라도
4부 늠름한 마음
〈외딴섬〉 홍영철 / 지금 이대로
〈빈 집〉 기형도 / 아무도 기다리지 않았다
〈전화〉 마종기 / 어디선가 나를 찾는 전화벨이 울리고
〈포개어진 의자〉 김소연 / 서성이는 의자
〈독거〉 안현미 / 감사한 일요일
〈권오준씨〉 정영 / 누구나, 아무나
〈너에게〉 최승자 / 궁금하고 절박한
〈젖이라는 이름의 좆〉 김민정 / 맨몸으로 맞서는 시
〈이우성〉 이우성 / 잘생긴 마음
〈나는 고양이로 태어나리라〉 황인숙 / 고양이의 본능을 품고
5부 사랑에 답하는 마음
〈남해금산〉 이성복 / 헤어질 결심
〈다음 생에 할 일들〉 안주철 / 이번 생에는 피식
〈국수〉 이재무 / 희망의 따근한 국수
〈오직 한 사람〉 황화자 / 서울 남편 장춘 남편
〈남편〉 문정희 / 위대한 동맹
〈추억의 다림질〉 정끝별 / 다리미의 눈물
〈물을 만드는 여자〉 문정희 / 오줌에 대하여
〈둥긂은〉 허은실 / 둥글게 굴러가기 위해
〈내 늙은 아내〉 서정주 / 시처럼 살다
〈헤어지는 연습을 하며〉 조병화 / 잘 떠나는 연습
6부 고결한 마음
〈폐허 이후〉 도종환 / 머리에 쌓인 재를 털고 나아가는 시간
〈버들가지들이 얼어 은빛으로〉 최하림 / 시간을 바라보는 일
〈종점〉 이우걸 / 다정한 그 어깨는 어디로 갔을까?
〈뒷골목 풍경〉 이동순 / 그리운 소음
〈눈〉 윤동주 / 하얗고 시려운 마음을 생각하며
〈내 기분〉 강달막 할머니 / 사랑스러운 기분
〈무서운 손자〉 강춘자 할머니 / 가장 무서운 시간
〈늙은 여자〉 최정례 / 몇 겹의 여자
〈웃지 마세요 당신,〉 이규리 / 대답할 수 없는 물음
〈엄마가 들어 있다〉 이수익 / 살과 살의 추억
〈귀여운 아버지〉 최승자 / 세상의 모든 아버지에게
〈바람 속에 답이 있다〉 밥 딜런 / 바람만이, 노래만이
에필로그
추천사 조용하게 아름다운 노래를 불러주는 것 -이우성
인용시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