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들어가며: 대한의 현실과 꿈
제1수(遂: 드디어, 마침내·수) - 사건의 발단
1장 ‘예산’ 및 ‘예산분석’의 참뜻
2장 예산과정의 흐름
3장 돋보기: 중점사업
제2수(愁: 근심·수) - 우리 집 살림살이(1)
1장 ‘우리 집 살림살이’의 참뜻
2장 ‘우리 집 살림살이’의 사례
제3수(守: 지킬·수) - 우리 집 살림살이(2)
1장 정치로서의 예산 vs. 실용으로서의 예산
2장 기회비용으로서의 예산(1): 선택→정책조합
3장 기회비용으로서의 예산(2): 형평성
제4수(數: 셈·수) - 현미경
1장 ‘현미경’의 참뜻
2장 현미경(1): 비용추계
3장 현미경(2): 본질 vs. 비본질
제5수(水: 물·수) - 사실과 의견
1장 사실과 의견의 준별(峻別)
2장 사실 그리고 의견에게 각자의 길을 묻다
3장 전문위원 예·결산검토보고서의 추구가치
제6수(須: 모름지기·수) - 이이와 삼삼의 논쟁(1)
1장 ‘예산집행’의 참뜻
2장 예산집행의 방식
3장 증세의 효과 분석
4장 세원의 발굴: 일자리를 중심으로
5장 변통(變通)의 시각
제7수(殳: 몽둥이·수) - 이이와 삼삼의 논쟁(2)
1장 ‘결산’의 참뜻
2장 결산의 기준: 성과 → 모내기 vs. 김매기
3장 결산 3인방: 불용 /이용·전용/ 이월
4장 재정 건전성 논쟁
제8수(修: 닦을·수) - 민생 그리고 감수성
1장 ‘민생’예산의 참뜻
2장 감수성: 민생 예산을 찾는 비법
제9수(樹: 나무·수) - 까치집을 보라
1장 ‘점진주의’의 참뜻
2장 점진주의의 가치(1): 계획과 예산
3장 점진주의의 가치(2): 평가와 예산
4장 점진주의의 가치(3): 지방분권과 예산
제10수(樹: 목숨·수) - 예결산 분석의 정도(正道)
1장 예산의 효율적·효과적 집행: “예산과 인력이 충분하지 않아서…?”
2장 현장조사: “Veni, Vidi, Vici (왔노라, 보았노라, 이겼노라)”
3장 예산결 분석에서의 중용(中庸): 검이불루(儉而不陋), 화이불치(華而不侈)
■ 나가며: ‘수’의 참뜻
■ 감사의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