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입체표지(3D 표지)
2D 뒤표지

한반도 리빌딩 전략 2025


  • ISBN-13
    979-11-6068-967-9 (93300)
  • 출판사 / 임프린트
    도서출판 선인 / 도서출판 선인
  • 정가
    19,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5-04-21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정일영 , 정대진 , 김병연 , 김진아 , 장영희 , 최은미 , 한상범 , 변준희 , 백인주 , 조경일 , 이재호 , 이예정 , 최은주 , 윤세라 , 김은진 , 정원희
  • 번역
    -
  • 메인주제어
    외교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외교 #안보전략 #한반도 #통일정책 #남북경협 #비핵화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50 * 210 mm, 314 Page

책소개

혼돈의 세상, 새 정부의 〈한반도 리빌딩 전략〉이 여기에 있다

 

한반도 정세가 요동치고 있다. 12.3 비상계엄으로 시작된 우리 사회의 갈등은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고, 남북관계는 서로를 적대하며 단절된 지 오래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귀환과 함께 동북아 정세 또한 혼란스럽다. 이전에 없었던 불확실성의 시대가 우리 눈앞에 전개되고 있다.

 

혼란스러운 정세 속에 주저앉아 있을 수만은 없다. 우리는 그 변화 속에서 새로운 한반도 미래를 준비해야 한다. 훼손된 자유민주주의를 복원하고 얼어붙은 남북관계에 온기를 불어넣어야 한다. 그리고 동북아에서 펼쳐지는 강대국들의 열전 속에 한반도 평화를 모색해야 한다.

 

 

이 책은 민주주의 수호와 남북관계의 정상화, 그리고 한반도 평화의 정착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함께 고민해 온 각 분야 전문가와 활동가, 교육자와 언론인 등이 함께 지혜를 모은 결과물이다. 집필자들은 한반도 내외에서 일어나고 있는 갈등과 대결을 해소하고 화해와 협력을 통해 한반도 평화를 어떻게 만들 것인지 ‘한반도 리빌딩 전략’을 제안한다.

 

현재 한반도는 혼란의 시기를 맞이하고 있다. 사회적 갈등은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고, 남북관계는 단절된 지 오래다. 국제정세 역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한반도의 미래를 결정짓는 중요한 시점에 놓여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한반도 리빌딩 전략은 변화 속에서 평화와 안정을 이루기 위한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한다.

 

이 책은 세 가지 주요 분야로 나뉘어, 한반도와 그 주변 국가들과의 관계를 재구성하는 전략을 다룬다. 첫 번째 파트에서는 글로벌 외교와 강대국들과의 관계를 재정립하는 방법을 다룬다. 대미·대중·대일 외교를 비롯한 경제안보와 비핵화 전략까지, 국제 사회에서 한국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두 번째 파트는 대북정책과 통일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북한인권 문제와 사회통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분단 극복을 위한 지속 가능한 통일 교육 체계와 언론의 역할에 대해서도 심도 있게 다룬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파트는 남북 교류와 협력의 재건을 다룬다. 남북경협과 인도개발 협력, 기후위기 대응 등 실질적인 협력 방안을 제시하며, 접경지역을 중심으로 한 평화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이 책은 한반도 평화의 정착을 위한 전략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며, 정부와 시민사회가 함께 협력하여 새로운 미래를 준비할 수 있도록 돕는다. 한반도 리빌딩 전략은 현재의 혼란을 극복하고, 더 나은 미래를 위한 길을 모색하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다.

 

 

책은 단순히 이론에 그치지 않고,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한 방안들을 제시하며 독자들에게 깊은 통찰을 제공한다. 한반도의 미래를 준비하고자 하는 모든 이들에게, 이 책은 중요한 길잡이가 될 것이다. 더 나은 내일을 위한 한반도의 리빌딩 전략을 찾고자 한다면, 이 책은 꼭 읽어야 할 필독서다.

목차

logue 5

참고자료 304

 

I 외교와 안보전략의 리빌딩

01 | 글로벌외교 | 평화를 향해 가는 항해사

02 | 대미외교 | 국익에 기반한 실용적 대미외교

03 | 대중외교 | 한중관계, 새로운 길의 모색을 위해

04 | 대일외교 | 한일관계, 안정적인 파트너십 구축을 위해

05 | 경제안보 | 신보호무역주의에 맞설 한국의 통상정책

06 | 비 핵 화 |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 만들기

 

II 지속 가능한 대북·통일정책 리빌딩

07 | 대북정책 | 대북정책의 단절과 이어달리기

08 | 통일교육 I | 지속 가능한 통일교육 제도 구축

09 | 통일교육 II | 갈등과 분단 극복을 위한 통일교육이 되려면

10 | 북한인권 | 북한인권 문제, 어떻게 풀 것인가?

11 | 사회통합 | 북향민과의 사회통합을 위해

12 | 언론보도 | 남한 언론의 북한 ‘가짜뉴스’ 보도

 

III 남북관계 변화와 교류협력 리빌딩

13 | 인도개발 | 상호 발전과 화해를 위한 인도개발협력

14 | 남북경협 | 남북경협, 평화에서 번영으로

15 | 지역협력 | 언제든 지속될 지역협력을 위하여

16 | 기후환경 | 남북이 함께 대응해야 할 기후위기

17 | 집경지역 | 접경지역에서 시작하는 한반도 평화

 

참고자료 304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정일영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연구교수
저자 : 정대진
한라대학교 교수
저자 : 김병연
공주교육대학교 교수
저자 : 김진아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저자 : 장영희
충남대학교 평화안보연구소 연구위원
저자 : 최은미
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
저자 : 한상범
시흥산업진흥원 경영전략본부장(前 국회 외교통일위원장 보좌관)
저자 : 변준희
평화바람 대표(국립통일교육원 통일교육강사)
저자 : 백인주
아주대학교 다산학부대학 겸임교수
저자 : 조경일
통일공론장 피스아고라 대표(작가)
저자 : 이재호
프레시안 국제팀장
저자 : 이예정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사업국장
저자 : 최은주
세종연구소 연구위원
저자 : 윤세라
덕성여자대학교 지식문화연구소 연구교수
저자 : 김은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박사과정
저자 : 정원희
강원대학교 통일강원연구원 선임연구원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