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역사왜곡문제의 중심, 난징학살사건
일본의 역사왜곡문제는 일제 패망 이후 현재까지 끝나지 않은 이슈이다. 그중 1937년 12월 13일 당시 중국의 수도 난징에 입성한 일본군은 중국군 포로 외에 어린이를 포함한 수많은 중국인을 학살했다. 그 숫자는 중국의 공식적인 입장은 30만 명 이상으로 보고 있으며, 연구자에 따라, 20만 명, 2만 명, 3만 명 등으로 편차가 있다. 한국에 대한 일본의 식민 지배 반성 문제와 함께 일본에서 우익 성향의 정치지도자가 득세하면 학살 숫자는 더욱 줄어들고, 심지어 ‘학살이 없었다’는 주장조차 더해진다.
우리 한국인의 입장에서는 일제강점기에 일본이 한국에게 자행한 침략행위와 각종 만행에 대해 규탄했다. 같은 시기에 중국 난징에서 일어난 대규모 학살사건 또한 조망하고자 한다. 난징학살사건을 통하여 우리들의 자국 중심적인 역사왜곡문제에 대한 시야를 확장시켜 줄 것과 타당성에 박차가 더해질 것을 기대한다. 나아가 일본의 대표적 신문사에서 잔뼈가 굵은 일본의 지식인이 이 문제를 어떻게 성찰하고 있는지를 관찰자의 시점에서 바라볼 수 있다는 점, 그동안 국내에서는 쉽게 접근할 수 없던 당시의 일본 지방신문이 난징사건을 어떻게 보도했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
새로운 난징학살을 막기 위하여
한국인인 우리는 난징학살에 대해 좀 더 객관적인 견지에서 이를 살펴본다. 자국의, 혹은 어떤 집단의 이기심을 채우기 위해 수많은 인명을 살상하고 공포로 몰아넣는 행위를 서슴지 않는 리더들, ‘100인 참수 경쟁’으로 내몰아 전쟁과 약탈을 일상적인 것으로, 무감각하게 만든 일본의 군 수뇌부들, 이른바 ‘대의’라는 명분 아래 국민의 생명을 돌보지 않은 중국의 최고 통수권자의 책임도 추궁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한국인인 우리에게도 남의 이야기는 아니다. 우리 역시 현대사에서 무수한 양민 학살뿐 아니라 베트남에서 학살 가해자로서의 어두운 역사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사람들이 ‘선함’을 행할 수 있도록 사회와 국가의 시스템을 만드는 것, 폭력을 정당화하는 그 어떤 논리에도 결연히 반대할 것, 이것이 난징학살의 역사가 우리에게 전하는 메시지가 아닐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