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의 폐허 속에서 세계가 놀랄 만한 성장 스토리를 만든 나라. 경제ㆍ문화ㆍ사회ㆍ예술 그리고 정치까지 우리가 이룬 변화는 크고 넓고 깊었다. 하지만 이제 새로운 스토리를 써야 할 때가 되었다. 우리는 성장만으로는 풀 수 없는 문제를 풀어야 한다. 새로운 머니스토리가 필요하다. 돈을 바라보는 건강한 가치관과 돈을 다루는 역량을 키우고, 돈과 삶을 통합적으로 바라보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하다. --- p.16
쓸 돈보다 많이 벌고, 쓸 수 있는 돈보다 적게 쓰고, 투자한 돈보다 크게 불리고, 위험으로부터 돈을 잘 지키는 과정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돈의 함정에서 벗어나 경제적 자유를 이룰 수 있습니다. --- p.28
머니프레임이란 ‘돈을 바라보는 방식을 결정하는 인식의 틀’입니다. 사업ㆍ투자ㆍ소비 등 돈과 관련된 다양한 행동이나 사건ㆍ상황ㆍ사물들을 어떻게 바라보고 해석하고 이해하는지를 결정하는 틀을 말합니다. 사람들은 저마다 돈에 대한 다양한 프레임을 가지고 있고, 그 프레임에 따라 돈과 삶을 해석합니다. --- p.34
자신의 머니프레임이 건강한 프레임인지, 부자들의 머니프레임과 비슷한지, 돈을 끌어들이는 프레임인지 돈을 밀어내는 프레임인지 살펴보고, 어떤 변화가 필요한지 이해해야 합니다. 그리고 이에 맞는 새로운 머니프레임을 가지는 것이 돈 문제에서 해방되는 여정이고, 그것이 바로 머니프레임 코칭입니다. --- p.44
100세 시대, 앞으로 남은 삶을 어떻게 살아갈 것인지 생각하는 사람과 생각하지 않는 사람은 미래를 준비하고 계획할 때 큰 차이가 있습니다. 지금 내가 100세 인생시계의 어디쯤에 있는지 살펴보고, 앞으로 남은 시간에 대한 목표를 세워야 합니다. --- p.52
‘개 같이 벌어서 정승 같이 쓴다.’ 돈을 벌 때 개 같이 벌면 안 되고, 돈을 쓸 때도 정승 같이 쓰면 안 된다. 돈을 벌 때도 나의 가치관과 삶의 방향에 맞게 벌고, 돈을 쓸 때도 가장 나답게 써야 한다. 벌고, 불리고, 쓰고, 지키는 모든 과정은 나다워야 하고, 그 나다움이 행복을 가지고 온다. --- p.86
자신의 일을 사랑하는 사람은 일에 대한 태도가 다르다. 같은 일을 하더라도 다른 태도를 가진 사람은 다른 결과를 만들어 낸다. ‘행복하게 벌기’는 자신의 일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알려주는 부와 행복을 함께 키우는 첫 번째 비밀이다. --- p.104
주식투자에는 항상 위험이 따른다는 것을 우리는 잘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투자를 하지 않는 것의 위험도 알아야 합니다. 위험하지만 투자를 해야 하는 이유가 바로 투자를 하지 않는 위험 때문입니다. 돈의 가치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고, 노후는 매우 빠르게 길어졌기 때문입니다. --- p.147
‘게으르게 불리기’의 핵심은 2가지입니다. 하나는 주식이든 펀드든 내가 시장을 이기려고 쏟는 노력은 실패할 가능성이 높으니 시장이 주는 신호를 활용하라는 겁니다. 또 하나는 단기적인 승부는 실패할 가능성이 높으니 장기적인 관점에서 복리효과를 누리라는 겁니다. 게으르지만 효과 있는 투자로 자산을 안정적으로 불려나가기를 바랍니다. --- p.197
돈을 잘 쓴다는 것은 쓸 때 쓰고 안 쓸 때 안 쓰는 것이다. 돈을 잘 쓴다는 것은 무작정 아끼는 것이 아니라 후회 없이 행복하게 제대로 쓰는 것이다. 질문은 이것이다. ‘언제가 쓸 때이고, 언제가 쓰지 말아야 할 때인가?’ --- p.200
소비를 통제하려고 마음 먹는 것은 어렵지 않습니다. 하지만 생각한 대로 돈을 사용하는 것은 그리 쉽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좀 더 나답게, 좀 더 행복하게 돈관리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은 없을까요? 부와 행복을 함께 키우는 3가지 지출관리시스템인 ‘1분 지출가계부’ ‘예산 수립’ ‘4개의 통장시스템’을 제안합니다. 이 3가지가 함께 잘 돌아가면 ‘후회 없이 쓰기’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p.209
원하지 않지만 찾아오는 불청객들이 있다. 사람이, 세금이, 질병과 사고가 찾아온다. 잘 벌고, 잘 불리고, 잘 쓰면서 살아도 불청객들에 대한 대비가 없으면 큰 낭패를 보게 된다. 불청객에 대비하는 것, 가끔은 다른 무엇보다 중요할 때가 있다. --- p.244
인간은 함께 살아가도록 설계된 존재다. 인간은 나눔을 통해 각자의 불완전함을 완성하고, 상호의존 속에서 더욱 강력하고 지속적인 발전을 이룰 수 있었다. 인간이 가진 진정한 힘은 소유가 아니라 나눔 속에서 발현되며, 그 나눔이야말로 인간을 가장 인간답게, 그리고 고귀하게 만드는 능력이다. --- p.290
돈의 노예에서 돈의 주인이 되는 여정은 ‘자유’ ‘충만’ ‘환대’의 세 단계를 거쳐 완성되는 멋진 스토리입니다. 벌고, 불리고, 쓰고, 지키는 과정이 자유, 충만, 환대라는 가치를 실현하는 과정일 때 돈은 ‘아름다운 꽃’이 되고, 우리 삶에 진정한 가치를 더해주는 멋진 도구가 될 것입니다. 그리고 세계에서 가장 우울한 나라를 가장 멋지고 행복한 나라로 만들어 줄 것입니다. --- p.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