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으로 뒷받침되는 지폐는 금이 지닌 많은 문제를 해결하였지만, 화폐의 가장 중요한 속성인 희소성을 국가가 통제하도록 하는 치명적인 결함을 가져왔습니다. 예상대로 미국은 금고 속에 보유하고 있는 금보다 훨씬 많은 달러를 발행했습니다. 1971년에 미국의 리처드 닉슨 대통령이 금의 태환을 “일시적으로” 중지함으로써 이 사태는 정점에 이르렀습니다. 이 일시적인 태환 정지는 곧 영구적인 조치가 되었습니다. 달러는 더 이상 금으로 교환되지 않지만, 여전히 각국 중앙은행의 금고에 준비자산으로 보관되어 있습니다. 미국의 이 부도덕한 조치는 돈과 금의 연결을 끊고 전 세계의 사람을 금융 노예의 길로 이끌었습니다. _ 돈의 역사(71p)
회계적으로 적자 상태가 되면 교회는 예산을 줄입니다. 이에 따라 사람들은 교회를 떠나게 되고 교회의 예산은 더욱 줄어듭니다. 이런 과정을 통해 많은 교회가 느리고 고통스럽게 죽어갑니다. 따라서 이런 교회들은 헌금을 내는 성도를 최대한 많이 유지하려는 압박을 받습니다. 성도가 떠나는 것이 곧 악순환의 시작이라는 것을 알기 때문입니다. 교회는 다른 수단을 동원해 수입을 만들려 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교회를 다른 목적으로 빌려주거나 심지어 건물 일부를 팔 수도 있습니다. 이런 행동을 하는 교회는 교회라기보다 은행을 위해 일하는 부동산 투기꾼에 가깝습니다. 교회가 사역보다 빚을 갚는 데 집중하게 되며, 이는 교회가 채권자의 노예가 되었다는 뜻입니다. _ 악한 돈은 어떻게 교회를 타락시켰나(185p)
통화 공급이 팽창하면 화폐의 가치가 낮아지고 이는 사람들의 장기적인 금융 계획과 저축을 방해합니다. 3장에서 논의했듯이 통화팽창은 정부가 대표성도, 법적 근거도, 투명성도 없이 숨겨진 세금을 통해 공동체의 재산을 훔치는 도구입니다. 중앙은행의 존재 때문에 이런 도둑질이 가능합니다. 공급을 늘릴 수 있는 중앙 기관이 없는 화폐 제도에는 이런 문제가 없습니다. 즉 도덕적 화폐 제도에는 돈을 찍어내는 중앙 권위기관이 없습니다. _ 비트코인, 더 도덕적인 돈(212p)
정부는 크기가 클수록 더 적게 책임집니다. 정부가 제한 없이 커질 수 있는 이유는 법정화폐 때문입니다. 정부는 인플레이션을 일으켜 정부 정책에 자금을 대며, 이에 따라 정부는 더욱 커집니다. 거짓과 도둑질에 기반을 둔 경제에서는 결과가 아닌 의도를 기준으로 정책이 결정됩니다. 의도를 선전하는 것이 결과를 책임지는 것보다 훨씬 쉽기 때문입니다. 의도가 선하다 해도 결과가 평가되는 경우는 잘 없습니다. 그래서 효과 없는 정책이 양산됩니다. 결과가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비리와 부패가 끼어듭니다. 즉 공동체에서 훔쳐낸 돈이 아무렇게나 사용됩니다. 법정화폐 시스템은 모든 문제를 돈으로 해결하도록 부추깁니다. _ 돈의 구원(234p)
돈은 거래를 위한 수단이고 거래는 공동체에 쓸모 있는 것을 만들기 위한 수단입니다. 다시 말해 돈은 하나님이 우리를 창조하신 목적을 온전히 실현하기 위해 꼭 필요한 도구입니다. 악한 돈은 우리를 그 목적에서 멀어지게 하고 창조주가 아닌 피조물을 섬기게 합니다. 선한 돈은 우리를 하나님께 더 가까이 이끌며 그 목적을 이룰 수 있게 도와줍니다. _ 돈의 구원(265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