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입체표지(3D 표지)
2D 뒤표지

시민과 함께 읽는 여순사건(2판)


  • ISBN-13
    979-11-6068-952-5 (03900)
  • 출판사 / 임프린트
    도서출판 선인 / 도서출판 선인
  • 정가
    15,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5-03-04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강성호 , 권오수 , 노영기 , 예대열 , 최현주 , 박종길 , 김소진 , 유상수
  • 번역
    -
  • 메인주제어
    혁명, 봉기, 반란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혁명, 봉기, 반란 #여순사건 #근현대사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73 * 235 mm, 286 Page

책소개

2021년 6월 29일에 국회에서 ‘여수·순천 10·19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이하 ‘여순사건 특별법’)이 통과되었다. 지역과 국가 차원에서 모두 환영할 만한 일이다. 이로 인해 ‘여수·순천 10·19사건’(이하 여순사건)을 국가 차원에서 본격적으로 조명할 수 있게 되었고, 여순사건으로 파괴된 지역공동체의 복원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여순사건 특별법 제정으로 여순사건 진상규명 활동이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여수·순천 10·19사건 진상규명 및 명예회복위원회(이하 여순사건위원회)’가 중심이 되어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위한 활동을 하고 있다. 2023년 7월 27일에 여순사건 특별법 시행령이 개정되어 여순사건 피해신청 기간이 2023년 1월 20일에서 2023년 12월까지로 연장되었다.

여순사건은 1948년 10월 19일 여수에 주둔하고 있던 국군 제14연대 일부 군인들이 제주 4·3 진압 명령을 거부하면서 일어났다. 여순사건은 1948년 10월 19일부터 지리산 입산 금지가 해제된 1955년 4월 1일까지 여수·순천 지역뿐만 아니라 전남, 전북, 경남 지역에서 많은 희생자가 발생한 사건이다. 현재 정확한 희생 규모를 밝히기는 어렵지만, 당시의 희생자 통계와 현재 진행되고 있는 여순사건 피해신고를 보면 대규모 희생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전라남도가 당시 조사한 1949년 11월 기준 사망자는 1만 1,131명이었다. 또한, 여순사건위원회에 2023년 11월 22일까지 접수된 여순사건 피해신고는 7,120건이었다.

‘여순사건 특별법’이 제정되고 피해신고와 희생자 결정이 진행됨에 따라 여순사건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지난 73년 동안 제대로 여순사건에 대한 정보를 접하기 어려웠던 시민들에게 여순사건을 시민들의 눈높이에 맞게 알려드릴 필요가 커지고 있다. 이에 여순사건을 연구하고 여순사건 현장에서 활동해 온 필자들이 부족하지만 힘을 모아 『시민과 함께 읽는 여순사건』을 펴내기로 하였다.

이 책은 여순사건에 대한 역사적 이해와 ‘여순사건 특별법’ 제정 과정을 다루고 있다. 여순사건에 대한 자료조사, 진상조사, 연구 등이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 부족하고 제대로 정리되지 못했다. 또한 여순사건이 발생한 지역이 다양하고 피해 형태도 복잡하다 보니 여순사건을 바라보는 시선들도 다양하다. 따라서 이 책에서는 여수, 순천, 광양, 구례 지역 등 여러 지역에서 활동하는 지역시민, 지역시민단체 활동가, 지역연구자, 기자, 유가족들의 시선들을 다양하게 담으려고 노력했다.

목차

『시민과 함께 읽는 여순사건』을 내면서 / 저자일동

들어가는 말: 시민과 함께 가야 할 여순사건 연구 / 강성호

 

제1부 여순사건에 대한 이해

01 | 여순사건의 국제적 배경 / 강성호

02 | 여순사건의 국내적 배경 / 권오수

03 | 여순사건의 발발과 진압 / 노영기

04 | 여순사건의 결과와 영향 / 예대열

05 | 문학과 구술사로 보는 여순사건 / 최현주

 

제2부 여순사건 특별법 이해와 다양한 시선

06 | 여순사건 특별법과 지역사회 / 박종길

07 | 여순사건 특별법 비교 분석 / 김소진

08 | 여순사건 특별법 제정과 과제 / 유상수

09 | 여순사건을 보는 다양한 시선과 목소리

박발진 / 박종길 / 정미경 / 장경자

강성정 / 문수현 / 신 강 / 장윤호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강성호
국립순천대학교 사학과 교수
저자 : 권오수
국립순천대학교 인문학술원 학술연구교수
저자 : 노영기
조선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교수
저자 : 예대열
국립순천대학교 인문학술원 학술연구교수
저자 : 최현주
국립순천대학교 국어교육학과 교수
저자 : 박종길
여수지역사회연구소 소장
저자 : 김소진
국립순천대학교 10·19연구소 연구원
저자 : 유상수
여순사건위원회 전문위원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