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속으로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의 탄생 배경에는 9.11 테러라는 시대적 충격, 구식 정보분석 체계의 한계, 실리콘밸리 기술로 국가안보를 지키겠다는 창업자들의 열망, 그리고 CIA 인큐텔의 지원과 끈질긴 현장 검증 노력이 한데 어우러져 있습니다. 초기엔 작은 스타트업에 불과했지만, 정보 분석의 패러다임 전환이라는 시대적 요구 속에서 팔란티어는 독보적인 위치를 확보하게 되었습니다. 방대한 데이터를 연결하고 시각화하여 숨은 패턴을 찾는 능력, 그리고 이를 통해 테러를 사전에 차단한다는 팔란티어의 목표는 9.11 테러 이후 변화한 정보기관의 필요와 정확히 맞아떨어졌습니다. 동시에 시민의 자유와 프라이버시를 존중하면서도 안보를 지킬 수 있다는 철학은 정부와 대중의 균형 잡힌 지지를 끌어냈고, 팔란티어를 오늘날의 정보분석 기술 분야 선두 주자로 성장시키는 기반이 되었습니다.
p.32
팔란티어 AIP(인공지능 플랫폼): Artificial Intelligence Platform의 약자로, 2023년 4월에 새롭게 공개된 팔란티어의 최신 제품입니다. 2023년 시연 영상에서는 군사 작전 시나리오에서 사용자가 대화형 AI 비서chatbot에게 정찰 드론 투입을 명령하고 정보를 요약받는 모습이 공개되어 화제가 되었는데, 팔란티어는 이때 AI가 자동으로 치명적 결정을 내리지 않도록 인간 통제를 필수화하는 원칙을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AIP는 팔란티어 기술진이 수년간 연구해온 엔터프라이즈 데이터 온톨로지 개념을 바탕으로 만들어져서, AI가 기업의 실제 데이터와 업무 맥락을 이해하고 의사 결정을 도울 수 있게 한 것이 특징입니다.
p.55~56
고담의 가장 유명한 일화 중 하나는 앞서 언급한 오사마 빈 라덴 추적으로, 공개된 세부 정보는 제한적이지만 팔란티어 소프트웨어가 방대한 정보의 패턴을 분석해 빈 라덴의 심복이 사용한 별명을 연결 짓는 등 역할을 했던 것으로 전해집니다. 이처럼 고담은 방대한 데이터에서 숨겨진 인사이트를 찾아내는 능력 덕분에 '테러와 범죄로부터의 파워풀한 엑스레이X-ray'로 불리며, 현재까지도 미국과 동맹국들의 정보기관, 군대, 치안 당국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p.61~62
팔란티어의 전체 매출 규모는 2023년 기준 약 22억 달러로, 2019년 약 7억 달러 수준에서 불과 4년 만에 3배 이상 성장했습니다. 이 매출은 크게 정부 부문과 민간(상업) 부문으로 구성되는데, 2023년 현재 정부 부문이 약 55%(12억 달러), 민간 부문이 45%(10억 달러)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정부 매출은 2022년 대비 2023년에 14% 성장하며 안정적으로 증가했고, 민간 매출은 같은 기간 20% 성장하여 정부 부문보다 빠른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미국을 중심으로 한 상업 고객 확대 덕분에 미국 상업 매출은 2024년 들어 분기당 50% 이상 증가하는 등 민간 부문이 본격적인 성장 국면에 접어들었습니다.
p.120
팔란티어 주식은 개인 투자자들과 기관 투자자들 모두 많은 관심을 가진 종목입니다. 상장 초기부터 팔란티어는 레딧의 월스트리트베츠 포럼 등에서 밈 주식으로 떠오르며 개인들의 뜨거운 토론 대상이 되었고, 한때 게임스탑(GameStop)을 제치고 해당 커뮤니티에서 언급량 1위를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개인 투자자들은 팔란티어의 장기 성장 스토리와 혁신성에 매료되어 적극 매수에 나섰고, 주가 급등락 시 단타 거래도 이루어졌습니다. 반면 대표적 기관 투자자인 아크인베스트(ARK)는 2021~2022년 꾸준히 매입하다가, 2024년부터 일부 차익 실현에 나서며 주가에 단기적 영향을 주기도 했습니다.
p.130
팔란티어는 오랜 기간 적자를 내왔지만, 2023년을 첫 연간 흑자 전환 목표로 세웠고 실제로 그 목표를 달성했습니다. 이는 대형 고객 유치와 기존 고객당 매출 증가, 구독형 SaaS 모델 확대에 따른 결과로, 이제 팔란티어는 AI 기반 분석기업 중 드물게 '흑자'를 내는 회사가 되었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지표로 작용하고 있으며, 기업의 펀더멘털에 대한 신뢰를 높이는 결정적 요인으로 평가됩니다.
p.140
로스앤젤레스 경찰(LAPD): 2011년 LAPD는 팔란티어가 개발한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도시 내 특정 지역에서 발생하는 범죄 유형과 발생 빈도 데이터를 분석, '예측 치안' 모델을 구축했습니다. 이를 통해 범죄가 예상되는 시간대와 지역을 사전에 파악하고 집중 순찰함으로써 범죄율을 낮추는 데 도움을 주었습니다.
p.158
팔란티어는 생성형 AI 전략 측면에서도 차별화를 꾀하고 있습니다. 자체적으로 챗GPT 같은 언어 모델을 개발하기보다, 오픈AI 등 외부의 최첨단 LLM들을 팔란티어 플랫폼에 오케스트레이션하여 결합함으로써 고객 데이터에 맞춤형 활용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접근은 보안과 데이터 소유권 이슈에 민감한 기업 고객에게 큰 신뢰를 주며, '팔란티어는 AI를 상품이 아닌 인프라로 만든다'는 평가를 받게 만들었습니다.
p.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