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논문을 쓰겠다는 결심
뭐든 의미 있는 결과에는 시작이 있었다. 3
논문은 힘들어도 써 볼 가치가 있다. 4
논문은 논리적인 사고에서 나온다. 6
1
질적 연구의 특징
자연과학 vs 인간과학 13
질적 연구에서는 새로운 발견에 가치를 둔다. 14
질적 논문 작성 시 고려할 측면들 16
제목 17
초록 17
서론 18
문헌고찰 18
연구방법: 자료수집 18
연구방법: 분석 20
결과 20
논의 21
결론 22
2
연구주제와 문제의식
무엇을 연구할 것인가? 25
연구 주제를 문장으로 만들어 본다. 28
개인적 궁금증을 문제의식으로 연결시킨다. 29
문제의식을 구체적인 연구 목적으로 연결한다. 30
연구 목적을 연구 질문으로 구성해 본다. 33
연구 목적과 연구 질문의 예 34
3
문헌고찰
문헌고찰은 연구에 학술적 가치를 더한다. 39
기존연구를 단순히 요약하고 나열하지 않는다. 40
논문을 읽으면서 생각을 정리한다. 42
문헌고찰의 범위를 적절하게 설정한다. 43
4
패러다임과 이론적 틀
연구자의 패러다임은 연구자의 세계관 또는 철학적 가정이다. 47
후기실증주의는 하나의 실재를 가정한다. 48
구성주의나 해석주의는 보는 관점에 따른 해석의 차이를 49인정한다.
패러다임은 명확하게 구분 짓기 어렵다. 53
세상을 있는 그대로 보는 것은 불가능하다. 53
이론적 틀(theoretical framework)을 언급한다. 55
자료수집과 분석과정에서 이론적 틀이 점차 명확해질 수 있다. 58
이론적 틀을 논문에 언급한 예 61
귀납적으로 이론을 만들어 가는 연구에서도 이론적 틀이 64중요한가?
5
방법론적 접근
방법론들은 비슷하기도 하고 다르기도 해서 혼란을 준다. 69
질적 연구는 기본적으로 변수가 아닌 사례에 초점을 둔다. 71
사례를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가 방법론을 결정한다. 72
사례 연구와 기본적 질적 연구 79
6
표집과 참여자 선정
어떠한 자료를 수집할지 결정한다. 87
참여자 선정 기준을 정한다. 87
윤리적으로 참여자를 모집한다. 91
참여자 모집과정의 예 95
7
관찰
관찰은 중요한 자료수집 방법이다. 103
현장노트는 구체적으로 작성한다. 105
관찰내용과 인터뷰 질문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 109
관찰을 하며 분석 아이디어를 정리한다. 111
8
인터뷰
심층 인터뷰에서는 참여자와의 신뢰가 중요하다. 119
사전 준비가 중요하다. 120
인터뷰 질문의 예 124
인터뷰는 상황에 맞춰 유연하게 진행한다. 126
적절한 형식을 갖춘다. 131
질문 수는 적게 하고 탐색질문을 잘 활용한다. 133
비언어적인 측면을 살핀다. 136
인터뷰는 해석의 과정이며 인지적 공감(cognitive empathy)이 138중요하다.
인터뷰를 잘하기 위한 팁 140
주제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충분히 듣는다. 142
9
기타 자료 수집
문서나 시각자료를 활용한다. 147
비네트(vignette)를 활용한다. 149
질적 설문을 활용한다. 152
자료 수집과정에서 메모를 작성한다. 153
10
연구자 성찰
연구자의 위치를 드러낸다. 157
연구자의 주관적 경험은 통찰력과 연결된다. 158
성찰적 태도를 유지한다. 161
연구자의 위치와 성찰이 드러난 예 162
11
분석 준비
기본적인 분석방법을 이해한다. 169
자료를 수집하면 바로 문서화한다. 170
연구 질문을 재확인한다. 171
질적자료분석 소프트웨어 사용은 연구자의 선택사항이다. 172
12
코딩하기
자료를 여러 번 읽는다. 177
코드, 범주, 테마 등의 용어를 이해하고 일관되게 쓰되 용어에 178집착하지 않는다.
코딩은 수집한 자료에서 정보를 만들어 내는 과정이다. 181
귀납적 코딩, 연역적 코딩, 또는 절충식 코딩 183
귀납적 코딩과정의 예 186
연역적 코딩과정의 예 187
코딩 시 이론을 활용한 예 189
코드 수가 중요한 게 아니라 분석에 유용한 코드인가가 190중요하다.
코드를 비교하고 묶는다. 195
중간에 연구 질문이나 방법론이 바뀔 수도 있다. 196
13
테마구성
거리를 두고 넓은 시각에서 바라본다. 201
메모 작성은 테마구성의 핵심이다. 201
코드들을 시각적으로 연결하며 테마지도를 그려 본다. 205
테마 검토하기 207
테마는 책의 목차와 같다. 208
14
심층 분석
표를 만들고 다양하게 비교한다. 213
필요하다면 간단한 수치로 제시한다. 214
유형화를 해 본다. 217
결과를 이론으로 설명한다. 218
결과의 일반화를 시도한다. 220
15
잘못된 추론 피하기
추론과정에서 확증 편향을 주의한다. 227
자신의 판단을 의심해 본다. 228
부정적 사례를 적극적으로 찾는다. 229
자료를 충분히 수집한다. 231
여러 사람의 의견을 들어 본다. 232
테마와 처음에 설정했던 영역을 혼동하지 않는다. 234
테마는 입체적이어야 한다. 236
충분한 논의와 검토를 거쳐 테마를 확정 짓는다. 238
16
타당도
타당도의 문제는 단순하지 않다. 243
트레이시의 여덟 가지 포괄적 측면 244
타당도 기술의 예 249
17
논의와 결론
논의는 전문가와의 대화다. 255
연구의 의미를 밝힌다. 256
논의에서 다룰 내용 258
논의의 예 260
결론을 쓰고 마무리한다. 264
18
학술적 글쓰기
남의 글을 많이 읽는다고 저절로 내 글쓰기가 늘지는 않는다. 271
논문의 구조를 파악한다. 272
감정적 호소는 최대한 배제한다. 273
두괄식으로 쓴다. 274
독자의 반박을 예상하고 미리 언급한다. 275
19
창의적 글쓰기
질적 연구자는 스토리텔러다. 281
문학적인 글쓰기를 활용해 본다. 282
상상력을 활용한다. 284
사진이나 이미지는 말로 전달하지 못하는 부분을 보완해 준다. 286
20
논문 심사
논문 심사를 잘 활용한다. 291
21
끝은 또 다른 시작 293
참고문헌 2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