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부 김유정 문학어의 분석적 이해
서보호 - 김유정 소설의 계량언어학적 연구- 농촌소설과 도시소설의 어휘 분석을 중심으로
Ⅰ. 들어가며 17
Ⅱ. 어휘의 빈도 분석과 공간적 특징 23
Ⅲ. 농사 관련 유의미어와 직업의 변화 27
Ⅳ. 농촌의 사물과 도시의 사람 33
Ⅴ. 나가며 40
박보름 - 1930년대 어문 환경과 김유정 문학어의 이해- 어문규범 인식과 문학적 대응을 중심으로
Ⅰ. 서론 – 김유정 문학어 이해의 전환 43
Ⅱ. 1930년대 어문 환경과 김유정 문학어의 탈규범성 47
Ⅲ. 김유정의 문학어의 형성배경과 수용 양상 64
Ⅳ. 김유정 문학어와 소설 해석의 문제 - 「소낙비」의 경우 76
Ⅴ. 결론 – 규범 밖의 언어들 83
김아름 - 김유정의 문체 실험과 구인회 - 「두꺼비」, 「생의 반려」에 드러난 박태원과의 유사성을 중심으로
Ⅰ. 김유정과 구인회, 그리고 문체 89
Ⅱ. 「두꺼비」의 예외성과 구인회의 언어적 실험들 94
Ⅲ. 「생의 반려」의 문체적 자장과 박태원의 자유간접문체 102
Ⅳ. 위반의 글쓰기, 방해의 미학 111
2부 김유정 문학의 윤리와 생태적 시선
서동수 - 김유정 문학에 나타난 중동태의 윤리와 아름다운 가상
Ⅰ. 서론 119
Ⅱ. 중동태의 세계와 윤리학 121
Ⅲ. 김유정의 인식론과 중동태의 윤리 126
Ⅳ. 김유정의 근대성 비판과 톨스토이 135
Ⅴ. 공포의 자연과 아름다운 가상의 구원 140
Ⅵ. 결론 147
염창동 – 김유정 소설에 나타난 분배와 상호부조의 (불)가능성 - 「노다지」, 「금」, 「금 따는 콩밭」을 중심으로
Ⅰ. 머리말 151
Ⅱ. 1930년대 황금광시대와 광업조선 155
Ⅲ. 크로포트킨의 상호부조론에 공명한 김유정 159
Ⅳ. ‘금 모티브’ 소설 속 ‘분배’와 ‘상호부조’의 (불)가능성 164
Ⅴ. 맺음말 174
임경순 - 김유정 소설을 통해 본 공감 교육에 대한 투시
Ⅰ. 머리말 179
Ⅱ. 창작과 공감의 근원 ; 타자에 대한 사랑 184
Ⅲ. 인물의 곤경과 눈물 그리고 공감 187
Ⅳ. 공감 능력 함양을 위한 문학 교육 190
Ⅴ. 맺음말 195
임보람 - 생태회복 수기와 돌봄의 윤리 -김유정 작품을 중심으로
Ⅰ. 들어가며 199
Ⅱ. 고통 수기와 생태회복 수기 203
Ⅲ. 땅의 구멍과 몸풍경 207
Ⅳ. 구멍 메우기의 상상력과 돌봄의 윤리 212
Ⅴ. 나가며· 217
3부 김유정 문학연구의 현재와 콘텐츠 확산
유인순 - 김유정 문학연구의 전개양상
Ⅰ. 들어가는 말 221
Ⅱ. 문학연구의 전개 223
Ⅲ. 나가는 말 251
이유진 - 문학의 실감 미디어 콘텐츠 구현을 위한 생성 AI 분석 기반의 장소성 연구 - 김유정의 수필 ‘전차가 희극을 낳아’를 중심으로
Ⅰ. 서론 253
Ⅱ. 장소 이론 및 문학의 장소성 256
Ⅲ. 실감 미디어 문학 콘텐츠의 장소성 분석 개요 259
Ⅳ. 김유정의 ‘전차가 희극을 낳아’ 장소성 분석 264
Ⅴ. 결론 280
김승희 · 이한나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김유정 문학촌 방문객의 장소경험에 대한 연구
Ⅰ. 서론 285
Ⅱ. 이론적 배경 287
Ⅲ. 분석 방법 및 설계 291
Ⅳ. 분석결과 292
Ⅴ. 결론 298
윤인선 - 김유정 신인 문학상 수상작 동화에 나타나는 ‘아이다움’에 관한 연구
Ⅰ. 들어가며 303
Ⅱ. 김유정 신인 문학상 수상작 동화에 재현된 아동의 세계(상) 306
Ⅲ. 김유정 신인 문학상 수상작 동화의 아동 인식 양상 316
Ⅳ. 마치며 323
4부 창작 · 단편소설
이현준 - 아즐 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