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김유정 문학의 다원적 지평


  • ISBN-13
    978-89-7864-159-3 (93810)
  • 출판사 / 임프린트
    도서출판 산책 / 도서출판 산책
  • 정가
    25,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4-12-14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
  • 번역
    -
  • 메인주제어
    문학연구: 소설, 소설가, 산문가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문학연구: 소설, 소설가, 산문가 #김유정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52 * 225 mm, 354 Page

책소개

〈김유정 문학의 다원적 지평〉은 김유정학회의 2년간의 연구 성과를 집대성한 학술서로, 김유정 문학의 다양한 해석 가능성을 탐색한다. 2023년과 2024년에 걸쳐 진행된 학술대회에서 논의된 연구를 중심으로, 김유정 작품을 언어적·문체적으로 분석한 논문부터 윤리적·생태적 시각, 현대 미디어 콘텐츠로의 확장 가능성까지 폭넓은 시각을 제시한다. 1부에서는 김유정 소설의 언어적 특징과 문체 실험을 계량학적으로 조명하며, 2부에서는 그의 작품 속 윤리와 상호부조의 문제를 탐색한다. 3부에서는 김유정 문학 연구의 전개 양상을 분석하고, 미디어 콘텐츠 및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김유정문학촌과 문학적 장소성의 확산을 논의한다. 4부에서는 창작 단편소설을 수록해 문학적 영감을 제공한다. 본서는 김유정 문학이 단순히 한 시대의 향토적 정서를 담는 데 그치지 않고,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연구되고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김유정학회의 지속적인 연구와 치열한 논의가 만들어낸 이 책은, 김유정 문학을 깊이 있게 탐구하고자 하는 독자들에게 유익한 길잡이가 될 것이다.

목차

1부 김유정 문학어의 분석적 이해

 

서보호 - 김유정 소설의 계량언어학적 연구- 농촌소설과 도시소설의 어휘 분석을 중심으로

Ⅰ. 들어가며 17

Ⅱ. 어휘의 빈도 분석과 공간적 특징 23

Ⅲ. 농사 관련 유의미어와 직업의 변화 27

Ⅳ. 농촌의 사물과 도시의 사람 33

Ⅴ. 나가며 40

 

박보름 - 1930년대 어문 환경과 김유정 문학어의 이해- 어문규범 인식과 문학적 대응을 중심으로 

Ⅰ. 서론 – 김유정 문학어 이해의 전환 43

Ⅱ. 1930년대 어문 환경과 김유정 문학어의 탈규범성 47

Ⅲ. 김유정의 문학어의 형성배경과 수용 양상 64

Ⅳ. 김유정 문학어와 소설 해석의 문제 - 「소낙비」의 경우 76

Ⅴ. 결론 – 규범 밖의 언어들 83

 

김아름 - 김유정의 문체 실험과 구인회 - 「두꺼비」, 「생의 반려」에 드러난 박태원과의 유사성을 중심으로

Ⅰ. 김유정과 구인회, 그리고 문체 89

Ⅱ. 「두꺼비」의 예외성과 구인회의 언어적 실험들 94

Ⅲ. 「생의 반려」의 문체적 자장과 박태원의 자유간접문체 102

Ⅳ. 위반의 글쓰기, 방해의 미학 111

 

2부 김유정 문학의 윤리와 생태적 시선

 

서동수 - 김유정 문학에 나타난 중동태의 윤리와 아름다운 가상 

Ⅰ. 서론 119

Ⅱ. 중동태의 세계와 윤리학 121

Ⅲ. 김유정의 인식론과 중동태의 윤리 126

Ⅳ. 김유정의 근대성 비판과 톨스토이 135

Ⅴ. 공포의 자연과 아름다운 가상의 구원 140

Ⅵ. 결론 147

 

염창동 – 김유정 소설에 나타난 분배와 상호부조의 (불)가능성 - 「노다지」, 「금」, 「금 따는 콩밭」을 중심으로

Ⅰ. 머리말 151

Ⅱ. 1930년대 황금광시대와 광업조선 155

Ⅲ. 크로포트킨의 상호부조론에 공명한 김유정 159

Ⅳ. ‘금 모티브’ 소설 속 ‘분배’와 ‘상호부조’의 (불)가능성 164

Ⅴ. 맺음말 174

 

임경순 - 김유정 소설을 통해 본 공감 교육에 대한 투시

Ⅰ. 머리말 179

Ⅱ. 창작과 공감의 근원 ; 타자에 대한 사랑 184

Ⅲ. 인물의 곤경과 눈물 그리고 공감 187

Ⅳ. 공감 능력 함양을 위한 문학 교육 190

Ⅴ. 맺음말 195

 

임보람 - 생태회복 수기와 돌봄의 윤리 -김유정 작품을 중심으로

Ⅰ. 들어가며 199

Ⅱ. 고통 수기와 생태회복 수기 203

Ⅲ. 땅의 구멍과 몸풍경 207

Ⅳ. 구멍 메우기의 상상력과 돌봄의 윤리 212

Ⅴ. 나가며· 217

 

3부 김유정 문학연구의 현재와 콘텐츠 확산

 

유인순 - 김유정 문학연구의 전개양상 

Ⅰ. 들어가는 말 221

Ⅱ. 문학연구의 전개 223

Ⅲ. 나가는 말 251

 

이유진 - 문학의 실감 미디어 콘텐츠 구현을 위한 생성 AI 분석 기반의 장소성 연구 - 김유정의 수필 ‘전차가 희극을 낳아’를 중심으로

Ⅰ. 서론 253

Ⅱ. 장소 이론 및 문학의 장소성 256

Ⅲ. 실감 미디어 문학 콘텐츠의 장소성 분석 개요 259

Ⅳ. 김유정의 ‘전차가 희극을 낳아’ 장소성 분석 264

Ⅴ. 결론 280

 

김승희 · 이한나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김유정 문학촌 방문객의 장소경험에 대한 연구

Ⅰ. 서론 285

Ⅱ. 이론적 배경 287

Ⅲ. 분석 방법 및 설계 291

Ⅳ. 분석결과 292

Ⅴ. 결론 298

 

윤인선 - 김유정 신인 문학상 수상작 동화에 나타나는 ‘아이다움’에 관한 연구 

Ⅰ. 들어가며 303

Ⅱ. 김유정 신인 문학상 수상작 동화에 재현된 아동의 세계(상) 306

Ⅲ. 김유정 신인 문학상 수상작 동화의 아동 인식 양상 316

Ⅳ. 마치며 323

 

4부 창작 · 단편소설

 

이현준 - 아즐 32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엮음/냄 : 김유정학회
김유정 문학과 동시대 문학 연구를 중심으로, 장르 및 매체 변화에 따른 재창조작업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의 지평을 확대하는 데 목적을 두고 2011년 설립된 학술연구단체이다. 매년 전국 규모의 학슬대회를 개최하고 학술연구서를 출간하고 있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