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 발레리는 “바람이 분다… 살아야겠다!”라고 썼다.
나라면 이렇게 썼을 것이다. ‘바람이 분다… 떠나야겠다!’
코로나가 끝나고, 바야흐로 여행의 시대가 다시 돌아왔다. 예술, 문화, 여행을 키워드로 작품활동을 이어나가는 ‘아트노마드’ 함혜리의 가이드로 돌아오는 연휴와 휴가철에 프랑스 인문 예술여행을 떠나 보면 어떨까.
프랑스와 예술의 조합은 너무 당연해서 왜 그게 당연한지 설명이 불필요하게 느껴질 정도다. 그런 만큼 여행을 좋아한다면, 예술을 좋아한다면, 프랑스만 한 여행지는 전 지구상에 아마 존재하지 않을 터. 저자 함혜리는 프랑스 유학생 출신으로 파리 특파원으로 활동한 저널리스트이기도 한, 프랑스 여행이라면 잔뼈가 굵은 베테랑이다. 그동안의 여행 기록과 코로나 이후 새로 답사한 프랑스의 예술 스팟들을 모아 정리해 『프랑스, 예술로 여행하기』 한 권의 책으로 펴냈다.
고흐, 샤갈, 마티스, 피카소 등 많은 예술가들이 모이던 문화도시 파리. 그리고 그들은 각각의 이유로 전원으로 내려가 작품활동을 계속했다. 그들이 사랑하던 ‘지방’은 르아브르 같은 북부 도시들도 있지만, 대개는 햇빛이 강렬하게 내리쬐는 남쪽 프로방스였다. 책은 예술가들이 머물던 그 남프랑스의 도시들에 관심이 있는 독자들에게 안성맞춤이다. 남프랑스 여행에서 경유지인 파리를 빼놓으면 섭섭한 일. 남프랑스를 겨냥한 여행사 패키지도 며칠간의 파리 여행을 포함시키곤 하지 않는가. 책은 그런 독자들을 위해 여러 사진 자료들을 포함한 2D-레트로 파리 시내 투어도 포함시키고 있다.
파리 여행의 출발은 미술관이다. 루브르 박물관, 오르세 미술관, 오랑주리 미술관, 마르모탕 모네 미술관, 퐁피두 센터에서, 주로 19세기~20세기 초 회화작품을 감상하는 코스다. 세계 예술의 수도 파리에 모였던 여러 예술가들의 뒷이야기와 창작 비화들이 펼쳐진다. 독자의 이해를 돕는 다양한 도판들로 볼거리를 제공한다. 그다음은 파리의 명소들인 에펠탑과 개선문, 산책자들을 유혹하는 숨은 장소들인 공원들, 도서관, 생제르맹의 카페들로 이어지는 파리 시내 탐방기다. 개선문의 포장 설치 미술인 〈개선문, 포장〉의 소개가 인상적이다. 파리의 예술 산책 코스로는 재개장된 노트르담 성당을 포함하는 센강 좌안, 죄드폼 국립미술관이 있는 센강 우안, 여러 소품점과 티 전문점이 있는 마레 지구, 소설 『다빈치 코드』의 무대가 된 생쉴피스 성당이 위치한 뤽상부르 일대를 추천한다.
함혜리의 파리 여행에서 독특한 요소로 부각되는 스팟들은 루이뷔통, 카르티에 등의 럭셔리 브랜드 미술관이다. 언뜻 말만 들으면 미술관에 역사적인(?) 가방이나 파티 드레스 등이 진열되어 있을 것 같지만, 의외로 이것은 어엿한, 그리고 세계에서도 알아주는 수준의 현대미술 전시장이다. 미술관 건물의 건축도 그 안의 컬렉션에 못지않은 또 하나의 예술품을 보는 맛을 선사한다. 안도 다다오 등 유명 건축가들이 앞장서 도전적이고 창의적인 공간을 구현해냈다.
아름다운 남프랑스, 예술과 낭만이 햇빛 아래 반짝이다
남프랑스의 강렬한 태양은 와인을 자라게 하고, 그 햇살의 유혹이 이끌려 온 미술가들의 회화들을 낳았다. 따뜻한 지중해성 기후는 휴양지로도 안성맞춤이니 예술가들이 중년이 되면 프로방스로 몰려온 것이 전혀 이상하지 않다. 로마 시대부터 이어지는 여러 역사적 건축물들이 도처에 즐비해 역사 테마 여행지로도 손색이 없다.
고흐의 도시로 유명한 아를은 고흐의 아름다운 풍경화로 우리에게 기억되는 장소다. 놀라운 점은 여기에 우리나라 이우환 작가의 미술관이 있다는 점이다.
“옅은 사암색의 건물에 나무로 된 육중한 문을 들어서면 리셉션이 나오고 왼쪽으로 들어가면 전시공간이다. 전시공간의 초입에서 만나는 콘크리트 구조물은 노출 콘크리트를 매끈하게 갈아 만든 것이 딱 보니 안도의 작품이다. 안도와 이우환의 협업 작품으로 소라처럼 속으로 뱅글뱅글 돌아서 들어가는데 가장 안으로 들어가면 바닥에 하늘을
담은 영상이 있다. 돌 그림자에 영상을 비춘 작품과 비슷한 느낌이다.” _본문 265페이지
아를에는 프랭크 게리의 ‘루마 아를’이라는 초현실적 건물도 관광객들을 맞이하고 있다. 건설 당시에는 독특한 디자인으로 도시 경관을 해친다는 비난이 빗발치기도 했지만, 지금에 와서는 어엿한 아를의 랜드마크로 자리매김했다. 옛것과 새것, 전통과 혁신이 공존하며 관광객을 맞이하는 자세는 존경스럽다. 로마 시대의 수도교인 퐁 뒤 가르로 유명한 ‘님’에도 노먼 포스터의 카레 다르라는 모던한 현대 건축물이 로마 사원인 메종 카레 앞에 놓여 있다. 옛 채석장을 활용한 미디어아트인 카리에르 데 뤼미에르, 마티스가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방스의 마티스 채플의 스테인드글라스와 사제복도 남프랑스의 아름다움을 만끽할 수 있는 요소. 마치 인스타그램 사진 효과를 그대로 3D 현실로 옮겨놓은 듯한, 옛 성채 도시 카르카손의 설치 미술 역시 인상적이다. 그 외 여러 수도원, 도시 풍경, 박물관, 옛 건조물을 리모델링한 박물관들, 시내의 맛집들에 대한 소개가 남프랑스의 석양과 어우러진다.
3부는 르코르뷔지에 예술 기행이다. 르코르뷔지에의 삶, 예술 철학, 그리고 그가 남긴, 현대의 상징격인 여러 건축물들을 돌아본다. 빌라 사부아, 롱샹 성당, 유니테 다비타숑 등에는 오늘날 우리가 ‘힙하다’라고 생각하는 여러 건축적 요소들이 이미 구현되어 있다. 도시의 개념을 바꾸어 놓은 피르미니 르코르뷔지에 건축단지, 절제된 경건함을 드러내는 라투레트 수도원, 후기 건축의 대표작인 롱샹 성당에 이르면 혁신적 디자인과 숭고한 아름다움이라는, 얼핏 상반된 이미지를 떠올리게 하는 두 개념이 어떻게 만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이 책은 몇 년에 걸친 저자의 예술적 여행을 기록한 것이다. 프랑스를 동경해온 사람이라면, 게다가 예술 애호가라면 알아야 할 대표적인 미술관과 유적지들을 추려 정리했으며, 작품들을 찾아다니며 도시와 거리의 인상적인 풍경과 미술관에서 느끼고 마주쳤던 순간들의 기록이다. 특히 각 도시가 자랑하는 주요 문화유산인 건축물과 미술관을 중심으로 예술의 역사를 둘러보는 것이 책의 특징이다. 책장을 넘기면서 자연스럽게 도시를 이루는 문화와 역사 전반을 건축과 예술, 예술가들을 통해 만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