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 김정렴
HS애드, LG생활건강 등 기업의 광고, 마케팅 분야의 전문가로 오 래 일해왔다. 공공의 정책 홍보에 관심을 갖게 되어 부산광역시에 서는 소통기획담당관으로 시정 홍보를 총괄했고, 이후 문화체육 관광부 국민소통실 디지털소통기획 과장으로 전 부처를 망라한 범정부 디지털 정책 홍보를 주도했다. 현재는 대한법률구조공단 홍보실장으로 재직중에 있다. 인식 변화를 넘어 행동을 변화시키 는 공공 캠페인, 디지털 고객 경험을 높이는 브랜드 기반의 정책 홍보에 관심이 많다.
관련 저서로 ‘오토바이로 모기를 잡아라(2018)’, ‘디지털 공공소 통: 인식 개선을 넘어 행동을 바꾸는(2020), ’디지털 고객 경험을 브랜딩하는 공공소통(2022) 등이 있다.
저자 : 박세진
한양대학교 ERICA 미디어학과 부교수로 미국 University of Ten- nessee에서 Communication & Information 전공으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육군 공보장교로 17년간 복무하면서 공공커 뮤니케이션 분야의 다양한 실무 경험을 쌓았으며, 국내외 학술지 에 20여 편의 논문을 게재하였다.
저자 : 박한나
현재 선문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부교수로 재직하고 있 으며, 광고홍보콘텐츠 전공주임교수와 이니티움교양센터장을 맡 고 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신문방송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하 고, 미국 플로리다대학교에서 PR 전공으로 매스커뮤니케이션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미들테네시주립대학교 교수로 9년간 재직하면서 미국PR협회(내쉬빌) 우수PR프로그램상을 비 롯하여 저널리즘 교육 우수상 등을 수상했다. 주요 학문적 관심 분야는 CSR, ESG, 공공 PR, 위기관리이며, 최근에는 광고 PR의 AI 활용으로 연구를 확장하고 있다. 한국PR학회, 한국광고홍보학 회, 한국광고PR실학회
저자 : 윤영삼
단국대학교에서 대중음악 제작경영 분야로 석사학위를, 동 대학 교에서 문화예술학 분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호원대학교 에서 K-POP 학과 학과장, K-컬처엔터테인먼트사업단 부단장으 로 재직중이며, JYP, YG 엔터테인먼트에서 보컬 디렉터 및 트레 이닝팀 팀장으로 근무하였다. 한국대중음악학회에서 지역이사를 역임하였고, 현재는 한국엔터테인먼트학회 홍보이사, 한국광고 홍보학회 이사로 학회 활동을 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한류, 대중음악(K-POP), 도시 및 국가 브랜드이며, 국내 여러 학술지에 연구 논문을 게재하였다.
저자 : 이형민
성신여자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공공커뮤니케이션, 정책PR, 엔터테인먼트 콘텐 츠의 행동심리학적 설득 효과 등이다. 한국광고학회, 한국PR학 회, 한국광고홍보학회 등에서 총무이사를 역임하였으며, 여성가 족부, 보건복지부, 국방부, 한미연합사령부, 서울시청 등에서 홍 보 자문 및 평가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논문들을
, , , 등의 국제학술지에 게재하였다.
저자 : 이민지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언론홍보학 석사를 받았다. 현재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소통실 디지털소통국 사무관으로 재직하며 정책 브 랜딩, 디지털 캠페인 등 공공소통 실무를 수행하고 있다. 질병관 리청 대변인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 대외협력홍보팀에서 근무하 였고 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6대 기획이사로 활동했다. 정책 홍보 의 메시지 전략, 리스크 관리에 관심이 많고 업무 백서, 매뉴얼 등 기록과 근거를 남기는 일에 보람을 느낀다.
저자 : 전종우
현재 단국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에 교수로 재직 중이다. 미국 플로리다대학교(University of Florida)에서 매스커뮤니케이 션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마쳤다. 공부를 시작하기 전에 광고회사인 LG애드(현 HS애드)에서 일하는 등 광고업계에 종사하였다. <멀티 컬처 마케팅>, <엔터테인먼트 광고론>을 강의하고 있으며 연구 관 심 주제는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엔터테인먼트 마케팅, 신기술 광 고 등으로 소비자의 유희 등에 대한 연구를 주로 하고 있으며 이들 주제에 대한 글로벌 차원의 연구를 선호한다. 연구 주제가 다양하 여 관련 논문을 International Marketing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Advertising, Journal of Public Relations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등 다양한 분야 학술 지에 발표하였다. 현재 한국엔터테인먼트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e-mail: jwjun@dankook.ac.kr).
저자 : 조준혁
현재 서원대학교 광고홍보학과 교수다.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에서 학사와 석사를 취득하였다. AI 이용자 심리를 주제로 단국대 광고홍보학과에서 커뮤니케이션학 박사를 취득하였다. 온라인 플 랫폼, 디지털 콘텐츠 회사에서 관련 업무를 담당하였다. 넥슨(2002 년~2004년)에서는 게임 콘텐츠를 기반으로 게임 웹, 게임 마케팅 을 담당하였다. 네이버(2005년~2023년)에서는 네이버 광고 플랫 폼 기반의 Display, Search, Game ad 등 디지털 마케팅을 위한 광 고 상품 기획, 광고 효과 연구, 데이터 분석, 업종 분석을 담당하였 다. 또한, 네이버 플레이스, 예약, N페이를 활용한 O2O(Online to Offline)서비스 기획과 사업개발을 담당하였다. AI챗봇에 대한 이 용자 심리, AI기반 광고, Human Computer Interaction, 데이터 사이언스에 관심이 많다. 저서로『 디지털 시대의 광고기획 신론』 (학지사, 2023),『 AI 기반 광고 전략』(온샘, 2023)을 공동으로 집필 하였다. 한국광고학회, 한국광고PR실학회 집행부 이사, 방송학회 방송통신연구 편집위원으로 봉사하고 있다.
저자 : 최호진
현재 한라대학교 미디어광고콘텐츠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중앙대학교 응용통계학과와 광고홍보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 으며,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에서 언론학 석사 학위를, 단국대학 교 일반대학원에서 커뮤니케이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교수로 부임하기 전에는 오리콤, YG PLUS(구: 휘닉스커뮤니케이션즈), 덴츠크리에이티브코리아(구: 덴츠코리아)등의 광고회사에서 광 고기획(AE) 업무를 담당하였다. 이후, 서울특별시 시민소통담당 관 소통전략실에서 홍보마케팅 요원, 경기도 홍보콘텐츠담당관 실에서 홍보콘텐츠팀장으로 재직하면서 민간과 공공영역의 커뮤 니케이션 업무를 두루 섭렵하였다.
주요 논문으로는 「정책PR 브랜디드 엔터테인먼트의 효과연구: 성남시 정책 웹드라마를 중심으로」(2020), 「게임 질병코드 도입 에 따른 게임이용장애인에 대한 낙인효과:일반인의 자아 개념과 문화 차원의 성향을 중심으로」(2020), 「자율주행 실증단지가 장 소 브랜드 요인에 미치는 영향: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2024)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