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on1은 리더와 팀원이 1:1로 대화를 나누는 비공개 만남의 시간이다. 이때 리더와 팀원은 업무적인 진척상황에 대해 이야기하며 피드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팀원 개인의 커리어와 성장, 행복에 대한 내용까지 함께 공유해야 한다. --- p.16
1on1은 실질적인 코칭의 현장이다. 팀원의 다양한 이야기를 들으며 현안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해결하면서 조직의 성과와 팀원의 잠재력을 이끌어 내는 자리다. 성공하는 리더는 대부분 코치의 역할을 통해 성과를 이끌어 낸다. --- p.23
리더는 1on1을 통해 기존에 가지고 있던 소통방식을 완전히 변화시킬 수 있다. 수직적이고 일방적인 소통에서 수평적이고 자유로운 소통으로 바꾸는 것이다. 변화는 멀리 있는 것이 아니다. 내가 기존에 해보지 않았던 것에 도전하는 것, 새로운 것을 시도해 보는 것이 변화이다. --- p.30
리더는 1on1에서 팀원에게 미래의 비전(vision)을 알려주어야 한다. 비전은 장기적이고 포괄적인 내용을 담은 우리의 미래다. 비전은 조직의 방향성이나 가치관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조직의 목적을 달성하면서 지속적으로 업무방향을 제시하는 지침 역할을 한다. --- p.41
1on1은 미리 빈도를 정해서 진행하는 것이 좋다. 이때 리더 는 팀원과 합의해서 일을 추진해 나가는 데 필요한 빈도를 정 하면 된다. 현업에서 팀원들과 1on1을 진행해 본 경험으로는 최소 일주일에 한 번을 추천한다. --- p.64
1on1을 진행하는 장소는 리더와 팀원이 집중해서 대화할 수 있는 공간이면 어디든 상관없다. 회의실이나 라운지, 카페도 좋다. 팀장의 자리도 괜찮다. 다만 팀장의 자리에서는 위계가 느껴지지 않도록 신경 써야 한다. 회의실의 경우 조사를 하는 것과 같은 딱딱한 분위기에서 진행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p.68
1on1에서 모든 문제를 바로 해결할 수는 없다. 리더가 즉각적으로 해결책을 제시하기보다 먼저 팀원의 이야기를 충분히 듣고 함께 해결책을 찾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리더가 팀원과 대화할 때 경청과 공감만 잘해도 1on1의 절반은 성공이라고 할 수 있다. --- p.98
1on1을 성공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는 리더가 약속한 것을 철저하게 지켜야 한다. 예상치 못한 경영환경이나 내부적인 변화로 약속을 지키지 못한 경우에는 그 이유를 납득할 수 있게 설명해 주어야 한다. --- p.116
1on1에서 리더는 팀원의 생각을 촉구해야 한다. 그 이유는 문제해결의 주인공이 팀원이기 때문이다. 리더는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팀원 스스로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방법을 찾도록 도와야 한다. 리더는 팀원이 문제의 원인을 찾고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코치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 p.177
1on1에서 팀차트를 활용하면 팀원의 행동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팀차트는 리더와 팀원이 함께 계획하는 것으로, 팀원의 행동을 과거부터 현재까지 점검할 뿐만 아니라 미래까지 그려 보는 데 유용하다. 이러한 팀차트는 조직과 직무의 특성에 따라 캘린더형과 3W1H형 2가지 형태로 적절하게 만들어 활용하면 좋다. --- p.202
리더는 신분이 아니라 역할이라는 점을 인식하자. 리더라는 역할을 신분으로 인식하면 불편하게 마련이다. 조직에서 직책 은 역할이 다른 것일 뿐이다. 리더라는 역할을 부여받은 것이지 다른 신분을 부여한 것이 아니다. --- p.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