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자주 이용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들은 미국에 본사를 둔 대기업인 경우가 많습니다. 최근 이런 기업들의 홈페이지에서는 24시간 상담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원한다면 실제 상담원과 연결해서 24시간 전화 상담을 할 수도 있지요. 어떻게 전 세계에서 밤낮없이 24시간 상담을 진행할 수 있을까요? 그 이유는 미국에 본사를 둔 많은 대기업이 아시아 지역, 특히 인도에 지사를 설치했기 때문입니다. 글로벌 대기업들이 인도에 지사를 설치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인데, 바로 시차와 언어입니다. 실리콘 밸리가 있는 미국 서부는 서경 120도, 인도는 동경 82.5도를 표준 경선으로 이용하는데 두 곳의 시차가 약 13시간입니다. 따라서 미국 본사가 업무를 마칠 때 인도 지사에서는 업무가 시작되므로 24시간 동안 업무가 이어질 수 있는 것입니다. 게다가 인도는 영어 사용 인구가 많아서 소통이 용이하고, 그로 인해 글로벌 인재가 많은 것으로도 유명합니다. 이런 요소들 덕분에 인도는 선진국 반열에 올라서기 이전부터 IT 강국으로 떠오를 수 있었지요.
-74쪽
아이슬란드는 대서양에 위치한 유럽의 섬나라입니다. 아이슬란드의 국토 크기는 대한민국과 거의 비슷하지만, 매년 계속해서 커지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아이슬란드 땅속에서 벌어지는 화산 활동 때문입니다. 지구를 구성하는 판은 맨틀의 대류 활동으로 인해 계속 움직이는데, 그중 아이슬란드가 위치한 곳은 일본처럼 판이 서로 충돌하는 곳이 아니라 판이 새롭게 생성되는 곳, 즉 해령이 위치한 곳입니다. 해저에서 화산 활동이 계속 일어나고, 이로 인해 판이 이동하면서 새로운 지각이 계속해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물론 아이슬란드도 화산과 지진의 영향을 많이 받는 나라입니다. 아이슬란드는 이 힘을 이용한 지열 발전과 바닷바람을 이용한 풍력 발전이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땅속에서 부글부글 끓는 마그마가 만든 온천도 관광 명소로 유명하지요.
-123쪽
미국은 유럽에서 이주한 사람들이 세운 나라이기 때문에 국가의 역사가 짧은데도 어떻게 단기간에 최고의 강대국이 될 수 있었을까요? 미국의 지형을 보면 그 답을 알 수 있습니다. 미국 서쪽으로는 신기조산대인 로키산맥이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습니다. 동쪽에는 고기조산대인 애팔래치아산맥이 동부 해안선과 평행하게 뻗어 있지요. 그리고 중앙에는 산맥 하나 없는 엄청난 평지가 펼쳐집니다. 로키산맥과 애팔래치아에서 발원한 강들이 이 드넓은 평야를 흐릅니다. 지도를 보면 미국 전역에 강이 흐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사실은 이 강의 흐름 때문에 미국이 빠르게 선진국이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처음 나라를 세우자마자 도로와 철도를 놓으려면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됩니다. 하지만 미국은 처음부터 강이라는 자연 수송로가 촘촘하게 만들어져 있었습니다. 미국은 이 하천을 활용해서 미국 전역으로 빠르게 많은 양의 물류를 수송할 수 있었고, 수운 교통의 발달은 산업을 육성하면서 비용을 절감하고 국가의 발전 속도를 높이는 데 엄청난 강점으로 작용했습니다.
-161쪽
아마존은 세계 생태계의 보고라고도 불립니다. 생태계 다양성이 압도적이기 때문인데, 한 연구에 따르면 영국 전체에 서식하는 개미 종보다 아마존의 나무 한 그루 주변에 서식하고 있는 개미 종이 훨씬 더 많다고 합니다. 재미있는 점은 비슷한 위도의 열대 기후 지역보다 아마존 지역의 숲이 훨씬 울창하고 토양도 비옥하다는 것입니다. 그 이유를 연구해 보니 아주 놀라운 원인이 밝혀졌습니다. 아마존을 ‘지구의 허파’로 불릴 만큼 울창한 숲으로 만든 주인공은 바로 사하라 사막이었습니다. 사하라 사막은 많은 모래와 먼지로 뒤덮여 있습니다. 이 중 아주 고운 모래들은 바람에 쉽게 휘날리게 되지요. 식물 성장에 도움이 되는 미네랄이 풍부한 모래 먼지가 사하라 사막에서 아마존까지 부는 무역풍을 타고 드넓은 대서양을 건너 아마존 지역에 도달하고, 그곳의 토양이 울창한 열대 우림이 될 수 있도록 도와준 것입니다.
-21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