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평면표지(2D 앞표지)

다른 방식으로 먹기

익숙한 음식의 낯선 세계를 탐험하는 시간


  • ISBN-13
    978-89-323-2399-2 (03900)
  • 출판사 / 임프린트
    (주)현암사 / (주)현암사
  • 정가
    22,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4-12-25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메리 I. 화이트 , 벤저민 A. 워개프트
  • 번역
    천상명
  • 메인주제어
    문화연구: 음식과 사회
  • 추가주제어
    역사 , 일반 및 세계사 , 사회학 및 인류학
  • 키워드
    #문화연구: 음식과 사회 #역사 #일반 및 세계사 #사회학 및 인류학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40 * 210 mm, 356 Page

책소개

문화인류학자 엄마와 역사학자 아들이 안내하는 음식의 새로운 세계

그 모든 여정이 지금, 식탁에서 시작된다!

음식과 요리에 대한 관심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먹방, 맛집 탐방 등의 콘텐츠 유행과 소비가 이를 증명한다. 그중에서도 요리 대결을 내세운 콘텐츠의 인기는 식을 줄 모른다. 최근에 이슈가 된 〈흑백요리사〉를 비롯해 저마다 비슷한 포맷임에도 불구하고 매번 주목받아 왔다. 아마도 재료를 선택하고, 손질해 요리하는 모든 과정에서 묻어나는 개인의 고유성과 정체성 때문일 것이다. 한 접시의 음식은 그냥 만들어지지 않는다. 저마다의 이야기를 품고 우리 앞에 왔다.  

『다른 방식으로 먹기』는 그런 음식의 이야기들을 시대와 나라를 가로질러 풀어낸다. 특히 문화인류학자 엄마 메리 I. 화이트와 역사학자 아들 벤저민 A. 워개프트 모자(母子)가 함께 쓴 음식 인문 교양서라는 점에서 특별하다. 두 명의 저자는 농업의 기원에서 시작해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역사 속에서 음식이 어떻게 다뤄졌고, 어떤 기능을 해왔는지를 야망, 호기심, 무모함 등으로 점철된 인류 역사를 중심으로 이야기한다. 이 책은 특별한 것 없는 음식들을 다룬다. 일상적으로 먹고, 마시고, 요리하는 음식과 그 재료들을 우리의 식탁을 규정해 온 사회적 규범과 연관 지어 음식을 이해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 이로써 음식이란 아주 오래된 사회, 문화적 산물이자 매개체라는 점을 깨닫게 한다. 

 

 

영토 전쟁과 권력, 식민지와 향신료, 요리법과 도구, 소울푸드의 등장까지….

음식으로 다시 읽는 세계사 

허쉬는 오늘날 어떻게 초콜릿의 대명사가 되었을까? 베네딕토회 수도승들은 왜 대중에게 적극적으로 맥주를 추천했을까? 일본 도쿄에서 요리를 할 때 절대 생선 배부터 가르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 흥미로운 질문들에 답하기 위해서는 음식이 생존 문제를 넘어 역사적으로 다양한 욕망과 이해관계의 중심에 놓여 있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고대 페르시아와 그리스 간의 묘한 기싸움 또한 다름 아닌 음식에서 시작되고, 발현되었다. 페르시아 제국은 비옥한 영토, 지리적인 이점, 목축의 발달 등으로 생태-문화적으로 풍부하고 균형 잡힌 요리가 발전했다. 그 시기는 당시 그리스 아테네 전성기와 겹쳤고, 페르시아는 그런 그리스인들을 초대해 코스별 고기와 설탕, 꿀로 범벅된 디저트를 대접하는 등 세련된 식문화를 보여주며 사회적 지위를 드러내고자 했다. 그들의 식문화를 두고 그리스는 지나치게 화려하며 탐욕적인 것으로 평가했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이후 페르시아에서 쓰였던 양념으로 만든 고상한 요리들이 그리스에 발전하기 시작했고, 그러면서 페르시아의 식문화가 자리 잡게 되었다. 이는 음식을 통해 고대 페르시아 왕국의 영토 장악력과 영향력을 직관적으로 잘 보여준다. 페르시아뿐만 아니라 연회석에서 지배국의 음식을 전시한 로마 상류층, 산 정상으로 노예를 보내 얼음 간식을 가져오게 한 중국 왕족에 관한 이야기 또한 음식의 상징성을 드러내고 있다. 

 

내가 먹는 음식을 생각한다는 건

곧 ‘나’에 대해 생각하는 일이다

같은 식재료를 두고도 사람마다 떠올리는 추억이 다 다르다. 그 재료들의 조합으로 만들어낸 음식은 더더욱 그렇다. 지역별로, 세대별로 경험한 식재료와 식문화가 너무도 다르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떡’에 대해 이야기하려 할 때 누군가는 하굣길에 친구들과 함께 사서 나눠 먹던 떡꼬치를 떠올리고, 누군가는 온 가족이 다 같이 모여 먹던 새해의 떡국을 떠올릴지 모른다. 또 누군가는 할머니 방앗간에서 갓 뽑아 꿀에 찍어 먹던 가래떡을 떠올릴지 모른다. 그리고 이러한 기억들은 어떤 것들보다 마음속에 오래 남는다. 이는 결국 우리가 어떤 음식을 기억하는 데 단순히 무엇을 먹었는지가 아닌 무엇을 ‘언제’ ‘누구’와 먹었는지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음식은 그저 취향과 기호의 영역으로만 설명되는 문제가 아니다. 과거에서 현재로 이어져 온 한 사람의 발자취다. 이러한 사실을, 음식이 하나의 트렌드처럼 금세 뜨거워졌다가 금세 식어버리고 마는 오늘날 다시금 돌아볼 필요가 있겠다.  

 

■ 저자 소개 

메리 I. 화이트 

하버드대학교에서 인류학, 비교문학, 사회학을 전공한 후 보스턴대학교 인류학 교수로 있다. 일본의 음식, 여행, 식문화 연구를 통해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문화인류학자다. 일본의 카페에 관해 연구하던 중 캄보디아 농민들의 커피 수출 문제를 돕는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됐고, 이들을 일본의 커피 시장과 연결 해 캄보디아 지역 사회 개발 및 발전을 도왔다. 주요 저서로는 『국수의 향연Noodles Galore』 『많은 사람을 위한 요리Cooking for Crowds』 『일본에서의 커피 생활Coffee Life in Japan』 등이 있다. 그 리고 아들 벤저민 A. 워개프트와 함께 『다른 방식으로 먹기Ways of Eating』를 공동집필했다. 

이 책에서 그는 욕망과 호기심, 무모함으로 점철된 인류의 삶 속에서 음식은 어떤 기능을 해왔고, 어떤 사회적 의미를 지녔는지를 문화인류학자의 관점으로 바라보고 이야기한다. 

 

목차

머리말 8

 

1장

농업의 기원으로 보는 자연과 문화19

에피소드 1 두초의 에덴동산 

 

2장 고대 세계의 주요 제국들 45

에피소드 2 니시아카시에서 맛본 아카시야키 

 

3장

중세의 맛 99 

에피소드 3 커피와 후추 

 

4장 콜럼버스의 교환인가, 세계의 재창조인가 143

에피소드 4 김치 이전 세상 

 

5장

음료, 사교 모임, 그리고 근대 173

에피소드 5 스피릿 세이프 

 

6장 식민지와 카레 211

에피소드 6 파나마에서 찾은 정통 커피 

 

7장 음식 산업혁명 239

에피소드 7 아이스박스 

 

8장 20세기 식습관, 또는 불만족스러운 대용량 식품 269

에피소드 8 브리콜라주 

 

9장 다른 방식으로 먹기 301

에피소드 9 메뉴판에서 만난 넴 

 

맺음말 326

감사의 글 333

주 335

참고문헌 347

본문인용

■ 본문 중에서 

음식을 향한 욕망은 끝이 없다. 이 사실을 인정하고 몸이 느끼는 식욕이 짐승들이나 가지는 ‘하찮은’ 욕구가 아니라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인간의 식욕은 음식과 인간이 맺고 있는 관계의 핵심이다. 우리는 우리가 느끼는 식욕을 곱씹어 보고 마음껏 채워보면서 우리와 음식 간의 관계에 관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다. 음식을 연구하는 데 개인의 경험은 아주 중요한 도구다. 다른 욕구와 마찬가지로 배고픔과 목마름은 우리를 혼란스럽게 할 수도 있다. 맛만 보고서는 알아낼 수 없는 음식에 담긴 이야기들이 있다. 설탕은 인간을 행복하게 해주지만, 그 쾌감이 한때 식민지 플랜테이션에서 사탕수수를 심고 수확했던 노예들의 이야기를 알려주지는 않는다._12p

 

고대 제국의 일부 상류층은 소비를 통해 자신의 정치적 권력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기도 했다. 로마인은 정복한 지역의 식문화를 야만적이라 여겼지만, 연회석에서는 그 ‘야만적인’ 요리를 차려내 지배자의 힘을 과시하는 용도로 활용했다. 당연히 상류층은 소작 농보다 훨씬 다양한 요리를 접할 수 있었고, 자신들의 부와 영향력을 보여주기 위해 연회를 열어 서로서로 대접했다. 페르시아의 상류층은 하인에게 저 멀리 하천까지 가서 귀한 허브를 구해 오라고 명령하기도 했다. 중국에서는 로마에서와 마찬가지로 노예가 왕족이 즐기는 얼음 간식을 구하기 위해 산꼭대기까지 올라가 눈을 가져오기도 했다. _55p

 

유라시아의 온대 지역에 속했던 로마와 중국 제국에는 특유의 기후 덕분에 다양한 동식물이 존재했다. 로마의 지중해는 서로 다른 정치 집단이나 문화 공동체가 끊임없이 정복, 이동, 융합, 통합할 수 있는 열린 환경을 제공했다. 하지만 중국의 강, 협곡, 산맥은 모든 지역을 독립적으로 구분 지었다. 중국 북부와 남부의 기후는 아주 달랐다. 북부는 시원하고 건조한 반면에, 남부는 덥고 습했기에 하나의 작물이 중국 전역에 퍼져서 재배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었다. 중국 제국은 여러 지역 공동체를 하나로 통합하려고 노력했다. 서양에서도 익숙한 광둥, 쓰촨, 후난, 산둥 등의 지역 공동체 명칭은 아직도 중국 요리의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다._84p 

 

우리가 먹는 음식은 변화하는 문화의 지표다. 동시에 지구의 동식물이 현대에 들어와 재분배되면서 나타난 결과이기도 하다. 생물학적 재분배는 유럽인이 부를 찾아 세계를 누비면서 시작됐고 그들의 탐험을 향한 욕구는 콜럼버스 이후 수 세기 동안 아주 뜨겁게 불타오르는 채로 지속됐다. 생물의 재분배가 이루어질 무대를 마련하는 일은 사실상 생물학 전쟁과 다름없었다. 유럽에서 건너온 미생물들의 무차별적인 공격 때문에 아메리카 원주민의 인구가 급격하게 줄어들었다. 결국 콜럼버스의 교환으로 아메리카 대륙에 자라기 시작한 달콤한 과일들을 맛볼 수 있는 원주민의 후손은 얼마 되지 않았다._172p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중세 후반까지 유럽 사람들은 설탕을 약으로 여겼다. 아랍 약전에는 설탕을 탕약, 우려낸 차, 여러 약제와 함께 쓰라고 기록돼 있다. 아랍, 스페인, 페르시아 상인들은 설탕을 유럽으로 전파했다. 갈레노스의 의학은 체액 이론에 기초해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었다. 갈레노스파 의사들은 설탕을 ‘뜨거운’ 성질을 지닌 물질로 분류해 ‘차가운’ 성질을 지닌 물질과 균형을 이룰 수 있다고 믿었다. 예를 들어 설탕은 뜨거운 성질을 지녔다고 여겨지는 젊은 사람에게는 효과가 없지만, 차가운 성질을 지닌 환자가 먹으면 여러 병을 치유할 수 있다고 믿었다._193p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메리 I. 화이트
메리 I. 화이트
하버드대학교에서 인류학, 비교문학, 사회학을 전공한 후 보스턴대학교 인류학 교수로 있다. 일본의 음식, 여행, 식문화 연구를 통해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문화인류학자다. 일본의 카페에 관해 연구하던 중 캄보디아 농민들의 커피 수출 문제를 돕는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됐고, 이들을 일본의 커피 시장과 연결 해 캄보디아 지역 사회 개발 및 발전을 도왔다. 주요 저서로는 『국수의 향연Noodles Galore』 『많은 사람을 위한 요리Cooking for Crowds』 『일본에서의 커피 생활Coffee Life in Japan』 등이 있다. 그 리고 아들 벤저민 A. 워개프트와 함께 『다른 방식으로 먹기Ways of Eating』를 공동집필했다.
이 책에서 그는 욕망과 호기심, 무모함으로 점철된 인류의 삶 속에서 음식은 어떤 기능을 해왔고, 어떤 사회적 의미를 지녔는지를 문화인류학자의 관점으로 바라보고 이야기한다.
저자 : 벤저민 A. 워개프트
벤저민 A. 워개프트
미국 스워스모어 칼리지Swarthmore College를 졸업한 뒤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 버클리캠퍼스에서 역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근대 유럽 지성사를 전공했으며, MIT 인류학과 방문교수를 지냈다. 저명한 문화인류학자인 어머니 메리 I. 화이트의 영향으로 식문화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다양한 매체에 현대인의 식문화와 인공육 등 음식의 미래에 관해 기고하고 있다. 저서로 『공적 공간에서 사유하기Thinking in Public』 『윌리엄스 칼리지의 유대인들Jews at Williams』이 있다. 그리고 메리 I. 화이트와 함께 『다른 방식으로 먹기Ways of Eating』를 공동집필했다.
이 책에서 그는 농업의 기원을 시작으로, 음식의 변천 과정을 다룬다. 고대부터 현대까지 시대별로 나라에 따라 탄생한 음식을 역사학자의 관점으로 들여다보고 이야기한다.
번역 : 천상명
대학에서 역사교육과 영어교육을 전공했다. 현재 삶의 모습이 과거 어디에서부터 시작됐는지, 과거와 현재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연구하고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일을 하고 있다. 또한, 더 넓은 세상을 배우고 그 경험을 공유하기 위해 글밥 아카데미 수료 후 바른번역에서 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해 외에서 출간된 역사, 인문, 교육 분야 책들에 꾸준히 관심을 두고 살피며 다양한 이야기를 한국 독자들에게 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