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나는 꽤 괜찮은 내가 될 거야


  • ISBN-13
    979-11-93811-33-7 (43180)
  • 출판사 / 임프린트
    생각정원 / 생각학교
  • 정가
    15,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4-11-20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이승욱
  • 번역
    -
  • 메인주제어
    어린이, 청소년 교양: 일반지식, 상식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어린이, 청소년 교양: 일반지식, 상식 #불안 #진로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청소년
  • 도서상세정보
    140 * 210 mm, 240 Page

책소개

이 책은 정신분석학을 청소년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내며 10대의 관점에서 자기 이해란 무엇인지를 말해준다. 자기 이해는 공부, 진로, 친구 등 청소년들이 당면한 수많은 갈등 속에서 내 마음에 귀를 기울일 수 있는 것이다.

정신분석가 이승욱은 뉴질랜드에서 정신분석학과 철학을 공부한 후 귀국해 청소년기관에서 전문심리상담위원으로 활동하고, 뉴질랜드 교육부 외래 자문위원으로서 활약해왔다. 심리상담기관에서 오랫동안 전문자문위원으로 활동하면서 청소년들의 마음을 돌보는 데 누구보다 헌신해왔다. 그는 청소년들이 ‘자기 검열에서 벗어나는 법’을 비롯해 나와 주변, 그리고 세상과 관계 맺기 위해 생각을 키워나가는 법을 배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목차

시작하며 10대에게도 정신분석이 필요할까요? 

 

LESSON 1

나는 꼭 무엇이 되어야 할까요: 나 자신이 되는 법에 대하여

1 질문을 의심하자 

2 ‘무엇’도 ‘누구’도 아닌 ‘나’를 생각해보렴 

3 우등과 열등으로 우리의 가치가 결정되진 않아 

4 ‘나답지 않은 나’가 되는 과정에서 더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어 

5 콩+물= 콩나물? 개성은 고유한 무엇이지 

6 아버지는 우리가 잊고 있는 소중한 스승이야 

7 ‘자신을 사랑하라’는 말에 대한 치명적인 오해 

8 하루 10분, 아무도 없는 공간에서 너의 몸과 마음을 만나렴 

 

LESSON 2

꿈이 뭐냐고 물으면 왜 화가 날까요: 꿈을 찾는 법에 대하여

9 질문이 싫은 건 공부라는 결말 때문이지 

10 가능성을 넓히는 거라고 생각해봐 

11 너의 환경이 꿈을 정하도록 내버려두지 마 

12 결핍이 우리를 어른으로 만들기도 해 

13 학교 공부? ‘배우는 사람’이 되기 위해서 배워야 해 

 

LESSON 3

스무 살 되면 자동으로 어른이 되는 거 아닌가요: 어른이 되는 법에 대하여

14 공포와 난관을 극복하면 어른이 된다고도 하지 

15 자기 자신을 믿겠다는 ‘결정’의 순간이 바로 어른의 출발 

16 스스로 선택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가질 수 없어

17 두려워만 하는 사람과 두려움 속으로 들어가는 사람의 차이

18 조금 쪽팔릴 자신만 있으면 돼

 

LESSON 4

나도 누군가와 친해지고 싶지만 서툴기만 해요: 세상과 관계 맺는 법에 대하여

19 관계를 실패와 성공, 좋고 나쁨으로만 따지지 말자 

20 사랑은 내게 없는 것을, 내가 원하지 않는 사람에게 주는 것 

21 섹스에 대해 정말 진지하게 생각해본 적 있니? 

22 친구에게 말을 걸자, 우리는 모두 외로우니까

23 폭력과 상처, 고통이 내 삶을 망가뜨리게 두지 마 

 

LESSON 5

행복이 뭔지 모르겠지만 찾고 싶어요: 우리 삶의 궁극적인 목적에 대하여

24 내가 괜찮은 사람이 된 것 같은 일을 찾으렴 

25 제품설명서는 읽으면서 ‘자기 마음 설명서’는 왜 읽지 않을까 

26 이야기해! 그리고 다시 살아나 

27 자해와 자살 충동, 살아있음을 감각하는 일에 대해

28 미숙함과 서투름을 인정하면 더 강해지지

 

맺으며 어떤 일이 닥치더라도 여러분의 삶은 괜찮을 겁니다

본문인용

-

서평

“어떤 일이 닥치더라도 여러분은 괜찮을 겁니다.

그러니 스스로에게 조금만 더 시간을 주세요.”

이승욱 선생님과 함께 정신분석을 통해 ‘진짜 나’를 발견하는 법

10대는 신체적, 심리적 변화와 더불어 자신과 세상에 대한 이해가 급격히 변화하는 시기로서, 이 과정에서 혼란스러움이나 좌절감이 무기력이나 충동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는 청소년들의 심리적 위기가 어느 정도인지를 말해준다.

이런 현실에 대해 《상처 떠나보내기》, 《천 일의 눈맞춤》, 《마음의 문법》 등으로 아이가 성장하는 데 꼭 필요한 어른의 역할과 다음 세대와의 소통과 성장의 중요성을 강조하던 저자 이승욱이 청소년들에게 직접 말을 건네는 《나는 꽤 괜찮은 내가 될 거야》를 출간했다.

이 책은 정신분석학을 청소년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내며 10대의 관점에서 자기 이해란 무엇인지를 말해준다. 자기 이해는 공부, 진로, 친구 등 청소년들이 당면한 수많은 갈등 속에서 내 마음에 귀를 기울일 수 있는 것이다. 정신분석가 이승욱은 뉴질랜드에서 정신분석학과 철학을 공부한 후 귀국해 청소년기관에서 전문심리상담위원으로 활동하고, 뉴질랜드 교육부 외래 자문위원으로서 활약해왔다. 심리상담기관에서 오랫동안 전문심리상담위원으로 활동하면서 청소년들의 마음을 돌보는 데 누구보다 헌신해왔다. 그는 청소년들이 ‘자기 검열에서 벗어나는 법’을 비롯해 나와 주변, 그리고 세상과 관계 맺기 위해 생각을 키워나가는 법을 배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특히 자기 이해와 자기 돌봄의 관점에서 성장이란 무엇인지 설명하면서 청소년들에게 그간 스트레스에 시달린 청소년들에게 진심 어린 위로와 위안을 건넨다. 저자는 건강한 어른으로 성장하기 위해 건강한 유년기와 사춘기를 보내야 한다고 말한다. 그런 관점에서 저자는 지금 청소년들이 가장 묻고 싶었던 관계, 행복, 꿈과 ‘나’처럼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 모르는 상황을 들여다보며 꼭 필요한 조언을 건넨다.

이 책이 말하는 ‘괜찮은 나’는 성적이 올라가고 친구가 많아지며 부모님과 선생님께 인정받는 ‘나’가 아니다. 우등과 열등, 빈부로 서열의 꼭대기에 서는 것이 아닌, 나 자신을 이해하고, 더 넓게는 자신의 개성대로 살아가는 ‘나’라고 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선 내가 어떤 사람인지, 어떤 가능성이 있는지부터 탐색할 수 있어야 한다. ‘괜찮은 내’가 되기 위해 저자는 나 자신이 되는 법, 꿈을 찾는 법, 어른이 되는 법, 세상과 관계 맺는 법, 행복을 찾는 법부터 배워야 한다고 말한다. 5부로 각 주제를 나눠 10대들과 공유하고 싶었던 그만의 통찰과 정신분석가만이 할 수 있는 자기 발견과 자기 이해에 관해 이야기를 펼쳐낸다.

정신분석은 나 자신을 텍스트로 삼아 연구하는 학문이기 때문에, 온전히 나에 대해 집중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기도 하다. 그런 맥락에서 이 책은 청소년 시기부터 번아웃을 겪게 된 아이들의 고민을 하나씩 파고들며 독자들에게 자신의 마음을 털어놓을 수 있는 심리적 안전지대를 제공한다.

이 책에서 정신분석가 이승욱의 이야기를 따라가다보면 비판받을 두려움 없이 자신의 이야기를 털어놓고, 이해받지 못할 것 같은 두려움을 안전하게 표현하는 법을 알게 된다. 집, 학교, 학원으로 이어지는 좁은 동선에서 시야까지 좁아진 10대들에게 이 책은 더 넓은 세상으로 자신을 이끌어주는 어른스러운 친구를 만난 듯할 것이다. 또한 청소년들이 겪는 여러 어려움이 무엇이며 거기에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 모르는 학부모와 교사들에게도 그들이 겪는 문제의 근원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청소년이 반드시 읽어야 하는 책이지만, 힘든 시기를 겪는 성인들에게 꼭 필요한 조언을 해주는 멘토도 될 수 있다.

저자소개

저자 : 이승욱
대학교를 졸업하고 7년간 교사로 일했다. 뉴질랜드로 유학을 가서 오클랜드대학교와 메시대학교 등에서 정신분석과 철학을 공부하고, 오클랜드의 정신병재활치료센터에서 정신분석가와 심리치료실장으로 10년간 근무했다. 귀국해서는 하자작업장학교에서 2년 가까이 교감으로 일했다. 현재는 서울 종로에서 ‘닛부타의 숲 정신분석클리닉’을 운영하고 있다. 스스로를 지킬 힘이 없는 사회적 약자들과 연대하기, 다음 세대가 건강하게 잘 성장하도록 기여하는 일에 오랫동안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저서로는 《상처 떠나보내기》 《천 일의 눈맞춤》 《마음의 문법》 《소년》 《포기하는 용기》 《사랑에 서툰 아빠들에게》 등이 있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