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어떤 책도 이러한 마인드셋에 대해 제대로 설명하지 못했고, 각자의 삶에서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 보여주지 못했습니다. 이제 이 책을 통해 당신은 비로소 과학, 예술, 스포츠, 비즈니스 각 분야에서 위인이 된 사람들과 그렇지 못했던 사람들의 차이를 이해할 수 있을 겁니다. 또한 당신의 파트너와 상사, 친구와 자녀의 마음도 헤아릴 수 있게 될 것이고, 당신과 자녀의 잠재력을 제대로 발휘하는 방법 역시 이 책을 통해 배울 수 있게 될 것입니다. _p.9
실패를 겪어도 낙담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자신들이 실패하고 있다는 생각조차 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그 실패를 통해 자신들이 배워 나가고 있음을 자각하고 있었던 것이지요. _p.18
이 ‘성장 마인드셋(growth mindset)’은, 당신이 현재 가진 자질이 단지 성장을 위한 출발점일 뿐이며, 노력이나 전략, 또는 타인의 도움을 통해 얼마든지 길러낼 수 있다는 믿음에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 _p.22
고정 마인드셋의 아이들은 자신이 성공했다는 확신을 갖길 원했습니다. ‘똑똑한 사람은 항상 성공해야만 해.’ 하지만 성장 마인드셋을 가진 아이들에게 성공이란 최선을 다하는 것일 뿐이었어요. ‘최선을 다하다 보면 똑똑해지겠지.’ _p.38
“지능이란 노력해야 얻는 거라고 생각해요. 그냥 주어지는 게 아니고요. 대부분의 아이들은 답을 확실히 모르면 손을 들지 않지요. 하지만 저는 언제나 손을 드는 쪽이에요. 만약 제 대답이 틀린다고 해도 선생님이 바로잡아 주실 테니까요. 아니면 손을 들고 ‘이건 어떻게 풀어야 해요?’라거나 ‘이해가 안 돼요. 도와주시겠어요?’ 하고 묻죠. 그렇게 해야 제 지능이 높아질 테니까요.” _p.38
성장 마인드셋의 소유자는 단지 도전을 추구하는 데 그치지 않고, 도전을 통해 성장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도전이 거세고 어려운 것일수록 더 많이 성장하는 것이죠. _p.43
저는 인생에서 처음으로 스스로에게 “너무 어렵지만 재미있어”라고 느꼈던 때를 아직도 잊지 못합니다. 바로 그때가 저의 마인드셋이 바뀐 순간이었겠지요. _p.47
평가라는 것은 단지 한 시점에 대해 내릴 수 있는 것일 뿐입니다. 노력과 시간을 들이고 제대로 지도를 받으면 사람이 어디까지 발전할 수 있을지 어떻게 알 수 있단 말인가요? _p.53
능력과 성취에 관한 여러 신화적인 믿음 가운데서도 특별히 두드러지는 건, 외롭고 뛰어난 사람이 어느 날 갑자기 놀라운 결과물을 내놓는다는 생각입니다. 하지만 다윈의 걸작 《종의 기원》만 하더라도, 그 결과물이 있기까지 해당 연구진의 수년에 걸친 협업과 동료들, 멘토들과 치른 수백 번의 토론, 수차례의 초안, 그리고 반평생에 걸친 헌신이 필요했습니다. _p.94
1976년 올림픽 10종 경기에서 금메달을 딴 브루스 제너는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내게 난독증이 없었다면 아마 올림픽에서 우승하지 못했을 겁니다. 내가 글을 더 잘 읽었더라면 삶도 운동도 더 쉬웠을 테고, 그랬다면 인생에서 앞서나가기 위해서는 엄청난 노력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했을 테니까요.” _p.138
부모가 진심으로 자녀에게 선물을 주고자 한다면, 최선의 방법은 실수를 통해 흥미를 구하고, 새로운 전략을 찾고, 지속적인 배움을 사랑하는 법을 아이에게 가르치는 것입니다. 그럼 아이들은 더 이상 칭찬의 노예가 될 필요가 없고, 평생 자신감을 기르고 회복할 수 있는 자신만의 길을 갖게 되지요. _p.255
성장 마인드셋을 향한 변화가 제가 가진 모든 문제를 해결해 줬냐고요? 아닙니다. 하지만 저는 그 덕분에 이전과는 사뭇 다른 삶, 더 풍성한 인생을 살 수 있게 됐다는 걸 압니다. 그리고 더 생동감을 느끼고 용기를 얻게 됐으며 더 열린 자세를 갖추게 됐죠. _p.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