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평면표지(2D 앞표지)
입체표지(3D 표지)
2D 뒤표지

경상의 말들


  • ISBN-13
    979-11-6770-108-4 (03810)
  • 출판사 / 임프린트
    유유출판사 / 유유출판사
  • 정가
    14,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4-12-04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권영란 , 조경국
  • 번역
    -
  • 메인주제어
    에세이, 문학에세이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에세이, 문학에세이 #경상도 #사투리 #방언 #사투리의 말들 #권영란 #조경국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27 * 188 mm, 218 Page

책소개

할머니 쓰시던 그 정겨운 사투리는 이제 누가 기억할까? 투박하고 강한 억양과 단호한 말투로 때로는 무뚝뚝하다는 말도 듣지만, 경상도 사투리는 누군가의 기억과 기운을 북돋는 정다운 ‘입말’이다. 그러나 서울말을 기반으로 한 표준어의 시대, 사투리는 글에서도 말에서도 점차 희미해지고 있다. 한국어의 다양성과 풍요로움을 간직하고 지역의 정체성과 고유문화가 그대로 담긴 ‘사투리’를 기록하고 기억하는 일이 중요한 이유다.

 

서울·수도권 바깥의 지역 이야기를 여러 매체에서 다정하고도 정확하게 전해온 권영란과 지역 헌책방을 운영하며 읽고 쓰는 일의 즐거움을 나눠온 조경국이, 우리가 ‘잊아삐고 있던’ 경상도 사투리를 기록한다. 미처 글말로 기록되지 못했던 사투리의 틈에서, 우리 책·영화·티브이 등에 쓰인 100개의 경상도 사투리를 정성스레 그러모아 단상을 덧붙였다. 

 

“만다꼬” 한마디면 모든 걱정이 가벼워지는 할매들의 말부터 소중한 지역 문화를 품은 말, 지역 소멸 등 이 사회를 향한 이야기까지, 사투리 한 문장 한 문장에 너르게 담겼다. “내 사투리 쫌 쓴다”라고 자랑스레 이야기하는 사람들이 늘어날 그날을 위해, 경상도 출신의 두 작가가 담아낸 경상도의 또 다른 맛과 정다운 품을 전한다.

목차

들어가는 말

 

문장 001

문장 100

 

나가는 말

본문인용

-

서평

이 세계의 모든 말은 사투리다

 

어느 한 지역에서만 쓰는, 표준어가 아닌 말을 사투리라고 합니다. 수도를 중앙으로, 지역을 지방으로 구분해 온 경향 탓에 사투리는 오랫동안 애꿎은 이미지 속에 갇혀 있었지요. 사투리는 촌스러워, 사투리 쓰는 사람은 교양이 좀 없어, 사투리는 공식적인 언어가 아니야, 공공연한 자리에서는 표준어를 써야 해.

하지만 서울을 포함한 모든 지역에는 토박이말이 있습니다. 토박이말은 지역 정서를 고스란히 담고 있고, 지역과 지역민 정체성의 기반을 형성합니다. 각 지역의 역사와 문화가 스며든 말이며, 제각각 다른 팔도 사투리는 우리 언어의 다양성을 보여 주기도 합니다.

그럼에도 오랫동안 글말이 아닌 입말로만 전해진 탓에 시간이 지나며 일부는 소멸되었고, 지역 경계를 쉽게 넘나들지 못해 지역 밖에서는 움츠러드는 말이 되었습니다. 글말이 되기는 점점 더 어려워졌고, 그 가치를 제대로 인정받을 기회 역시 없었지요. 아무리 가치 있는 입말이라도 글말로 남기지 않으면 사라져 버리고 보존되지 못합니다. 이에 책과 영화·드라마·신문 등에서 각 지역별 사투리 문장 100개를 그러모으고, 각 지역에 연고 있는 작가들이 지역과 사투리에 관한 이야기를 붙였습니다. 유유는 다양한 정서를 품은 유서 깊은 말, 오래 기억하고 함께 쓰고 싶은 사투리 표현을 모아 우리 언어문화의 다양성을 살피는 기획으로 ‘사투리의 말들’을 선보입니다. 

 

“내게, 사투리는 살아생전 어머니 입말이다”

무뚝뚝한 표정과 거센 말투 사이에서 찾은, 따뜻하고 정겨운 경상도의 말맛

 

한순간에 우리를 일으켜 세우는 말이 있지요. 바로 ‘옴마’와 ‘할매’의 말입니다. 어릴 적부터 몸으로 배웠던 엄마와 할머니의 말, 특유의 억양과 말투로 순식간에 지난 기억을 되살리는 그 말을 듣다보면 잊은 줄도 몰랐던 기억이 따뜻하게 되살아납니다. 정돈된 글말에 담긴 표준어 바깥에서 우리가 매일매일 쓰는 모든 입말이 일종의 사투리라면, 사투리에는 단지 의미를 전달하는 것을 넘어서는 언어의 정서적 힘이 가득합니다.

흔히 무뚝뚝하고 거센 억양으로 이야기되는 경상도 사투리도 마찬가지입니다. 경상도 사투리는 “다른 지역에 비해 말 줄임과 높낮이의 쓰임”이 많고, “세고 투박한 억양”으로 거친 말로 오해받기도 하지요. 영화나 드라마에서는 꼭 무서운 남성 인물들이 경상도 사투리를 자주 사용하기도 하고요. 하지만 경상도 사투리의 또 다른 맛은 없을까요? “아이고 욕봤네”라고 상대방의 수고로움을 다정하게 토닥거리는 말, “만다꼬(뭐한다고)” 한마디 떠올리면 모든 걱정이 가벼워지는 할매의 말, “빼때기죽” 같이 지역 문화를 고스란히 담고 있는 말들까지, ‘경상의 말들’에는 한국어의 풍요로움과 지역문화의 다양함을 품은 소중한 말이 많습니다.

이러한 소중한 ‘토박이말’을 기록하고 기억하기 위해 경상남도 출신의 두 작가가 힘을 합쳤습니다. 서울·수도권 바깥 지역의 이야기를 다양한 매체를 통해 전해온 권영란 작가와 진주에서 헌책방을 운영하며 『필사의 기초』 등의 책으로 읽고 쓰는 일의 즐거움을 나누어온 조경국 작가가 100가지 경상도 사투리를 그러모아 단상을 덧붙였습니다. 우리 책·영화·티브이 등에 쓰인 경상도의 말들을 통해, 지역 문화, 기억, 사회를 가로지르는 ‘경상도의 또 다른 말맛’을 알차게 담았습니다.  

 

우리는 왜 이토록 토박이말에서 멀어졌을까?

지역의 정체성과 고유의 문화를 가득 담은, 경상의 말을 되살리다

 

입말로 전해지는 특성상 사투리는 ‘글말’로 잘 기록되지 못했습니다. 경상도 출신 작가들의 책을 찾아보아도 사투리는 온 데 간 데 없고, 그 외 다양한 매체에도 경상도 사투리는 잘 기록되지 못했지요.. 표준어에 밀려 사라져 가는 경상도 사투리의 처지와 현실 속에서, 소중한 기운을 품은 경상도 사투리를 찾아내는 것이 쉽지는 않았다고 이 책의 저자들은 고백했습니다. 표준어와 맞춤법이 제정된 이래로 사투리는 글에서도 입에서도 점차 힘을 잃어갔고, 사투리 사용자들은 토박이 입말을 “학교에서 배운 글말로 억지로 고쳐 가며 살았”으니까요.

위기에 빠진 것이 어떻게 ‘말’뿐일까요. ‘지역소멸’을 우려하는 목소리는 여전합니다. “아무리 남고 싶다고 한들 일자리가 없다면 떠날 수밖에 없는” 현실 속에서 지역의 사람들은 점차 사라지는 지역 정체성과 고유문화를 걱정하고 있습니다. 어쩌면 지역을 되살리는 기반 중 하나가 바로 그 지역의 말들이 아닐까요? 누군가의 정체성과 몸으로 겪은 기억을 순식간에 되살리고, 힘내어 나아갈 청신한 힘을 주는 말. 우리에게는 말을 기억하고, 기록하고, 이어갈 힘이 필요한지도 모릅니다.

경상도 출신의 시인 박목월은 「사투라」라는 시에서 경상도의 말에서는 “입안이 마르는 황토 흙 타는 냄새가 난다”고 표현했습니다. 말을 생략하고 축약하고, 억양을 이용해 대화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조금은 거칠고 무뚝뚝한 경상도 말의 특성을 이야기하는 것일까요? 어쩌면 그는 경상도 특유의 억양 속에 담긴 정겨운 생활의 감각을 이야기하고 싶었을지도 모릅니다. 살아가며 곁을 내주는 사람들에게 “내는 니가 억수로 좋대이”라고 전하며 힘을 북돋을 수 있는 소중한 말들. 『경상의 말들』을 통해 기억과 추억을 꺼내보기를, 경상도의 또 다른 맛과 정다운 품을 느껴보시기를 권합니다.

저자소개

저자 : 권영란
진주 남강가에서 살다가 지리산 자락 산청으로 옮겨왔다. 1999년 개천신인문학상을 받았다. 신경림 시인이 뽑아준 것을 자랑했을 뿐 이후에 시를 쓰지는 못했다. 경남에 소재한 지역신문사 두세 곳을 전전하며 기자로 일했다. 곳곳의 마을과 문화, 사람을 톺아보며『시장으로 여행가자』『남강 오백리 물길여행』을 차례로 펴냈다.『남강 오백리 물길여행』으로 2017년 제1회 한국지역출판대상을 받았다. 2016년부터『한겨레신문』에 칼럼을 쓰고 있다. 서울·수도권이 아닌 지역에서 살아가는 이야기를 때로는 삐딱하게 때로는 다정하게 풀어내려 애쓰고 있다. 이따금 동네 할매들의 살아온 이야기를 같이 울며 웃으며 기록하고 있다. 할매들 삶에서 지역사를 더듬기도 하지만 생생한 입말에 남아있는 토박이말을 어떻게 살뜰히 챙길 수 있나 궁리 중이다.
저자 : 조경국
진주에서 태어나 하동, 산청, 사천 등 서부 경남지역에서 거의 40년을 살았다. 당연히 ‘ㅓ’와 ‘ㅡ’를 잘 구분해서 발음하지 못한다. 직장을 다니느라 잠깐 서울살이를 했으나 고향으로 돌아와 2013년부터 헌책방 책방지기로 일하고 있다. 2033년 책방지기를 그만두고 더 재밌는 일을 찾을 계획이다. 주변에서 일어나는 사소한 일들을 기록하기 좋아한다.『일기 쓰는 법』『오토바이로, 일본 책방』『필사의 기초』등 몇 권의 책을 썼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