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적인 건강을 정의하고 그걸 달성하고자 개인 수준에서부터 국가 수준에 이르기까지 모든 계층에서의 노력이 ‘건강관리’라 할 수 있으며, 사회적으로 건강을 정의하는 의의도 바로 여기에 있다. (13쪽)
대부분의 운동에 의한 만성적(장기적) 이점은 잘 확립되었으나, 아직도 많은 이들이 단지 한 번만 운동해도 얻을 수 있는 즉각적 이점에 대해선 궁금해하기만 했을 뿐, 아직 명확히 잘 모르는 듯하다.(19쪽)
완전한 건강은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모두 안녕한 상태이어야 함에도, 우리는 건강 개념과 내용을 특정 영역에만 국한해 관심을 두는 건 아닌지 살펴봐야 한다.(42쪽)
같은 형태의 운동이나 운동 강도라고 해도 그 운동을 하는 대상자의 나이, 건강 상태, 체력 수준, 라이프스타일, 영양상태, 운동 목적 등에 따라 ‘약이 되는 운동 또는 독이 되는 운동’이 될 수 있기에 본인에게 맞는 운동의 질과 양을 선택하여 실시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66쪽)
비만의 예방과 관리에서 운동이 중요한 이유는 높은 칼로리 섭취량을 해소함으로써 적절한 신체구성을 유지할 수 있고, 비만으로 인한 혈중 포도당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개선하고 혈압 관리를 통해 심혈관 질환 위험을 줄이기 때문이다.(9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