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XGI PLC를 이용한 자동제어의 기초 및 응용


  • ISBN-13
    979-11-6675-530-9 (93560)
  • 출판사 / 임프린트
    복두출판사 / 복두출판사
  • 정가
    32,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4-08-05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김세찬
  • 번역
    -
  • 메인주제어
    전자공학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전자공학 #XGI #PLC #자동제어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대학 교재
  • 도서상세정보
    188 * 257 mm, 460 Page

책소개

PLC는 자동화가 요구되고 있는 거의 모든 산업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제어장치로서 그 응용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담당하고 있던 소규모 제어 시스템 분야도 PLC 제어로 대치되고 있으며, 기본적인 디지털 입출력 장치뿐만 아니라, 아날로그 입력모듈, 아날로그 출력 모듈, 직렬통신 모듈, 이더넷 통신 모듈, 전동기 제어 모듈, 로봇제어 모듈 등 거의 모든 장치 및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하고 있다. PLC 제어 분야는 취업에 대한 전망도 매우 밝은 편이다. 과거에 PLC가 주로 사용되었던 컨베이어 라인 제어뿐만 아니라, 반도체 제조 공정, 빌딩 자동화, 신재생 에너지 제어 분야, 산업용 로봇 제어 분야 등 산업 전자에 있어서 필수적인 제어기기로 자리 잡고 있기 때문에 PLC 프로그래머 및 시퀀스 회로 기술자의 취업 분야는 매우 넓고 다양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전기, 전자 및 제어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이나 프로그램에 대한 지식이 없는 사람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초 이론부터 응용 부분까지 실험을 통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책을 통하여 공부한다면 누구나 쉽게 시퀀스 회로의 기본 동작과 PLC의 동작 원리를 이해하고 간단한 응용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1장에서는 PLC 내부에서 사용되는 수 체계를 이해하기 위한 수 체계와 코드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학습한다. 제2장에서는 PLC 래더 프로그램 작성의 기초적인 지식이 되는 이진논리, 논리 축약을 위한 카르노 맵 및 불 대수에 관하여 학습한다. 제3장에서는 자동제어의 기본 개념을 학습하고 시퀀스 제어의 개념을 익힌다. 제4장에서는 다양한 실험을 통하여 시퀀스 회로의 기본 동작을 이해하고 응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5장에서는 PLC의 구성 및 동작원리를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제6장, 제7장, 제8장에서는 PLC의 기초적인 지식과 이 책에서 실습을 위하여 사용하고 있는 PLC인 XGI의 특성에 대한 이해, 그리고 프로그램 편집 도구인 XG-5000의 사용법과 다양한 명령어의 사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제9장에서는 기초적인 명령어 이해와 XGI PLC 프로그래밍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며 제10장에서는 PLC의 동작을 이해하고 응용할 수 있는 다양한 실습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습은 모두 31개의 PLC 제어 응용문제로 구성되어 있다. PLC를 공부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실제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실험을 통하여 그 동작을 확인하여 보는 것이다.

 

 

이 책을 통하여 성실히 공부한다면 시퀀스 제어 또는 PLC 제어에 관련된 기초적인 지식이 없는 사람도 쉽게 시퀀스 회로의 구성과 PLC 제어 프로그램 작성 역량을 배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CHAPTER 01 수 체계와 코드

1.1 십진수 체계

1.2 이진수 체계

1.3 음수 체계 

1.4 8진수 체계 

1.5 16진수 체계 

1.6 BCD 체계

1.7 그레이 코드 

1.8 아스키 코드 

1.9 엔코딩과 디코딩 

1.10 패리티 비트 

1.11 이진 연산 

학습평가 문제 

 

 

 

 

CHAPTER 02 디지털 논리 기초

2.1 이진수 개념 

2.2 논리연산 

2.3 불 대수 

2.4 불 표현으로부터 회로 구성 

2.5 회로로부터 불 대수식 유도 

2.6 카르노 맵을 이용한 불대수의 간략화 

2.7 결선 논리와 프로그램 논리 

2.8 비트연산 

학습평가 문제 

 

 

 

 

CHAPTER 03 자동제어와 시퀀스제어

3.1 자동제어의 개념 

3.2 자동 제어계의 종류 

3.3 피드백 제어와 시퀀스 제어 

3.4 시퀀스 제어 시스템 

3.5 시퀀스 제어회로의 구성 부품 

3.6 시퀀스 작도법 

학습평가 문제 

 

 

 

 

CHAPTER 04 시퀀스 기초실습

4.1 기초논리 회로 실습 

4.2 자기유지 회로 실습 

4.3 인터록 회로 실습 

4.4 타이머 회로 실습 

4.5 선순위 우선 회로 실습 

4.6 신입력 신호 우선동작 회로 실습 

4.7 플리커 회로 실습 

4.8 횡단보도 신호등 회로 실습 

4.9 단상 유도전동기 운전 회로 실습 

4.10 3상 유도전동기 운전회로 실습 

4.11 3상 유도전동기 2개소 기동 운전회로 실습 

4.12 3상 유도전동기 촌동, 연속 운전회로 실습 

4.13 3상 유도전동기 정/역 운전회로 실습 

4.14 3상 유도전동기 Y-Δ 운전회로 실습 

4.15 컨베이어 정/역 반복 운전회로 실습 

 

 

 

 

CHAPTER 05 PLC의 개요

5.1 PLC의 정의 

5.2 PLC의 역사와 발전 

5.3 PLC의 종류 및 특징 

5.4 PLC의 구성 

5.5 PLC의 동작원리 

5.6 동작 변경 

5.7 PLC 프로그램 

5.8 래더 다이어그램 

학습평가 문제 

 

 

CHAPTER 06 XGI PLC의 구성 및 특성

6.1 XGI PLC 규격 

6.2 XGI 시리즈 시스템 구성 

6.3 XGI 시리즈 기본 시스템 구성 방법 

6.4 XGI 시리즈 기본 시스템 구성시 모듈선정 방법 

6.5 네트워크 시스템 

6.6 리모트 I/O 시스템 

6.7 CPU 모듈 

6.8 전원모듈 

6.9 입출력 모듈 

6.10 그 외 특수 모듈 

 

 

 

 

CHAPTER 07 메모리 구성과 변수

7.1 프로그램 메모리 영역 

7.2 데이터 메모리 영역 

 

 

 

 

CHAPTER 08 프로그램의 구성과 운전방식

8.1 프로그램의 구성 

8.2 프로그램 실행방식 

8.3 운전모드 

8.4 프로그램 편집도구(XG5000) 특징 및 사용법 

 

 

 

 

CHAPTER 09 PLC 프로그래밍 기초

9.1 시퀀스 프로그램 

9.2 입력접점 및 출력 코일 프로그램 

9.3 펑션 프로그램 

 

 

 

 

CHAPTER 10 PLC 프로그래밍 실습 및 응용

10.1 기초 논리회로 실습 

10.2 자기유지회로 실습 

10.3 인터록회로 실습 

10.4 후행우선회로 실습 

10.5 순차우선회로 실습 

10.6 동작지연회로 실습 

10.7 복귀지연회로 실습 

10.8 퀴즈 프로그램(선입력우선 회로 응용) 실습 

10.9 화장실 자동밸브 제어 실습 

10.10 플리커 회로 실습 

10.11 공구수명 경보회로 실습 

10.12 직류전동기 구동회로 실습 

10.13 직류전동기 정/역회전 구동회로 실습 

10.14 3상 유도전동기 Y-Δ 운전회로 실습 

10.15 리미트 센서와 직선운동회로 실습 

10.16 직류전동기 위치제어회로 실습 

10.17 자동문 제어회로 실습 

10.18 스텝모터 구동회로 실습 

10.19 신호등 제어회로 실습 

10.20 타이머 응용 램프제어1 실습 

10.21 타이머 응용 램프제어2 실습 

10.22 타이머 응용 램프제어3 실습 

10.23 타이머 응용 램프제어4 실습 

10.24 타이머 응용 램프제어5 실습 

10.25 타이머, 카운터, 비교문 응용 램프제어 실습 

10.26 BCD 표시장치 응용 실습 

10.27 7 세그먼트 표시장치 응용 실습 

10.28 스핀들 구동장치 응용 실습 

10.29 컨베이어 벨트 응용 실습 

10.30 인버터 응용 실습 

10.31 공압 실린더 응용 실습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김세찬
부천대학교 교수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