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입체표지(3D 표지)
2D 뒤표지

실존의 향기

진실한 존재의 철학적 탐구


  • ISBN-13
    978-89-6147-456-6 (04100)
  • 출판사 / 임프린트
    (주) 이학사 / (주) 이학사
  • 정가
    16,8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4-07-22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한충수
  • 번역
    -
  • 메인주제어
    교양철학
  • 추가주제어
    현상학과 실존주의 , 철학: 형이상학, 존재론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철학
  • 키워드
    #교양철학 #현상학과 실존주의 #철학: 형이상학, 존재론 #어린이, 청소년 교양: 철학 #실존주의 #니체 #하이데거 #사르트르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40 * 210 mm, 198 Page

책소개

“자신의 진실한 존재에 집중한 사람에게서는

실존의 향기가 피어오를 것입니다” 

 

니체부터 사르트르까지,

실존주의 철학자들로부터

삶의 방향을 안내받는 법

 

우리가 삶의 주인으로 살아가고, 삶을 사랑하는 법은 무엇일까?

이 책은 니체, 하이데거, 키르케고르, 러셀, 사르트르와 같은 실존주의 철학자들의 짧은 글귀를 하나씩 소개하고, 거기에 담긴 철학자들의 사유를 지금 우리의 삶과 연결해 친근하고 이해하기 쉽게 풀이한다.

 

니체에 의하면 ‘잘 읽는 법’이란 “느리고 깊게, 전후를 고려하면서”, “풍부한 상상력을 가지고”, “부드러운 손가락과 눈으로 읽는” 것이다.

실존철학자들의 생생한 문장을 한 토막씩 깊이 음미하고, 그림과 노래, 영화 등 다양한 예시를 통해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 상상력을 북돋는 이 책은 독자들에게 철학을 스스로 '잘 읽는 힘'을 길러줄 것이다.

목차

실존의 분위기와 철학 ― 시즌Ⅰ

 

에피소드 00 들어가는 글

 

에피소드 01 실존의 의미

에피소드 02 실존의 기분

에피소드 03 실존의 잡담

에피소드 04 실존의 호기심

에피소드 05 실존의 결단

에피소드 06 실존의 회복

에피소드 07 실존의 휴식

에피소드 08 실존의 인물

에피소드 09 실존의 사랑(1): 니체의 운명애

에피소드 10 실존의 사랑(2): 키르케고르의 삶과 사랑

에피소드 11 실존의 사랑(3): 야스퍼스의 초월적 사랑

에피소드 12 실존의 책임

 

I-II 나(아)가는 글

미주

본문인용

p. 17 니체는 자신의 글이 곱씹어 읽히기를 바랐습니다. 그의 바람 이후 긴 세월이 흘렀습니다. 그의 바람은 이루어졌나요? 오히려 세상은 니체의 기대와는 반대 방향으로 변화한 것 같지 않나요? 되새김질의 읽기는 니체의 시대에도 “까마득하게 잊힌” 것이었는데, 21세기에는 훨씬 더 깊은 망각 속에 빠져버린 것처럼 보입니다. 오늘날 우리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허우적거리며 더 많이 더 빨리 정보를 얻으려 몹시 애쓰고 있습니다.

 

p. 60 “카더라”는 “하더라”의 경상도 사투리입니다. “하더라”는 “누구가 무엇이라고 말했다고 하더라”에서 나온 표현으로 보입니다. 흥미롭게도 유행어는 이 표현에서 “누구가 무엇이라고 말했다고”라는 부분이 빠진 나머지입니다. …  그러므로 카더라 통신은 잡담과 마찬가지로 그 말해지는 대상의 존재와 관계를 맺고 있지 않습니다. 아예 한 번도 관계를 맺은 적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도 카더라 통신의 소문은 미디어 등을 통해 순식간에 사회 전체로 퍼지고, 수많은 사람의 입에 오르내립니다. 그럼으로써 그 소문은 틀림없는 사실로 믿어지고 어마어마한 권위를 얻게 되지요.

 

pp. 110-111 여러분, 러셀이 제안한 워라밸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 그처럼 “게으른” 사회에서 흔쾌히 살고 싶나요? 아니면 모두가 일해야 할 시간에 노닐기 때문에 사회에 발전이 없고 인류 문명이 퇴보할까 봐 걱정되나요? 이렇게 걱정하는 사람들에게 러셀은 1퍼센트의 소수에 관해 말합니다. 인류의 99퍼센트는 사회의 발전과 무관한 방향으로 그들의 여가를 쓸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적어도 1퍼센트의 사람들은 그들의 여가를 무언가 사회적으로 유용한 것을 추구하는 데에 바칠 것이라고 러셀은 믿습니다.

 

p. 148 한 문장은 프랑스 작가 알베르 카뮈의 것입니다. “삶에 대한 절망이 없다면 삶에 대한 사랑도 없다.” 이 말의 의미는 마치 사람이 절망하고 나면 삶을 사랑하게 된다는 것 같습니다. 이런 경우를 생각해볼까요? 어느 날 자신의 삶에서 모든 것이 잘못되었음을 깨달은 사람이 있습니다. 상황이 개선될 여지가 조금도 보이지 않자 그는 절망합니다. 하지만 절망 가운데서도 계속 살아가지요. 그러면서 그 사람은 느낍니다. “아, 내가 삶을 사랑하고 있구나.” 

 

p. 157 사람들은 반복되는 일에 쉽게 흥미를 잃어버립니다. 사랑에 대해서도 그렇습니다.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부부나 연인은 서로에 대해 권태를 느끼기 시작하고 자주 싸우게 됩니다. 그렇다면 사랑이 끊임없이 되풀이되는 것이 좋은 일만은 아니라고 볼 수도 있지 않을까요? 도리어 그 무한 반복으로 인해 사랑이 메마를 수도 있지 않을까요? 이 점을 야스퍼스도 모르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그는 사랑이 “새롭게” 샘솟는다고도 말한 것입니다.

서평

-

저자소개

no image book
저자 : 한충수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를 졸업한 뒤 동 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석사학위를, 프라이부르크대학교에서 하이데거 철학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독일과 한국의 여러 대학교에 출강했고, 현재는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에서 기쁘게 일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실존철학, 예술철학, 비교철학이다. 번역서로는 한병철의 『선불교의 철학』(2017), 하이데거의 『철학의 근본 물음』(2018), 야스퍼스의 『철학적 생각을 배우는 작은 수업』(2020), 하이데거의 『예술 작품의 샘』(2022)이 있다. 국제 학술지 논문으로는 “Heidegger and the Bridge”(2013), “Heideggers Rezeption des Taoismus”(2017), “Heideggers Erläuterung der hölderlinschen Dichtung”(2019), “Humanismus bei Heidegger und Sloterdijk”(2022), “An Elucidation of the Citation from Hölderlin's Poem 'The Journey'”(2023)가 있다. The Routledge Handbook of Phenomenology and Phenomenological Research(2021)에서 한국의 하이데거 철학 연구를 소개했고, 현재 한국 하이데거 학회 및 Heidegger Circle in Asia에서 활동하며 국내외 하이데거 철학 연구에 기여하고 있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