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명히 사람과 그의 직업은 밀접히 연관되어 있어 전문가로서의 당신은 역할 ‘수행’을 잘 ‘해야 하기에’ 긴장감이 있다. 수퍼비전은 스스로 경험하는 방식(당신의 개인적 정체성)과 고객과 함께 경험하는 방식(당신의 전문적 정체성), 이 두 극 사이의 긴장의 장field 안에서 이루어진다. 더욱이 이 두 극은 훈련과 발달과정에서 끊임없이 변화한다. (26쪽)
수퍼비전에서 관계 문제는 가장 흔하면서도 다루기 힘든 갈등일 것이다. 학습 상황과 사례별 딜레마들이 너무 민감하고, 대화가 팽팽하게 맞서고 있을 때, 당장 해결될 수 없기에 짜증 나기 쉽다. 이런 짜증은 불확실성이나 오해에서 자주 비롯된다. (46쪽)
수퍼비전은 특정 상황에서 이것이 당신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 당신 자신의 계획과 개인화된 이데올로기뿐만 아니라 방법론을 찾거나 재발견하는 방법을 가르쳐줄 수 있다. 처음에 이것은 당신이 수퍼비전에 가져온, 당신의 프랙티스에서 얻은 경험의 도움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동시에 이 과정은 수퍼비전을 하는 동안 경험으로부터 배울 수 있는 두 번째 소스이자 기회로 당신의 행동을 끌어낸다. (57쪽)
초기 단계는 전체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수퍼비전을 시작하는 것이다. 처음 1~3회 세션을 진행한 후 수퍼비전 계약의 형태로 (임시의provisional) 작업 계획서를 작성하고 마무리한다(계약서 서식, 부록 A 참조). 이 계획에서 각 수퍼바이지는 자신과 자신의 프랙티스를 위해 고려해야 할 여러 학습 이슈learning issues에 대한 도전을 확인한다. 이런 사항은 개인 학습 목표로 수퍼비전 계약에 삽입된다. (78쪽)
수퍼비전의 중간 단계는 실제 작업 또는 실행이 이루어지고 수퍼바이지의 학습 과정이 확장되고 심화되는 곳이다. 이 단계는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시작과 중간 평가를 준비하는 단계, 중간 평가 자체, 그리고, 수퍼비전이 종료될 때까지의 기간이다. 초기 단계의 계획을 실행하고, 서로 협력하여 작업하고 학습하는 실제에 대한 평가단계이다. (93쪽)
수퍼비전의 초기 단계와 마찬가지로, 마지막 단계도 2~3회기로 구성된다. 이제는 잠시 점검하면서 하나하나 꼼꼼히 마무리 지어야 하는 ‘추수 시기’이다. 즉 수퍼비전의 결과를 검토하고 해석하고 흡수할 시기이다. 최종 평가가 필요하다면 이 단계에서 수행되며, 어느 정도 최종 평가를 미리 요구했을지도 모르는 스폰서를 위해 이루어진다(특히 훈련 수퍼비전의 경우에 그렇다). (113쪽)
글쓰기는 모든 수퍼바이지에게 쉽지 않다. 많은 수퍼바이지가 글쓰기에 상당한 저항감이 있는데 이는 어렵지만 극복할 수 있다. 수퍼비전을 위한 글쓰기는 비록 기복이 있다 하더라도 충분히 배울 수 있는 기술이다. 수퍼비전에서 글쓰기는 타인이나 출판을 위한 것이 아니라 자신과 특정한 (수퍼비전) 상황에 대한 것이다. 당신은 정말 실패하지 않을 수 있다! (131쪽)
전문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생각과 타인의 생각에 대한 올바른 사고방식, 지식, 이해력, 사고 능력, 비판적 태도 이외에 더 많은 것이 필요하다(9.1). 이 모든 것은 숙련도proficiency나 역량competence을 위한 전반적인 기초를 형성하지만 그것들이 전부는 아니다. 오직 실제 상황에서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을 사용하고 작업을 수행해야만 전문성을 실행하는 방법을 배운다. (150쪽)
관찰은 타인과의 소통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Q. 무엇을 지각하는가? Q. 무엇을 보고 무엇을 듣고 무엇을 경험하는가? Q. 무엇을 믿고 무엇을 직감하는가? 결국 관찰은 우리가 ‘사실’이라고 믿거나 가정하는 모든 것의 출처이다. (186쪽)
돕는 직업에서 프랙티셔너의 자기-앎self-knowledge은 그들에게 의존하고 그들의 이해를 바라는 사람들과 접촉하고 소통하며 이해를 발전시키는 중요한 기반이 된다. 자신의 인생 여정, 유산, 자신이 직면한 장애물 및 전체 건물의 기초가 되는 기둥(부모의 사회적 환경, 성별, 학력, 인종적 기원, 종교, 믿음, 견해, 건강 또는 신체적 능력)을 알고 있는 사람은 타인의 사회화에 자신을 더 개방하고 타인의 타자성을 더 잘 인식할 수 있다(9.1). (209쪽)
돕는 직업의 경우, 자기-앎self-knowledge의 중요성은 타인에 대한 이해 및 숙련된 서비스 제공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이와 관련된 필수 조건은 자신의 주변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에 대한 ‘알아차림’을 갖는 것이고 이를 습득하는 것이다. 이를 성취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관찰력과 분석력을 가져야 하고, 개인의 상황이나 환경을 탐구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23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