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입체표지(3D 표지)
2D 뒤표지

공무원 보고서 글쓰기

행정가로 성장하는 탄탄한 보고서와 기획서 마스터하기


  • ISBN-13
    979-11-5558-119-3 (13320)
  • 출판사 / 임프린트
    연암사 / 연암사
  • 정가
    23,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4-06-17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신영민
  • 번역
    -
  • 메인주제어
    자기계발, 개인발전 및 현실적 조언
  • 추가주제어
    비즈니스, 경영
  • 키워드
    #자기계발, 개인발전 및 현실적 조언 #비즈니스, 경영 #기획서 #보고서 #기획보고서 #보고서작성 #기안 #기획안 #보고서쓰기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52 * 225 mm, 410 Page

책소개

공무원 ‘제안왕’, 경기도교육청 직장협의회 회장, 경기교육행정포럼 정책연구부장 겸 선임연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저자가 능숙하고 설득력 있는 보고서 작성자가 되고 싶은 이들을 위해 인사이트와 전략을 담은 『공무원 보고서 글쓰기』를 출간했다.

공무원이 겪고 있는 다양한 고민 중에서 보고서 작성은 개인 역량을 드러내는 기준점이다. 그렇다면 보고서를 잘 쓴다는 것을 누가 어떻게 측정하고 이를 주장할 수 있을까? 이 책에 정답이 있다. 한 장으로 요약하는 보고서 마스터하기, 전략적으로 보고서 작성하기, 생각 정리법, 공무원 보고서 작성 12가지 핵심 원칙, 틀리기 쉬운 맞춤법 개선 사례, 어법에 맞지 않는 문장 사용 개선 사례, 순화용어, 보고서 작성 체크리스트, 참고 웹사이트까지 꼼꼼하게 담았다. 

목차

추천사

머리말: 공무원인 당신에게 행정가의 보고서 작성 기술이 필요한 이유 _ 4

 

 

1장. 한 장으로 요약하는 보고서 마스터하기

 

01. 보고서의 목적을 파악하는 나침반 _ 21

02. ‘사전 준비’로 확보하는 보고의 순발력 _ 29

03. 핵심 메시지를 빠르게 파악하는 방법 _ 36

04. 사실과 판단을 쉽게 구별하는 팁 _ 48

05. 결과물 목록으로 빠른 체크리스트 만들기 _ 56

06. 현재와 미래의 시점에서 보고 생각하는 전략 _ 63

07. 한 장으로 요약하는 보고서 작성의 신세계 _ 71

 

 

2장. 전략적으로 보고서 작성하기

 

01. 상황 분석과 스마트한 정리 방법 _ 83

02. 효과적으로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 _ 92

03. 보고서 작성의 80%를 차지하는 정보검색 실전 가이드 _ 99

04. 보고서의 세부 구성, 어떻게 해야 할까? _ 106

05. 마감시간 설정, 시간 관리의 중요성 _ 115

06. 쉬운 글로 술술 읽히는 보고서 만들기 _ 123

07. 뜨거운 마음, 차가운 보고서의 조화 _ 134

08. 전략적인 보고서 작성, 어떻게 시작할까? _ 141

 

 

3장. 한 장으로 생각 정리하는 법

 

01. 제로 베이스에서 시작하는 생각 습관 _ 153

02. 생각을 정리하는 가장 쉬운 방법, 그냥 써 봐! _ 160

03. 가설 세우기, 생각의 범위를 넓히는 방법 _ 167

04. 좌뇌와 우뇌를 활용한 생각 정리법 _ 175

05. 브레인스토밍으로 생각을 효과적으로 연결하기 _ 180

06. 카테고리화로 생각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기 _ 187

07. 키워드와 화살표를 활용한 그림으로 생각을 표현하기 _ 195

08. 마인드맵, 생각의 지도를 활용한 생각 정리법 _ 202

 

 

4장. 공무원 보고서 작성을 위한 12가지 핵심 원칙

 

01. 보고의 목적을 분명히 하라 _ 213

02. 목차 구성과 논점 설정의 중요성 _ 221

03. 다이어그램을 활용한 정보 정리법 _ 230

04. 목적에 맞는 자료 형식 선택 가이드 _ 237

05. 결론을 먼저 서술하는 이유와 방법 _ 244

06. 논리의 일관성, 왜 중요한가? _ 252

07. 군더더기 없는 말로 알기 쉽게 작성하는 팁 _ 261

08. 강조할 포인트를 굵기와 색상으로 표현하기 _ 268

09. 생각을 명확하게 표현하는 방법 _ 277

10. 분석을 통해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법 _ 285

11. 단순함이 미덕, 왜 그런가? _ 292

12. 1페이지 보고서로 승부를 내는 방법 _ 298

 

 

5장. 보고서, 공무원 생활을 바꾸는 마법의 한 장

 

01. 보고서로 상사를 춤추게 하는 비법 _ 309

02. 1톤의 생각에서 1그램의 행동으로, 어떻게 이동할까? _ 316

03. 혁신은 보고서에서 시작, 그 이유는? _ 323

04. 보고서, 당신의 능력을 보여주는 그릇 _ 330

05. 보고서 작성, 왕도 없는 이유와 대안 _ 337

06. 행정가의 보고서로 직장생활의 승자가 되는 방법 _ 345

07. 공무원 생활을 바꿔줄 보고서, 그 마법의 비밀은? _ 351

 

 

부록1. 틀리기 쉬운 맞춤법 개선 사례 _ 359

부록2. 공문서 어법에 맞지 않는 문장 사용 개선 사례 _ 379

부록3. 전문용어 – 순화용어 비교 _ 387

부록4. 공무원 보고서 작성 체크리스트 _ 391

부록5. 공무원 보고서 작성 관련 참고 웹사이트 _ 397

 

참고문헌 _ 401

이 책을 만들기까지 감사한 분들

 

본문인용

보고서는 단순히 정보를 전달하는 수단이 아니라, 그 작성자의 생각과 가치관, 그리고 조직의 철학을 반영하는 중요한 도구다. 

이 책의 첫 문장

 

이 책은 주제별로 주장과 질문을 던지고 만족스러운 해답을 찾기 위해 노력한 저자가 고민한 과정을 직접 보여주며 주장에 대한 논거도 제시한다. 그래서 독자가 직접 그 해답을 찾을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고 자신만의 해결 방법을 찾도록 돕는다.

11쪽

 

공무원을 포함한 모든 직장인들이 보고서 작성에 가장 많은 시간을 소요하는 부분은 어디일까? 나는 단연코 목적 설정이라고 생각한다. 일반적인 정책‧기획 보고서 작성 과정은 ‘① 생각 정리하기 → ② 목차 만들기 → ③ 문서 작성하기 → ④ 보고하기’로 나눌 수 있다. 

23쪽

 

글은 거짓말을 못한다. 보고서에 자신의 생각과 반대되는 논리를 담을 경우 이상하리만치 글이 잘 써지지 않는다. 그것이 글이 가진 힘이다. 나에게도 유사한 경험이 있다. 용인에 있는 미준공된 도시계획시설(학교)에 대한 것이었다.

51쪽

 

적절한 용어는 모든 구구절절한 내용을 내재한 단어를 의미한다. 이렇게 압축된 단어는 읽는 이로 하여금 의미를 곱씹게 한다. 결재권자는 이미 오랜 경험을 쌓아왔기 때문에 몇 번의 곱씹는 과정을 통해 기안자의 생각에 더하여 자신의 생각을 덧입힌다.

77쪽

 

보고서 작성에서 자료를 수집하는 과정은 매우 중요하다. 보고서의 주제나 결론을 정해 놓고 자료를 수집하는 것이 정석이나, 보고서를 쓰다 보면 아무리 조사한 자료를 논리적으로 배열하여도 결론대로 써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95쪽

 

조직 내에서 업무를 처리하는 사람을 크게 두 분류로 나눌 수 있다. 실패하는 사람과 성공하는 사람. 신기하게도 똑똑하고 아는 것도 많은 데 막상 맡은 일을 잘 풀지 못하고 문제만 일으키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일하는 방식은 다소 세련되지 못하지만 어떤 일이든 술술 잘 해결하는 사람이 있다. 왜 그런 것일까?

118쪽

 

보고서 작성의 내적 역량은 기획력을 말한다. 기획은 조직에서 널리 사용하는 단어이나 정확한 의미와 개념에 대해서는 답변을 어려워하는 사람이 있다. 특히 기획과 계획을 혼동하곤 한다.

136쪽

 

사람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나는 보통 이런 식으로 생각을 정리한다. A4용지에 연필로 머릿속에서 떠오르는 생각들을 적는다. 생각들을 이어 나가기 위해 ‘왜(Why)’, ‘어떻게(How)’, ‘무엇을(What)’이라는 단어를 계속하여 나 자신에게 묻는다.

165쪽

 

실무자는 자신의 전문성을 담아 디테일하고 설득력 있게 보고서를 만들되, 협상 전략의 장단점을 명확히 정의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중간 검토자는 실무자의 보고서를 검토하여 결재권자의 입장에서 미진하거나 보완할 것은 없는지를 검토하여 지시하여야 한다. 그리고 협상을 통해 내어 줄 것과 반드시 획득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를 협상권자(결재권자)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218쪽

 

앞서 말했던 심리학에 대해 다시 돌아가 보자. 직장에서 보고서는 개인의 얼굴이라 할 수 있다. 결재가 완료된 보고서는 해당 부서의 얼굴이며, 대외적으로는 그 기관의 얼굴이 된다. 이미지 메이킹의 중요성과 첫인상의 심리학을 보고서와 비교해서 살펴보자.

231쪽

 

잘 쓴 보고서와 못 쓴 보고서의 차이는 여러 가지를 지적할 수 있다. 다만, 보고서는 결재권자의 마음을 훔쳐야 한다는 본질적 측면에서, 보이지 않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아무리 복잡하고 어렵고 까다로운 보고서라 하더라도 재미가 있으면 몇 번이고 읽을 맛이 난다.

242쪽

 

다음 문서는 교육공무직(무기계약 직종) 정원의 지방공무원 대체 가능 여부를 검토한 보고서다. ‘문서 A’와 ‘문서 B’는 동일한 내용으로 글자 한 자도 다르지 않다. 다만, ‘문서 A’는 문장의 강약을 굵기로, 결재권자가 중점을 두고 읽어야 할 항목을 형광색으로 표시한 것이다. 문서의 내용을 보지 않고 첫인상만 두고 봤을 때 어떤 문서가 호감형일까?

272쪽

 

어떠한가? 우리도 이제 자기 능력을 업그레이드할 때가 되지 않았을까? 안타깝지만, 직장인이라면 직장에서 당신의 가치는 남이 매겨줄 수밖에 없다. 그리고 가치판단의 기준은 결국 보고서 작성 능력의 유무에 있다. 

314쪽

 

내가 모든 에너지를 쏟아 만든 보고서는 스스로 뛰어다니며 다른 사람들을 설득하기 시작했다. 팀장과 과장을 넘어 국장을 거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탄력을 받아 힘이 실리기 시작했다. 당시 대변인(언론 부서를 말함)은 이런 정책이 필요했었다며 언론사를 대상으로 공식 브리핑까지 요청해 왔다.

355쪽

서평

현직 ‘교육행정인’이자 ‘제안왕’이 쓴

공직자 보고서 작성 기술의 모든 것!

 

 

부푼 기대를 안고 출근한 신입이나 경력이 많은 팀장도 피해갈 수 없는 대표적인 고민거리가 있다면 그것은 보고서와 기획서 작성이 아닐까? 일선에서 일하는 직장인들은 대부분 이에 공감할 것이다.

‘도대체 보고서와 기획서 작성은 어떻게 하는 거야?’

경기도 교육행정 분야에서 공무원으로 일하는 저자는 ‘학교용지 컨설팅 포털 개발’ ‘지방공무원 총액인건비제 개선 방안 연구’ ‘교과용도서 인정 체계 개선 방안 연구’ 등 구체적인 프로젝트를 통해 실질적인 방안들을 제시해 제안왕으로 불린다. 
저자는 실제로 기획과 보고서를 작성해야 하는 동료들의 고민을 들으면서 ‘내가 지나온 과정과 나아가고 있는 방향에 대해 지식과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의미 있는 삶’을 생각하고 이 책을 저술했다고 밝히고 있다. 

본문에 실린 실제 공문서들은 저자가 개선 전과 후 등으로 비교‧분석하여 누가 봐도 스스로 공부하고 탐구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비슷한 주제의 보고서를 작성하고 기획해야 하는 담당자라면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기획되었고, 다양한 주제와 사례들은 기업이나 직장에서 일하는 담당자도 곁에 두고 참고하기에 손색이 없다.

 

 

보고서 작성과 행정 기획·집행·평가 과정에서 마주하는

고민을 해결해 줄 비밀무기

 

보고서뿐만 아니라 기획·집행·평가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 직장인들도 많다. 만약 다음과 같은 주제의 보고서를 작성해야 한다면 어떨까? ‘박람회 개최 계획’ ‘서면구두 질의에 대한 답변서’ ‘총액 인건비 개선 방안’ ‘교육환경평가를 거치지 않은 개발사업 승인의 효력’ ‘지방공무원 정원 운용 방향’…….

머리가 무겁고 마음이 답답해질 것이다. ‘가이드라인이 있으면 정말 좋겠다.’ ‘스스로 공부할 수 있는 안내서가 필요하다.’ 

당면한 문제와 고민을 해결해 줄 비밀무기를 오늘도 현직에서 경험하고 있는 저자가 알곡들만 추려서 펴냈다. 기획 과정부터 보고서 작성까지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공무원 보고서 글쓰기』가 바로 그것이다.

모든 일이 그렇듯 내가 하는 일에 대해 늘 반문해야 할 것들이 있다.

“나는 왜 이 일을 해야 하는가?”

“내가 하는 일이 조직의 목적 또는 목표와 어떤 관계가 있는가?”

자신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개인과 조직을 별개가 아닌 하나의 목표를 가진 유기체적 관계로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요리, 독서, 게임, 영화, 음악 등 무엇이든 상관없다. 좋아하거나 잘하는 게 있다면 조직에 가져가 조직의 업무와 연계하면 일이 재미있어질 뿐만 아니라 창의적 아이디어로 제도 개선까지도 가능하다.

 

 

신입부터 고참까지 

눈에 확 띄는 보고서 작성 꿀팁

 

시중에는 보고서 관련 책들이 다양하게 나와 있고, 공문서 관련 책도 있지만 기획부터 보고서 작성까지 담당자가 실제로 참고할 만한 과정을 세세히 담은 것들은 찾기 힘들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실무자가 해결해야 할 주제와 그에 따른 과정, 실제 공문서 작성 사례와 변화된 공문서들을 비교하고 분석하면서 어떻게 나에게 맞도록 작성해야 하는지 자세하게 설명한다. 사례 중심으로 구성된 이 책을 보면서 단계별 설명과 눈에 확 띄는 보고서 작성 꿀팁까지 덤으로 얻어 행정가로 발돋움하는 독자들이 되도록 기술한 점이 이 책의 특징이다.

 

1장은 한 장으로 요약하는 보고서 작성과 핵심 메시지를 빠르게 파악하고 사실과 판단을 쉽게 구별하는 팁을 알려준다. 2장은 보고서 작성의 80%를 차지하는 정보검색 실전 가이드와 세부 구성, 마감시간 설정, 술술 읽히는 보고서 작성은 어떻게 하는지 설명한다. 3장은 가설 세우기와 생각의 범위를 넓히는 방법, 카테고리화, 마인드맵 등을 활용한 체계적인 생각 정리법을 실었다. 4장은 공무원 보고서 작성을 위한 12가지 핵심 원칙을 실어 실무자에게 직접 도움이 되도록 이끌고 있다. 5장은 공무원 생활을 바꿔주고, 상사를 춤추게 하는 보고서의 비밀을 들려준다. 부록으로 틀리기 쉬운 맞춤법 개선 사례, 공문서 어법에 맞지 않는 문장 사용 개선 사례, 전문용어 – 순화용어 비교, 공무원 보고서 작성 체크리스트, 공무원 보고서 작성 관련 참고 웹사이트를 실었다. 

저자소개

저자 : 신영민
18년 차 공무원으로 경기도 교육행정 분야에 대한 끊임없는 관심과 노력으로 소소하지만 의미 있는 변화를 만들어 가고 있다. 경기도교육청 직장협의회의 회장이자 경기교육행정포럼의 정책연구부장 겸 선임연구위원으로서 학교용지 컨설팅 포털 개발, 지방공무원 총액인건비제 개선 방안 연구, 교과용도서 인정 체계 개선 방안 연구 등 구체적인 프로젝트를 통해 경기도 교육행정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해 왔다. 이 책은 그가 걸어온 길과 그 과정에서 얻은 깨달음을 담고 있다. 네 명의 자녀를 둔, 치열한 다둥이 아빠의 삶 속에서도 경험과 지식을 나누며 더 나은 교육행정을 만들기 위한 열정과 노력이 돋보이는 삶을 지속하고 있다.
블로그 blog.naver.com/writing_papa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