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입체표지(3D 표지)
2D 뒤표지

사랑에는 천연이 없다


  • ISBN-13
    978-89-89224-69-3 (03810)
  • 출판사 / 임프린트
    이미지북 / 이미지북
  • 정가
    10,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4-05-30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정동희
  • 번역
    -
  • 메인주제어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시 #정동희 #사랑에는 천연이 없다 #이미지북 #이미지북시선 #보윤사 #하늘을 클릭한다 #사금파리 사랑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25 * 190 mm, 104 Page

책소개

어느 날 아침 카톡으로 편지 한 통을 받았다. 그 내용은 세상을 살면서 망각해서는 안 될 세 문장이었다. 평소 내가 너무도 잘 아는 문장이었다.

첫 번째가 ‘메멘토 모리Memento mori’였다. “자기 죽음을 기억하라”는 것이다. 이 말은 ‘전쟁에서 승리했다고 너무 우쭐대지 말라. 오늘은 개선장군이지만, 너도 언젠가는 죽는다. 그러니 겸손하게 행동하라.’는 의미에서 생겨났다. 그러나 나는 고대 로마의 말보다는 미국 인디언보호구역에 사는 나바호 인디언의 메멘토 모리의 말의 의미가 더 무겁게 느껴진다. “네가 세상에 태어날 때 너는 울었지만, 세상은 기뻐했으니, 네가 죽을 때 세상은 울어도 너는 기뻐할 수 있도록 그런 삶을 살아라.”

두 번째는 ‘카르페 디엠Carpe diem’이다. 이 구절은 고대 로마 공화정 말기의 시인 호라티우스의 라틴어 시 한 구절로 부터 유래한 말로, “현재에 충실하라! 현재를 가치 있게 쓰라”는 의미이다. 호라티우스의 “현재를 잡아라, 가급적 내일이 란 말은 최소한만 믿어라.”(Carpe diem, quam minimumcredula postero)에서 나온 구절이다. 이 노래는 ‘미래는 알수 없는 것’이라고 말한다.

마지막이 ‘아모르 파티Amor fati’였다. 국내 트로트로 너무나 잘 알려진 노래 제목이기도 하다. 세계적인 철학자 프리드리히 니체가 자신의 근본 사유라고 인정한 영원 회귀 사상의 마지막 결론이 아모르 파티로, “운명을 사랑하라”는 의미이다. 트로트 〈아모르 파티〉의 첫 구절은 이렇게 시작한다. “산다는 게 다 그런 거지 누구나 빈손으로 와 소설 같은 한 편의 얘기들을 세상에 뿌리며 살지”라는 구절 때문인지 한 때 역주행해서 공전의 히트를 기록하고 있다. 특히 젊은이들 사이에서 회자하고 있으니 말이다.

이 세 문장을 아침 편지로 받고 조용히 나 자신을 뒤돌아보면서 깊은 생각에 잠겼다.

비록 늦게 접신한 문학이기도 하고, 아직은 갈 길이 멀기도 하지만 맨 처음 신을 접하고 철학을 공부해 진정한 바리데기로 거듭나는 과정을 거쳤듯이 문학에 이르는, 아니 시인으로 가는 과정이 어렵고 힘들더라도 갈 데까지 가보자는 생각이다.

오늘은 누군가 쓰다 남은 시상詩想들이 창문으로 뛰어들어 방 안을 도배한다.

목차

제1부 | 눈을 뜨면 오늘이 와 있다

산이 그린 그림 

하늘을 클릭한다

사금파리 사랑

세월이 웃는다

거울

수저 끝 썰렁하다

그건 그래

골목에 내리는 눈

얘기 동백

세월이 가네 

가을 토방에 앉는다

꽃잎 자는 밤

들뜨는 봄

 

제2부 | 세상의 봄빛과 내통한다

그렇게 살란다

나는 못가네

토막 난 사랑

화순 가는 길

괜찮아

장대비 내리는 날

어느 봄날의 풍경

바람의 내통

비껴간 사랑

이렇게 좋은 날

그늘에 피는 꽃

매미

슬픈 낙화

 

제3부 | 먼 길 돌아서 왔습니다

신작로에서

옛집에 서다

그 여자 사랑에는 묵은 냄새가 난다

3월 동백

새벽 바다

둘이었으면

미운 사랑

세상이 숨이 멎는다면

사랑 모종

가난도 시간이 필요하다

한 계절 앞에서

눈물비

 

제4부 | 또 하나의 욕심이 얹힌다

욕심 없는 날

한 뼘

살어 말어, 그냥 살아

2월 들판

초록 바다

잠 못 드는 밤

봄이 오면

눈이 갠 오후

섣달그믐날 밤에

동백꽃

봄은 참 좋다

눈 오는 날에

좋은 날 좋은 꿈

 

제5부 | 모든 사람은 사랑을 찾아나선다

수저 끝에 앉은 저녁

미운 사랑이 있다

아가의 행복

슬픈 무지개 

두 번째 꽃

사랑은 재활용再活用

이슬

바람 앞에서

꽃밭의 나비처럼

나를 벗으로 삼기로 했다

안과 밖

임 발자국

 

 자전적 시론/ 67년 만에 오는 봄은 나를 들뜨게 한다

본문인용

산이 그린 그림

 

아무도 찾지 않는 산바람은 뿔이 났다

산 아랫동네 반까지 내려와

그늘 속으로 스며든다

 

눈치 없는 콩새는 콩잎 물고 나대고

보리밭의 산꿩은 하릴없이 꿩 꿩 울어댄다

 

이윽고 하루해가 저물어 가고

노을빛 산 그리메가 또 하나의 산을 낳는다

 

눈과 손발을 묶어놓고

세상의 아름다움이 그대로 정지된다

 

더듬더듬 내리는 가을비가

온 세상에 가을 판화를 찍는다

-11쪽

 

 

 

그건 그래

 

살면서 뭔가를 채워가는 일도

또 뭔가를 버리는 일도 끝이 없다

 

저 길바닥에 널브러진 하얀 목련

저절로 떨어진 게 아니듯

채우려다 그 무게에 짓눌려 떨어진 것이다

 

우리 인생도 욕심껏 채우다 보면

한 걸음 먼저 가는 이 있고

욕심을 내려놓고 마음을 비우면

두어 걸음 늦게 다 버리고 가는 것이다

 

시도 그렇다

 

누군가 잘 닦아놓은 길을 따라가면서

자신만의 언어로 목소리로

정성껏 다듬어 바느질해서

하얀 종이에 글로서 의미와 뜻을 심는 거다

-20쪽

 

 

 

바람의 내통

 

철 지난 사랑처럼,

 

들판에

피어난 들꽃들이 바람과 내통하고

 

살이 통통 올라

풀 냄새까지 짙어지는 것 훔쳐보며

 

쉼 없이 출렁거리며

세상의 봄빛과 내통을 한다

 

그런 것 이미 다 안다는 듯

반쯤 찬 호수는 늘 눈감아준다

-38쪽

 

 

 

그늘에 피는 꽃

 

오늘이 쬐끔 남아 산마루에 걸려 있다

 

시장기가 왔는지

 

늘어진 햇살이 게으름을 피운다

 

새 한 마리 날아 와

 

꽃잎에 부리만 닦고 날아간 후

 

그늘에 피는 꽃은

 

소리도 향기도 없이 지고 있다

 

내 생의 하루도 지고 있다

-41쪽

 

 

 

그 여자 사랑에는 묵은 냄새가 난다

 

늘어진 햇살이 게으름 피운 오후 한나절

 

휑한 바람 타고 내려와 준 구름 떼들

 

그늘에 피는 꽃은 소리도 향기도 없이 지고 있다

 

맨발로 지는 저 해

 

소금 한두 섬 짊어졌는지 천근만근이다

 

쓰다 남은 편지지에 벌써 노을이 하늘 절반을 물들인다

 

어디에도 없는 그대에게 주름진 손 흔들어 준다

 

사람이 늙어지면 그림자도 늙어지나 보다

 

맥없이 앉아 있어도 마음은 늘 뛰고 있다

 

약봉지만 가득하다

-50쪽

서평

정동희 시인은 전남 완도에서 태어나 평범한 한 사람으로 자랐다. 그러다가 어느 날, 자신을 잃고 난 후, ‘신이 자신에게 와 있다는 것’을 알고, 격렬하게 거부했지만, 결국에는 신명이 내리는 것으로 받들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결국 신을 받아들이고, 철학을 배워 30년 세월이 넘는 동안 신의 운명을 받들면서 즉흥적인 시인이 되어 가고 광대가 되어 가면서 현재는 「보윤사」 철학원 원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정동희 시인은 “나는 살고 있다. 그러나 나의 목숨의 길이는 모른다.”는 독일 민요를 인용하면서, 얼마나 오래 살았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떻게 살았느냐가 중요하고, 몇 살인가가 중요한 게 아니라 얼마만큼 나잇값을 하며 올바르게 살고 곱게 늙어가고 있느냐가 중요하다고 말한다.

정동희 시인은 비록 늦게 문학에 들어선 길이지만, 그리고 아직은 갈 길이 멀기도 하지만 맨 처음 신을 접하고 철학을 공부해 진정한 바리데기로 거듭나는 과정을 거쳤듯이 문학에 이르는, 아니 시인으로 가는 과정이 어렵고 힘들더라도 갈 데까지 가보자는 생각이다.

이제 곧 모란이 지고 나면 이 봄도 다할 것이지만, 이 봄이 지고 나면 내년에도, 내 후년에도 어김없이 더 찬란한 봄은 찾아올 것이라고 한다. 그래서 그의 시편 곳곳에서는 오늘 내가 누리고 있는 이 봄이, 시를 쓰는 오늘 이 시간이 나에게 가장 행복한 날이고 소중한 시간이다라고 말한다.

저자소개

no image book
저자 : 정동희
정동희

전남 완도에서 태어났다.
어느 날 나는 나를 잃은 얼마 후, '신이 내 안에 와 있다는 것'을 알았다.
신명이 나에게 내리는 것으로 받들 수밖에 없었다.
결국 신을 받아들이고, 철학을 배워 30년 세월이 넘는 동안
신의 운명을 받들면서 즉흥적인 시인이 되어 가고 광대가 되어 갔다.
현재 「보윤사」 철학원 원장이다.

출판사소개

시/시조/에세이, 경제/경영, 인문/사회, 자기계발/ 어린이 도서를 전문으로 하는 종합 출판사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