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평면표지(2D 앞표지)
2D 뒤표지

프레너미


  • ISBN-13
    978-89-8218-340-9 (03810)
  • 출판사 / 임프린트
    도서출판 강 / 도서출판 강
  • 정가
    15,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4-04-05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심아진
  • 번역
    -
  • 메인주제어
    근현대소설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근현대소설 #장편소설 #한국소설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35 * 200 mm, 308 Page

책소개

여기, 결혼 육 년 차에 이유를 모른 채 아내로부터 헤어짐을 요구받은 남자가 있다. 서른다섯의 안경사 이재열. 어느 날 갑자기 사라져버린 아내 두윤서는 돌연 이혼을 통보해온다. 빈집과 빈 침대, 아내의 부재, 그의 이야기는 이렇게 제자리에 있던 것들의 질서가 동요하고 익숙함이 배반하는 풍경에서 시작된다. 

문제는 남자가 느끼기에 이 모든 일이 갑작스럽게 이루어졌고, 따라서 “아무런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징조나 전조 증세를 되짚어보다 지난밤 식탁에서의 사소한 다툼에서 애꿎은 이유를 끌어와보기도 하고, 외도를 의심해 아내를 미행하기도 하는 등 헤어짐의 이유와 원인을 찾기 위해 고군분투해보지만, 남자는 아무래도 그 이유를 ‘모른다’. 아이러니한 것은 이 ‘모른다’는 서술어가 나머지 문장들을 견인해가는 동력으로 작용한다는 점이다.

이 소설에서 ‘모른다’는 서술어는 헤어짐의 이유 말고도 한 가지 목적어를 더 대동한다. 바로 결혼기념일에 도둑맞은 물건의 정체. 결혼기념일에 이탈리안 레스토랑에서 짧고 의례적인 저녁 식사를 마치고 집에 도착한 두 사람의 눈앞에는 도둑이 들어 난장판이 된 집 안의 낯선 풍경이 펼쳐진다. 경찰이 수사를 위해 도둑맞은 물건의 목록을 요구했지만 그들은 끝내 “무엇을 잃었는지도 알지 못”한다. 도둑맞은 그 ‘무엇’의 실체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채 라캉이 해석한 ‘도둑맞은 편지’의 의미처럼 텅 빈 기표로만 남아 있다. 도둑맞았다는 유일한 진실만이 채워지지 않는 근원적인 결핍을 대신하고 있는 셈이다. 

 

경찰은 최선을 다하겠지. 물론 그럴 것이다. 하지만 찾을 수 없을 것이다. 제아무리 뛰어난 경찰이라 해도 윤서와 내가 잃은 것을 결코 찾을 수 없으리란 확신이 들었다. 무엇보다 우리는 무엇을 잃었는지도 알지 못하니까.(125쪽)

 

그렇다. 분명한 건 친밀성의 장으로서의 가정, 그 ‘집 안’에 있어야 할 내밀한 무엇인가가 더 이상 있지 않다는 사실이다. 아내가 잃어버렸다고 믿는 결혼반지나 도둑이 훔쳐 엉뚱한 곳에 버린 여권은 되찾고 싶은 그 ‘무엇’을 상징하는 기호에 불과할 뿐, 상실한 대상 자체를 지시하지는 않는다. 이렇게 일상을 구성하던 것이 사라지고 흩어진 ‘텅 빔’의 상태, 익숙한 세계의 부재와 소멸은 둘 사이에 분명 ‘무엇’인가가 존재했다는 사실만을 또렷하게 환기한다.

그러므로 중요한 것은 도둑맞은 ‘무엇’이 아니라 ‘도둑맞았다’는 상실감이, 그리고 남자가 그 ‘무엇’의 정체를 끝내 몰랐거나 혹은 망각했다는 사실일 것이다. 아내에게는 더 이상 “얘기하는 게 의미 없을 것” 같아진 무엇, 퇴근길에 만난 슈퍼 주인과 골목 어귀에서 마주치는 앞집 할머니와 미장원 원장, 그리고 독자까지 “모두가 알고 있”지만 “나만 모르는 무언가” 혹은 “제대로 하지 못한 이야기”. 이렇게 소설은 좀처럼 이야기를 응집하지 않고 흩뿌려놓는 방식으로 독자의 호기심과 궁금증을 수집해간다.

『프레너미』는 ‘사랑에 빠지는 아주 특별한 법칙’이 착각과 오인에 불과할지라도 그게 아니면 시작조차 할 수 없는 사랑의 불가피함을 부정하지 않는다. 최상급의 순도로 빛나던 무언가가 바래고 스러진 자리에서야 알게 되는 사랑의 불가능성 또한 부인하지 않는다. 영원불변이라는 환상을 구원이라 여기면서 상대를 속이고 스스로 속으면서 불가피성과 불가능성에 기꺼이 투신하는 사건, 그게 사랑임을 모르지 않기 때문이리라.

결혼이라고 다를까. 사랑의 여신 아프로디테와 결혼의 여신인 헤라의 신화를 빌려 비유되고 있듯 사랑과 결혼은 “원수처럼 으르렁거”리다, “사랑이, 결혼이 던진 그물에 갇혀 영원히 버둥대다 죽어버리는” 운명으로 엮여 있다. 그러니 사랑이 지닌 ‘마법의 띠’란 아프로디테와 헤라 사이에 맺은 동맹의 증거이기도 한 셈이다.

적대를 품은 연대 혹은 연대로 위장한 적대 사이를 오가는 이 같은 사랑과 결혼의 불안정한 관계를 작가는 ‘프레너미(Frienemy)’로 번역하고자 한다. 친구처럼 보이지만 적일 수 있고 적인 듯하다가 친구 같기도 한, 다시 말해 사랑하면서도 미워했고, 가까우면서도 먼, 익숙하면서도 낯선, 믿으면서도 의심하는, 인정하면서도 질투하는 모든 이들. 프레너미란 서로의 반대편이 아니라 서로 안에 잠재되어 있는 관계라고 볼 수 있다. 이런 관계에서 친구인지 적인지를 구별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건 자아와 타자가 차이를 전제한 채로 공생의 메커니즘을 만들어가는 일일지 모른다. 이렇게 반대편을 향한 듯 보이는 신의 두 팔이 처음부터 서로 맞닿는 방향을 향해 둥글게 이어져 있는 세계, 이런 비대칭의 세계의 균형은 작가 심아진이 세계의 본질을 설정하고 추구하는 방식과 다르지 않을 것이다.

착각과 망각으로 자진하며 지켜낸 무수히 덧없는 밤들이 심아진 소설의 고아한 기품과 정취를 만들어냈다고 믿는다. 불안과 비탄에 뒤덮여 보이지 않던 ‘무한’을 품은 ‘바깥’의 세계가 그 앞에 펼쳐질 것을 또한 믿는다. 밤의 바깥을 품은 그 ‘밝은 밤’들이 또 다른 밤의 침묵을 견디게 할 것이며, 망각 속에서도 끝내 잊히지 않는 것을 남길 수 있는 자유로 응답할 것이다. 그리하여 환상이 부재한 일상을 껴안은 채로도 비교적 오래, 문학과 공생하는 밤을 이어가는 힘이 되어줄 것이다.

목차

1부

2부

3부

4부

 

해설  기억과 망각, 연대와 적대의 아포리아 | 임정연

작가의 말

본문인용

-

서평

이 소설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자면 ‘처음엔 우스꽝스러웠다가 중간엔 애처로워지고, 후반부로 갈수록 점점 더 무서워지는가 싶더니 다 읽고 난 후엔 서러워지는’ 이야기쯤 될 것이다. 그만큼 이 한 편의 이혼기(離婚記)에는 의심과 긴장, 유머와 아이러니, 진실과 회한뿐만 아니라 여러 귀신과 이국(異國), 신뢰할 수 없는 화자와 헛것의 표상들까지 모두 당당히 제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그 모든 것을 품고도 이야기의 밀도나 레퍼토리의 신선함이 떨어지지 않는 것은 아무래도 이 소설의 주인공인 재우의 곤혹과 처지를 끈질기고 집요하게 내면화해서 파헤친 작가의 정공법 덕분이었으리라. 덕분에 이 소설을 읽는 독자는 마치 “한 마리의 사슴에 수천수만 마리의 사슴이 깃들여 있는 것”처럼 우리 내면의 또 다른 자아와 마주하게 되는 기이한 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 근자의 나는 심아진 작가가 펴내는 다채로운 이야기들을 따라가며 감탄과 선망을 반복하다시피 했는데, 이 소설을 읽으면서 확실히 깨닫게 되었다. 이 작가는 지금 ‘전력투구’ 중이다. 그 외에 다른 설명은 불필요하다. 설명을 뛰어넘는 절실함이 거기 있기 때문이다.  이기호(소설가)

저자소개

저자 : 심아진
1999년 중편소설 「차 마시는 시간을 위하여」(『21세기문학』)로 등단. 소설집으로 『숨을 쉬다』 『그만, 뛰어내리다』 『여우』 『무관심 연습』, 장편소설로 『어쩌면, 진심입니다』 『후예들』 이 있다. 소설집 『신의 한 수』로 2022년 김용익소설문학상, 2023년 제1회 백릉 채만식문학상을 수상했다.
2020년 ‘심순’이란 이름으로 동화 「가벼운 인사」가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었고, 『비밀의 무게』로 창비 좋은어린이책 대상을 수상했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