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미리 본 독자들의 생각
서문
A. 우선 단언하고 싶은 것
B. 요약
C. 앞서 변명해 두고 싶은 것
제1장 「고장」
— ○□주의와 □○주의
— 뒤엉키는 2인 3각: 짐이 되어버린 민주주의
— 개츠비의 당혹감, 또 다른 잃어버린 20년
— 감염된 것은 민주주의: 사람 목숨도 경제도
— 중우론의 유혹을 넘어
— 21세기의 추억
— '열화'의 해부학: 선동, 증오, 분단, 폐쇄
— 실패의 본질
— 속도와 정치21: SNS에 의한 변주
— 소선거구 제도에서는 일을 하면 오히려 표가 준다
— 데마고그・나치・SNS
— 위선적 리버럴리즘과 일부러 결점을 드러내는 포퓰리즘의 롤러코스터
— 그리고 자본주의가 독주한다
제2장 「투쟁」
— 투쟁・도주・구상
— 실버 민주주의 절망과 공상 사이에서
정치인을 손보다
— 정치인에게 주는 장기 성과보수연금
— 정부 거버넌스
미디어를 손보다
— 정보성분표시・커뮤니케이션 세금
— 양에 대한 규제
— 질에 대한 규제
선거를 손보다
— 정치인의 정년‧연령 상한
— 유권자에게도 정년‧연령 상한을 둔다면
— 미래의 목소리를 듣는 선거
— 선거로 정하면 다수가 이길 게 뻔하다
— 일괄-간접-대의 민주주의의 저주
— 정치인‧정당에서 쟁점‧이슈로
UI‧UX를 손보다
— 전자투표가 아이의 건강을 구한다?
— 인터넷 투표의 희망과 절망
— 실현 (불)가능성의 벽 그리고 선거의 병을 선거로 고치려는 모순
제3장 「도주」
— 은유로서의 조세 피난처
— 민주주의 피난처를 향해?
— 독립 국가 레시피 1: 제로에서 다시 만들기
— 독립 국가 레시피 2: 이미 만들어진 국가 사들이기
— 독립 국가: 다원성과 경쟁성
— 모든 것을 자본주의로 만든다, 혹은 '○□주의' 규제 완화
— 자본가 전제주의?
— 도주와의 투쟁
제4장 「구상」
선거 없는 민주주의를 향해
민주주의란 데이터의 변환이다
— 입력 데이터의 해상도를 높이고 입사각을 바꾼다
— 데이터로서의 민의 1: 선거의 소리를 듣다
— 데이터로서의 민의2: 회의실의 목소리를 듣다
— 데이터로서의 민의3: 길거리의 소리를 듣다
— 만화경으로서의 민의
— 왜곡, 조작 그리고 민의 데이터 앙상블
알고리듬으로 민주주의를 자동화하다
— 증거 기반 가치판단, 증거 기반 정책입안
— 데이터 증거의 두 얼굴
— 출력: 일괄 대의 민주주의를 넘어, 인간도 넘어
— 어차피 선거는 다수파의 축제일뿐
— 투쟁하는 구상
— '1인 1표'의 새로운 의미
— 무(無) 오류주의에 저항하는 확률적 알고리듬
— 알고리듬, 차별도 하고 편견도 있다
— 선거 VS 민의 데이터에 주목하기
— 웹 직접 민주주의에서 멀리 떨어져
불완전한 새싹
— 글로벌 군사 의사결정 운영시스템
— 금융 정책 기계
— 세금징수국 그리고 세금 알고리듬
— 새싹의 한계: 자동 가치 판단과 알고리듬 투명성
— 무의식 민주주의의 개화
정치인 무용론
— 정치인은 고양이와 바퀴벌레가 될 것
— 민도의 극복 혹은 정치인도 유권자도 동물이 된다
— 정치인은 코드가 된다
— 꿈꾸기 쉬운 무의식 민주주의
끝으로: 이상함을 평범함으로
한국 독자를 위한 저자의 글
역자의 글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