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디자인병, 암호취급병, 드론연구병, 어학병, 인공지능연구병, 콘텐츠제작병…
각 군 모집병에는 다양한 보직이 아~주 많습니다.
육군의 경우 육군기술행정병(186개), 취업맞춤특기병(124개), 임기제부사관(28개), 전문특기병(36개), 군사과학기술병(23개), 어학병(8개), 카투사, 동반입대병, 직계가족복무부대병, 연고지복무병이 있습니다. 해군은 모집계열(38개), 동반입대병, 임기제부사관, 취업맞춤특기병(11개)이 있습니다. 해병은 기술병(45개), 임기제부사관, 취업맞춤특기병(23개), 동반입대병, 직계가족복무부대병, 일반병이 있습니다. 공군은 기술병(48개), 전문특기병(20개), 임기제부사관, 취업맞춤특기병(20개), 일반병이 있습니다.
물론 모집병에 지원한다고 해도 모두가 합격하는 것은 아닙니다. 사전에 일정 점수를 갖춰야 하고 점수 조건에 맞다 해도, 특정 보직의 경우 추첨 등을 통해 배수 안에 들어야 하며, 심지어 필기시험과 체력검사 면접까지 통과해야 합격하는 바늘구멍 같은 보직도 있습니다. 하지만 특기병이나 모집병에 가기 위해 노력하다가 안 된다고 해도 실망하지 마세요. 각 군 훈련소에 입소해서 추가 모집의 기회가 또 있을 수 있습니다. 신병교육 성적이 좋거나 관련 자격증이 있는 경우 특정 병과는 추가 모집을 할 수도 있습니다.
인공지능연구병은 지원자격 18~28세 이하, 현역병 입영대상인 사람으로 석사 재학(휴학) 과정 이상인 사람입니다. 전공학과는 인공지능(전기/전자공학과, 컴퓨터공학과 프로그래밍, 기계공학과, 로봇공학과, 기타 인공지능 관련학과), 빅데이터(빅데이터/응용통계학과, 기타 빅데이터 관련학과), 체계(사업)통합(산업공학과, 정보처리학과, 정보시스템, 사업관리학과), IoT관련(사물인터넷학과, 네트워크관련학과), Cloud관련(C4I관련학과), 명칭이 달라도 인공지능, 데이터, 통계, 전산, 보안 관련학과 석사과정 이상 가능합니다. 군대에서 인공지능연구병으로 18개월 동안 국방의 의무도 하면서 다양한 경험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인공지능 관련 직업으로는 머신 러닝 엔지니어, 데이터 과학자,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개발자, 연구 과학자, 빅데이터 엔지니어 등이 있습니다.
가상시뮬레이션연구병은 컴퓨터공학과(프로그래밍), 산업공학과, 시뮬레이션학과, 정보처리학과, 빅데이터/응용통계학과, IT융합공학, 사물 인터넷학과, 네트워크 관련 학과, 교육공학, Modeling & Simulation 관련 학과, Virtual Reality/Augmented Reality 관련 학과, 가상현실, 디지털 트윈 등 관련 학과로 석사과정 이상 가능합니다. 가상시뮬레이션연구병은 모집인원이 작아서 사전에 준비를 하지 않으면 선발되기가 어렵습니다. 군대 전역 후 가상시뮬레이션 관련 직업으로 가상현실 전문가, 증강현실 전문가, 증강현실 엔지니어, 게임테크니컬 아티스트, VR/AR 감독(연출자, PD), VR/AR 콘텐츠 스토리텔러, 응용소프트웨어개발자, 멀티미디어 디자이너, 비주얼 아티스트, 홀로그램 전문가, 컴퓨터비전 매니저 등 다양한 곳에 지원을 할 수 있습니다.
(맞춤)항공기기체정비 임무는 항공기 운영에 가장 핵심이 되는 특기로서 항공기 비행 전·후 점검, 각종 지상취급 및 연료보급, 오일보급 등을 담당하며 항공기의 안전 운영을 위한 각종 기능 점검의 임무를 수행합니다. 각종 기계조작 및 공구 사용 경험이 있는 사람 우선 특기를 부여됩니다. 입대 전에 공군에서 군복무를 하고 싶은 분들은 사전에 준비만 하면 갈 수 있는 보직입니다. 전역 후에는 항공기 기체 정비 관련 직업을 선택할 수 있고 취업은 대한항공 같은 민간 항공의 항공기 정비사, 공군의 항공기 정비사 등으로 갈 수 있습니다.
운전병의 임무는 차량(대형, 중형, 소형)을 운전하여 인원과 화물을 수송하는 업무를 수행합니다. 그리고 운전하는 차량에 대한 사용자 정비를 합니다. 운전병으로 선발이 되면 훈련소 교육이 끝나도 별도로 특기병 교육을 받습니다. 자대에 가서도 운전을 잘할 때까지 또 교육을 받습니다. 그만큼 반복 숙달을 통해 본인의 임무를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곳이 군대입니다. 이렇게 군대 생활을 하다 보면 다양한 운전면허증도 취득하고 차량정비에 대해서도 배우게 됩니다. 군대에서 운전 및 차량정비를 경험으로 쌓고 전역하면 사회에서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개인차량 정비, 대기업 차량 운전, 자동차와 관련된 회사 등에 취업하기 유리합니다.
요즘 IT 계열은 인턴을 하는 것도 어렵습니다. 그런데 군대에 입대할 때 네트워크운용/정비병으로 입대하면 주변 선임들도 컴퓨터 관련된 전공을 했거나 일을 하다가온 사람들이 많아서 학교에서 글로만 배웠던 것을 군대에서는 자연스럽게 체험하며 배우게 됩니다. 예를 들어 대기업에서 인턴을 선발한다면 대학을 다니면서 자격증만 취득한 사람과 자격증도 있고 군대에서 2년 동안 실무업무를 하고 전역한 사람이 있다면 누구를 선택할까요? 당연히 자격증도 있고 실무경험도 있는 사람이 선발이 되겠죠. 군대는 사회에서 쌓을 수 없는 스펙을 쌓을 수 있는 곳입니다.
군종병은 기독교군종병, 천주교군종병, 불교군종병으로 성직업무보좌와 군종업무수행, 종교시설관리 임무를 수행합니다. 자격요건으로 기독교군종병은 관련 종교 전공학교(기독교학과, 신학과 또는 신학전공) 2년 재학 이상 또는 세례 받은 지 10년 이상자, 천주교군종병은 신학생 또는 영세 받은 지 5년 이상자로 본당신부 추천서 제출자, 신학생 전국 가톨릭신학대학 및 대학원 신학과 재학 및 졸업생입니다. 불교군종병은 불교 관련 전공학과(불교학과) 1년 이상 수료자, 수계 받은 지 5년 이상자, 신앙생활 5년 이상자입니다. 군입대를 준비하면서 이런 자격요건이 되시는 분들은 일반병사로 가는 것보다 본인의 신앙을 살려서 신앙생활도 하고 군종업무수행도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군종업무는 종교 관련 일도 하지만 부대에서 훈련을 하게 되면 성직자분들과 함께 위문 활동과 부대 봉사활동도 하고 있습니다.
G군 대학교 1학년(22세)
G군은 1년 재수를 하고 대학을 들어가 남들보다 나이가 많습니다. 대학은 늦었지만 그림 그리는 것과 사진 찍는 것을 좋아하고 애니메이션 영화를 통해 일본어 공부를 열심히 하고 있었습니다. G군은 주위에 고등학교 친구들이 한 명씩 군대를 가는 것을 보고 육군 일반병으로 입영날짜를 신청하고 입대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G군은 어떤 보직으로 들어가면 좋을까요? G군에게는 10개월 가량 입대날짜가 남아 있었는데요, 그래서 육군과 공군에 있는 관련 보직을 안내해 주었습니다. 육군은 영상콘텐츠디자이너, 그래픽디자이너, 사진콘텐츠디자이너가 있고 공군은 정훈병, 콘텐츠제작병, 웹디자인병이 있습니다.
G군 대학교 1학년(화생방)
G군은 화학공학과를 다니면서 모집병으로 입대해서 화생방 관련 부대에 보직되어 임무를 수행했습니다. 하루 일과가 시작되면 점호를 받고 자신이 보직된 곳으로 이동을 해서 임무를 수행했고 체육활동 시간에는 운동도 열심히 했습니다. 일과 후에도 개인정비 시간을 이용해서 동아리 활동을 했는데 동아리 모임은 성경책을 필사하는 동아리로 선·후임이 모여 서로 의견을 주고받으며 신앙심을 키워갔습니다. 그리고 점호가 끝나고 연등을 하면서 대학 강의와 영어 공부를 했습니다. 하루도 빠지지 않고 개인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G군은 전역을 하고 어떤 사람이 될까요? 아마 성실히 직장과 가정을 위해 열심히 일하고 자신의 발전을 위해 게으름 없이 항상 노력하는 사람으로 살아가겠지요.
E군 고등학교 졸업(정보보호병)
E군은 다른 동기와는 달리 대학교에서 정보보호학이나 전산 관련 전공을 하지는 않았지만, 고등학교 졸업이라는 학력으로 사이버방호 부서에서 근무를 하게 되었습니다. E군의 꿈은 향후 국가정보기관에 들어가서 국가 사이버보안 업무를 담당하는 사이버보안전문가가 되는 것이었습니다. 이것을 위해 다양한 해킹방어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꾸준히 노력했습니다. E군은 국제 해킹방어대회 입상하여 정보보호병으로 입대를 했습니다. 사이버 환경에서의 보안 위협들에 대한 대응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고 군복무 기간 동안 자신이 수행하고 있는 사이버보안 위협들에 대한 예방·탐지·대응 활동들이 남의 일이 아닌 내 일 같은 느낌으로 업무를 수행했습니다.
육군의 경우 육군기술행정병(186개), 취업맞춤특기병(124개), 임기제부사관(28개), 전문특기병(36개), 군사과학기술병(23개), 어학병(8개), 카투사, 동반입대병, 직계가족복무부대병, 연고지복무병이 있습니다. 해군은 모집계열(38개), 동반입대병, 임기제부사관, 취업맞춤특기병(11개)이 있습니다. 해병은 기술병(45개), 임기제부사관, 취업맞춤특기병(23개), 동반입대병, 직계가족복무부대병, 일반병이 있습니다. 공군은 기술병(48개), 전문특기병(20개), 임기제부사관, 취업맞춤특기병(20개), 일반병이 있습니다.
물론 모집병에 지원한다고 해도 모두가 합격하는 것은 아닙니다. 사전에 일정 점수를 갖춰야 하고 점수 조건에 맞다 해도, 특정 보직의 경우 추첨 등을 통해 배수 안에 들어야 하며, 심지어 필기시험과 체력검사 면접까지 통과해야 합격하는 바늘구멍 같은 보직도 있습니다. 하지만 특기병이나 모집병에 가기 위해 노력하다가 안 된다고 해도 실망하지 마세요. 각 군 훈련소에 입소해서 추가 모집의 기회가 또 있을 수 있습니다. 신병교육 성적이 좋거나 관련 자격증이 있는 경우 특정 병과는 추가 모집을 할 수도 있습니다.
인공지능연구병은 지원자격 18~28세 이하, 현역병 입영대상인 사람으로 석사 재학(휴학) 과정 이상인 사람입니다. 전공학과는 인공지능(전기/전자공학과, 컴퓨터공학과 프로그래밍, 기계공학과, 로봇공학과, 기타 인공지능 관련학과), 빅데이터(빅데이터/응용통계학과, 기타 빅데이터 관련학과), 체계(사업)통합(산업공학과, 정보처리학과, 정보시스템, 사업관리학과), IoT관련(사물인터넷학과, 네트워크관련학과), Cloud관련(C4I관련학과), 명칭이 달라도 인공지능, 데이터, 통계, 전산, 보안 관련학과 석사과정 이상 가능합니다. 군대에서 인공지능연구병으로 18개월 동안 국방의 의무도 하면서 다양한 경험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인공지능 관련 직업으로는 머신 러닝 엔지니어, 데이터 과학자,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개발자, 연구 과학자, 빅데이터 엔지니어 등이 있습니다.
가상시뮬레이션연구병은 컴퓨터공학과(프로그래밍), 산업공학과, 시뮬레이션학과, 정보처리학과, 빅데이터/응용통계학과, IT융합공학, 사물 인터넷학과, 네트워크 관련 학과, 교육공학, Modeling & Simulation 관련 학과, Virtual Reality/Augmented Reality 관련 학과, 가상현실, 디지털 트윈 등 관련 학과로 석사과정 이상 가능합니다. 가상시뮬레이션연구병은 모집인원이 작아서 사전에 준비를 하지 않으면 선발되기가 어렵습니다. 군대 전역 후 가상시뮬레이션 관련 직업으로 가상현실 전문가, 증강현실 전문가, 증강현실 엔지니어, 게임테크니컬 아티스트, VR/AR 감독(연출자, PD), VR/AR 콘텐츠 스토리텔러, 응용소프트웨어개발자, 멀티미디어 디자이너, 비주얼 아티스트, 홀로그램 전문가, 컴퓨터비전 매니저 등 다양한 곳에 지원을 할 수 있습니다.
(맞춤)항공기기체정비 임무는 항공기 운영에 가장 핵심이 되는 특기로서 항공기 비행 전·후 점검, 각종 지상취급 및 연료보급, 오일보급 등을 담당하며 항공기의 안전 운영을 위한 각종 기능 점검의 임무를 수행합니다. 각종 기계조작 및 공구 사용 경험이 있는 사람 우선 특기를 부여됩니다. 입대 전에 공군에서 군복무를 하고 싶은 분들은 사전에 준비만 하면 갈 수 있는 보직입니다. 전역 후에는 항공기 기체 정비 관련 직업을 선택할 수 있고 취업은 대한항공 같은 민간 항공의 항공기 정비사, 공군의 항공기 정비사 등으로 갈 수 있습니다.
운전병의 임무는 차량(대형, 중형, 소형)을 운전하여 인원과 화물을 수송하는 업무를 수행합니다. 그리고 운전하는 차량에 대한 사용자 정비를 합니다. 운전병으로 선발이 되면 훈련소 교육이 끝나도 별도로 특기병 교육을 받습니다. 자대에 가서도 운전을 잘할 때까지 또 교육을 받습니다. 그만큼 반복 숙달을 통해 본인의 임무를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곳이 군대입니다. 이렇게 군대 생활을 하다 보면 다양한 운전면허증도 취득하고 차량정비에 대해서도 배우게 됩니다. 군대에서 운전 및 차량정비를 경험으로 쌓고 전역하면 사회에서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개인차량 정비, 대기업 차량 운전, 자동차와 관련된 회사 등에 취업하기 유리합니다.
요즘 IT 계열은 인턴을 하는 것도 어렵습니다. 그런데 군대에 입대할 때 네트워크운용/정비병으로 입대하면 주변 선임들도 컴퓨터 관련된 전공을 했거나 일을 하다가온 사람들이 많아서 학교에서 글로만 배웠던 것을 군대에서는 자연스럽게 체험하며 배우게 됩니다. 예를 들어 대기업에서 인턴을 선발한다면 대학을 다니면서 자격증만 취득한 사람과 자격증도 있고 군대에서 2년 동안 실무업무를 하고 전역한 사람이 있다면 누구를 선택할까요? 당연히 자격증도 있고 실무경험도 있는 사람이 선발이 되겠죠. 군대는 사회에서 쌓을 수 없는 스펙을 쌓을 수 있는 곳입니다.
군종병은 기독교군종병, 천주교군종병, 불교군종병으로 성직업무보좌와 군종업무수행, 종교시설관리 임무를 수행합니다. 자격요건으로 기독교군종병은 관련 종교 전공학교(기독교학과, 신학과 또는 신학전공) 2년 재학 이상 또는 세례 받은 지 10년 이상자, 천주교군종병은 신학생 또는 영세 받은 지 5년 이상자로 본당신부 추천서 제출자, 신학생 전국 가톨릭신학대학 및 대학원 신학과 재학 및 졸업생입니다. 불교군종병은 불교 관련 전공학과(불교학과) 1년 이상 수료자, 수계 받은 지 5년 이상자, 신앙생활 5년 이상자입니다. 군입대를 준비하면서 이런 자격요건이 되시는 분들은 일반병사로 가는 것보다 본인의 신앙을 살려서 신앙생활도 하고 군종업무수행도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군종업무는 종교 관련 일도 하지만 부대에서 훈련을 하게 되면 성직자분들과 함께 위문 활동과 부대 봉사활동도 하고 있습니다.
G군 대학교 1학년(22세)
G군은 1년 재수를 하고 대학을 들어가 남들보다 나이가 많습니다. 대학은 늦었지만 그림 그리는 것과 사진 찍는 것을 좋아하고 애니메이션 영화를 통해 일본어 공부를 열심히 하고 있었습니다. G군은 주위에 고등학교 친구들이 한 명씩 군대를 가는 것을 보고 육군 일반병으로 입영날짜를 신청하고 입대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G군은 어떤 보직으로 들어가면 좋을까요? G군에게는 10개월 가량 입대날짜가 남아 있었는데요, 그래서 육군과 공군에 있는 관련 보직을 안내해 주었습니다. 육군은 영상콘텐츠디자이너, 그래픽디자이너, 사진콘텐츠디자이너가 있고 공군은 정훈병, 콘텐츠제작병, 웹디자인병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