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재미로 보는 우리의 옛 그림


  • ISBN-13
    978-89-7814-958-7 (03600)
  • 출판사 / 임프린트
    도서출판 교음사 / 도서출판 교음사
  • 정가
    25,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4-01-10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정유현
  • 번역
    -
  • 메인주제어
    미술: 표현방법 및 주제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한국미술 #우리의 옛 그림 #옛 그림 #미술: 표현방법 및 주제
  • 도서유형
    종이책, 반양장/소프트커버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90 * 260 mm, 246 Page

책소개

우리의 옛 그림을 누구나 흥미롭게 다가오는 방법은 없을까.를 생각해보았다. 그래서 진입장벽과 난해한 용어 등 모두 허물어 버리고, 쉽게 재미로 감상할 수 있는 그림으로 가까웠으면 싶었다. 귀한 시간 내어 찾아온 만큼 우리의 옛 그림을 좀 더 친근하게 다가오도록 다소나마 도움이 되고자 책을 엮었다.
외침도 많았던 조선시대의 생활상은 어떠했을까. 조선시대의 그림을 통해 쉽게 이해하도록 주로 대중들에게 잘 알려진 작가와 작품을 골라보았다. 그래서 누구든 재미로 펼쳐보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에서 수필과 함께 접목했다. 그동안 해설해온 자료들을 바탕으로 전통 한국화를 당시의 역사와 사회풍속을 간략하게 살짝, 살짝 곁들인 그림책으로 엮었다.

목차

1부 그 발자취 들 
길상(吉祥)의 한 폭 14
묵향(墨香)으로 번진 매화 18
저버리지 않은 봄 22
비밀의 열쇠 27
그 발자취들 32
아련한 추억 38
풍족한 삶 43
사라진 하나의 도서관 48
고마운 사람들 53
무상함의 흔적 59
세한연후(歲寒然後) 64


2부 솔개의 팔도유람 
무너지는 억장 72
10년만 더 살았어도 78
그윽한 산사의 분위기 88
땀방울로 녹아든 자양분 93
솔개의 팔도유람 99
시원한 계곡 104
행복은 낮은 곳에서도 109
풍악 소리 높아지는 효행 114
칠월 백중 날 123
거듭 피어난 우아미꽃 131
나그네의 지팡이 136

3부 느림보의 웃음 
쿵쿵 찧어라 142
보통 사람들 147
느림보의 웃음 152
수락산에 오르면 159
저 빛깔은 어디서 났을까 163
매미를 닮으렴, 군자(君子)야 167
물들어가는 사색(思索) 171
애잔한 만남 177
짝짝꿍 꿍짝짝 181
평화로운 유영 185


4부 어떤 사연이 담겨있기에 
내 안에서 나를 찾았다 190
사라진 장유유서(長幼有序) 194
동인들의 모임 199
하늘이 미리 거두어 가 주소서 205
바람에 날려버린 허깨비 우정 211
천도(天桃)복숭아 218
어떤 사연이 담겨 있었기에 226
폭풍 속에서 피어난 모란화 231
진한 유대감을 다지는 날 238
엄격한 동장군을 밀어낸 봄 242

본문인용

묵향(墨香)으로 번진 매화

TV 속에서 남쪽지역의 매화들이 활짝 웃고 있다. 이번에는 어느 쪽으로 매화를 보러 갈까, 벌써부터 마음이 설렌다. 매화 하면 우리나라에서 경상도 산청의 삼매(三梅)와 전라도 선암사의 고매(古梅)를 빼놓을 수 없듯, 매화를 사랑했던 시인이 떠오른다. 그는 잠깐 피고 지는 매화를 보기 위해 눈 덮인 산속을 헤매고 다녔다고 한다. 요즘이야 묘목 재배가 발달되어 봄이면, 어디서나 흔히 볼 수 있는 매화지만, 예전에는 그렇지 않았던 것 같다. 추위를 아랑곳 않고 험한 설산(雪山)으로 찾아 들어간 걸 보면, 귀한 꽃임에는 틀림없었나 보다. 
시인 맹호연(孟浩然)은 본래 후베이성 샹양현(湖北省襄陽縣) 출생이었다. 녹문산에 살다가 40세에 고향을 잠시 떠나 장안에서 머무는 동안 당대에 유명했던 왕유와 왕창령 등 여러 시인과 교유하였다고 한다. 이백과 두보처럼 그도 역시 자연을 벗삼아 살면서 주옥같은 시를 남긴 인물이다. 후대 문인들은 매년 맹호연과 관련된 시를 짓고 읊는 풍습이 연례행사처럼 되어버렸다고 한다. 그의 고결함을 기리는 작품은 시뿐 아니라, 그림까지 쏟아져 나와 더욱 유명한 이름을 남기게 된 것이다. 
조선의 묵객들도 마찬가지였다. 겨울 소재 중에 설중매(雪中梅)에 대한 작품을 앞다투어 다작을 내놓았다. 진경산수화를 잘 그렸던 유명한 작가 정선 역시 「금강산도」처럼 제목은 조금씩 다르지만, 맹호연과 관련된 작품을 여러 점 남겼다. 그중에서 「파교설후도」를 선정해서 소개하려는 것은 다른 작품과 좀 색다른 면을 볼 수 있어서다. 
겸재 정선(謙齋 鄭敾) 「파교설후도(灞橋雪後圖)」 이홍근 기증. 지본수묵 52.2 x 35.9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이 작품은 「파교심매도」라고 부른다. 화면 왼쪽 위에 적힌 ‘눈 온 뒤 파교에서’라는 화제를 통해 앞서 언급했듯 중국 당나라 시인 맹호연의 이야기를 그린 그림임을 알 수 있다. 화면 속의 주인공이 파교를 건너는 장면이다. 파교는 지금의 중국 산시성 그러니까 당나라 수도 장안(長安) 동쪽에 있는 파수에 설치된 다리의 이름이다. 누구를 전송할 때, 장안 사람들은 이 다리까지 나와서 버들가지를 꺾어주며 송별했다는 설과 함께 주변 경관 또한 아름답기로 유명한 곳이다. 
이 그림은 채색을 전혀 쓰지 않고, 오직 먹으로 시작하여 먹으로 마무리한 작품이다. 보통 크기의 서예 붓질로 휙휙 옆으로 긋고, 내려긋자 새하얀 설산과 다리가 되고, 묵의 농담(濃淡) 붓질 몇 번에 의해 선비의 흰 두루마기(白描)가 되고, 나귀의 검은(沒骨) 모습으로 나타난 것이다. 추위 속에 명시를 품고 기대에 부푼 듯 앞만 보고 가는 주인공과 주변 경관이 잘 조합된 그림이다. ‘쓰윽 쓱싹 쓱싹 쓱쓱’ 눈 덮인 세상을 만들어 나귀 탄 선비의 모습까지 단숨에 끝낸 후, 좌측 상단에 행서체로 ‘파교설후, 겸재’라고 써 놓았다. 참으로 그리기 쉬운 그림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고도의 필력이 아니면, 쉽사리 나올 수 없는 능수능란한 솜씨란다. 
지금 다리를 건너는 모습을 보면 참으로 위태로워 보인다. 나귀가 내딛는 발밑은 푹 꺼질 것 같고, 그 앞은 미끄러운 언덕길이다. 한쪽으로 치우친 오른쪽의 기이한 바위 절벽 배치 역시 금방이라도 무너져 내릴 것 같다. 왼쪽은 날카로운 부벽준(斧劈皴)으로 쓱쓱 그어댄 각진 산봉우리로 이어진 비듬한 산자락에 적벽이 살짝 걸쳐 있는 듯 다소 불안정한 느낌이다. 잔뜩 찌푸린 하늘마저 분위기를 조화롭게 잘 드러낸 산수화다. 
화면 속을 보면, 나귀 한 마리와 함께 먼 길을 떠나는 선비 즉, 맹호연뿐이다. 그동안 중국을 비롯해 수많은 작가들이 전후(前後)로 그려왔던 전형적인 틀에서 벗어난 작품이다. 얼핏 대하면 맹호연의 도상이 비슷해 보이지만, 눈여겨보면 약간의 차이점이 드러난다. 전자는 대부분 인적 없는 설원에서 시공의 흐름 속에 인생의 무상함을 표현한 듯 쓸쓸한 느낌이었다. 그와 함께한 시동 2명 역시 선비가 움직이기를 기다리는 모습을 담아냈다. 후자는 대부분 눈 속의 찬바람을 맞으며 선비가 걸어가는 모습과 나귀에 앉아 산속으로 들어가는 모습이다. 1명의 시동은 부실한 입성으로 그 뒤를 따라가거나, 아니면 눈에 젖은 언 발을 동동거리며 기다리는 시동을 담아냈다. 
여기서는 시동의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 그동안 동반했던 시동들은 유형에서 사라지고, 매화를 찾아 다리를 건너가는 선비 뒷모습만 묘사했다. 이는 자칫 신분 격차로 거부감을 느낄세라 감상자의 마음을 배려한 것으로 보인다. 추위 속에 동동거리며, 뒤를 따라가는 모습이 안쓰러웠던지 작가는 시동을 동반시키지 않은 것이다. 작가의 여유로운 붓놀림은 그의 인격까지 엿보여 이색적으로 보인다.
매화는 이른봄 눈 속의 전령이다. 추위를 뚫고 피어나는 강인함과 경이로움 그 자체가 문인 사대부들에게 매료되었던 꽃이다. 설중매에 고고한 품성을 지닌 은둔 처사의 사연이 가미되자 수많은 묵객들에게 아름다운 선망의 대상이었다. 이처럼 고결함을 기리는 매화가 사군자의 하나로 자리매김하는데, 맹호연의 매화 사랑이 한몫을 했던 것이다.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정유현
『문예사조』등단
한국문인협회 회원
국제PEN한국본부 회원
한국수필문학가협회 이사
국립중앙박물관 도슨트(현)
수상 : 소운문학상(2010)
저서 : 『그날 피렌체에서』 외 다수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