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자는 죽지 않았어. 뒤주 안에서 세자는 생과 사가 결정되지 않은 굉장히 불안정한 상태였고, 그 불안정한 상태가 압축되면서 성리학으로도 현대 과학으로도 증명하기 힘든 ‘무언가의 상태’가 되었지. 뒤주 뚜껑을 열었을 때, 세자의 육신은 푸른빛을 내며 부서지고, 다시 조립되고, 다시 부서지고, 다시 조립되다 결국 세자이면서 세자가 아닌, 인간이면서 인간이 아닌 ‘무언가’가 되었지. 뒤주가 열리면서 세자는 ‘독타 만하탄讀紽 卍昰誕’이 되었어. 그는 인간과 세상과 시간을 초월한 존재가 되었어.”
--- p.110~111, ‘양자역학적 세자’ 중
“그렇게 해서 헤르멜리나는 동부의 선대공이 되었어요. 루겔리우스는 약속을 지켰죠. 그리고 헤르멜리나는 선대공 대관식이 끝나고 황제와 독대하게 되었어요. 루겔리우스가 헤르멜리나에게 말했죠. ‘그래, 나는 약속을 지켰다. 이제는 네가 약속을 지켜야 할 차례다’라고요. 새로운 동부 선대공이 황제에게 말했어요. ‘난 당신의 아이를 황제로 만들어줄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당신은 여전히 아이가 없군요? 당신의 아이는 어디 있습니까?’ 걸치고 있는 옷과 지위에 상관없이 여전히 당돌한 그녀의 모습에, 황제는 그만 피식 웃어버리고는 ‘내가 성격이 엉망이라, 나와 혼인하겠다는 이가 아무도 없었다. 나도 아무나하고 혼인할 생각이 없고 말이다’라고 말했다고 해요.
그러자 선대공도 피식 웃고는 ‘그러면 어떻게, 제가 다음 황제를 낳아드릴까요?’라고 받아쳤는데 황제가 ‘그래 주겠느냐?’라고 되물었다고 하죠. 헤르멜리나는 ‘나는 꽤 욕심이 큰 사람입니다. 그래도 되겠습니까? 나중에 마음을 바꿔, 당신의 아이가 아니라 내가 황제가 되겠다 할지도 모르는데?’라고 답했고 황제는 ‘아무렴 어떻겠느냐. 나는 좋다’라고 말했다고 해요. 그렇게 두 사람은 그 자리에서 혼인을 약조했죠.
--- p.338~339, ‘이야기의 값’ 중
“쳇…… 말이 좋아 그렇지, 결국 그 인공지능이 하는 건 보호자 목소리로 장애인에게 이거 해라, 저거 하지 말라 명령하는 거라고.
자기 의사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는 지적장애인에게 위험도 높은 전뇌 시술을 받게 하고, 보호자 인격을 복제해 만든 인공지능 어시스트를 부착해서 행동을 조종하는 게 윤리적으로 옳을까? 그것을 과연 보호자의 보살핌으로 볼 수 있겠냔 말이야. 백번 양보해서 인공지능의 명령이 그들의 행동을 바로잡아 조금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게 해준다고 하더라도 그들의 선택권은? 젠장. 그런 걸 돌봄이나 보호라고 할 수 있냔 말이지…….”
--- p.353, ‘Where?’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