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보다 조금이라도 더 나은 내일의 내가 되고 싶다.”
동양 철학을 공부하며 새로운 삶의 희망을 발견한 젊은 철학자 제갈 건
2,500년 전에 세상을 떠난 공자가 그에게 제시한 인생 비전
유튜브 〈제갈건〉은 젊은 철학자 제갈 건이 『논어』, 『장자』, 『노자』 등의 고전을 소개하고 강의하는 채널이다. 영상 속에서 그는 멋지게 글씨를 쓰기도 하고, 성인들의 입을 빌어 세상 살아가는 지혜를 전하기도 한다. 그 모습을 보고 있자면 ‘젊은 사람이 어떻게 저런 날카로운 시선을 갖게 되었나’ 경이로운 생각마저 든다. 하지만 인터넷을 조금만 검색해보면 그 젊은 철학자의 삶이 마냥 순탄치만은 않았음을 쉽게 알 수 있다.
사실 제갈 건은 철학자보다 서대문구 짱, 일진 등으로 우리에게 더 많이 알려져 있다. 어려서부터 싸움을 일삼았고, 고등학교를 자퇴했으며, 싱가포르에 건너가 온몸에 문신을 새긴 문제아. 군대에서도 말썽을 피워 관심 병사가 취급을 받고, 술만 마시면 사건 사고를 일으켜 경찰서를 제집처럼 드나들던 알코올 중독자. 이렇게 절제되지 않은 삶에 하루하루를 소비하던 어느 날, 그는 인생의 거대한 허무를 마주했다. 다들 꿈꾸는 바를 이루기 위해 열심히 땀 흘리며 살아가는데 자신만 동떨어져 다른 세상을 살아가는 그 느낌. 그는 물었다.
‘과연 나에겐 무엇이 남을 것인가?’
그는 막막함 속에서 자신의 손을 잡아줄 스승이 필요함을 느꼈다. 그렇게 글씨를 익히고, 동양 철학을 공부하면서 공자와 장자, 노자를 만났다. 『논어』, 『장자』, 『노자』를 거듭 읽으며 술을 완전히 끓고, 몸과 마음가짐을 바르게 하고, 사회복지학도 공부했다. 그렇게 오늘 제갈 건은 카메라 앞에 섰다. 서대문구 짱도 아니고, 알코올 중독자도 아닌, 철학자 제갈 건으로.
“지금껏 살아온 어느 순간보다도 더 나 스스로를 사람답다고 느끼게 되었다.”
세상을 큰 안목으로 바라보게 하는 지혜의 보고 『논어』
미래가 두려운 젊은 세대에게 위로와 격려, 용기와 희망을 전하는 책
『내일을 어떻게 살 것인가』는 외줄타기처럼 위태로웠던 제갈 건의 인생을 바로잡아준 책 『논어』를 현대적 관점에서 재해석한 책이다. 어떻게 『논어』를 읽으며 인생의 새로운 길을 모색하게 되었는지 작가는 책에 적고 있다. “누군가의 스승이 되려면 단순히 지식을 전달함에 그쳐서는 안 된다. 참스승은 언제나 마음을 전달한다. 또 누군가의 제자가 되려면 단순히 스승의 마음을 받기만 해서는 안 된다. 참제자는 언제나 스승의 마음을 실천한다. 나는 공자의 마음을 배웠다. 또 그것을 실천하고자 노력하며 산다. 그래서 공자는 내 스승이며, 나는 공자의 제자다. 공자와 사제지간이 되고 난 이래 내 삶에는 한 가지 큰 변화가 생겼다. 지금껏 살아온 어느 순간보다도 더 나 스스로를 사람답다고 느끼게 되었다.”
[나], [너], [우리], [세상], 이렇게 총 4부로 이루어진 이 책은 공자 철학의 핵심 개념 세 가지 인(仁), 예악(禮樂), 충서(忠恕)를 작가의 인생사와 버무려 풀어낸다. 학창 시절 무서운 학생주임 선생님의 속마음을 들으며 배운 화이부동(和而不同)의 정신, 싱가포르 유흥가 방구석에서 깨달은 ‘세상에 나도 주인공 그리고 너도 주인공’의 마음, 방황하는 아들을 오직 믿음으로 기다려주었던 어머니의 무한한 사랑과 과즉물탄개(過則勿憚改)의 자세, 아버지가 된 뒤에야 비로소 깨달은 진짜 효도의 방법 등 우리네 실제 삶에 필요한 공자의 지혜가 총 36개의 논어 구절과 함께 소개된다. 그래서 이 책의 마지막 장을 덮을 때 쯤이면 누구나 ‘지금껏 살아온 어느 순간보다도 더 스스로를 사람답다고 느끼게’ 될 것이다.
“『논어』에 담긴 공자의 가르침을 귀담아들으면 누구나 인생을 현명하고 풍요롭게 살 수 있다!”
불안, 질투, 고집, 열등감, 의심, 낮은 자존감…
공자의 지혜가 오늘날에도 반드시 필요한 이유
『논어』는 2,500년 전 공자의 말을 훗날 제자들이 기록한 책이다. 무려 2,500년 전에 쓰인 책이 21세기 현대인의 삶을 설명할 수 있을 리 만무하다. 그럼에도 『논어』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많이 찾아보는 고전이며, 오늘날에도 꾸준히 인용되고 새롭게 해석되어 출간되는 책이다. 도대체 그 이유가 무엇일까?
답은 철저하게 현실에 발 딛고 서 있었던 공자의 삶에 있다. 기원전 551년 노나라 시골에서 사생아로 태어난 공자는 일찍 아버지를 여의고 홀어머니 밑에서 자랐다. 서른에 깨우침을 얻고 제자들을 가르치기 시작한 그는 학자이자 관리였는데, 때는 춘추시대로 수많은 백성이 굶주림과 왕의 폭정에 시달리고 있었다. 이렇게 신의가 무너진 세상에서 공자는 어떻게 하면 인간과 인간 사이의 예를 바로 세우고, 제도를 올바르게 정비해 백성들의 삶을 안정시킬 수 있을지 고민했다. 그래서 전국을 돌며 그 뜻을 전파하고, 왕들을 만나 지혜를 전하는 데 힘썼던 것이다.
이토록 지독한 현실주의자였던 공자의 지혜는 오늘날까지도 『논어』를 통해 이어지고 있다.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을까 하는 불안, 남들과 나를 비교하면서 찾아오는 질투, 왜곡된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고집, 사소한 일에 되레 큰 목소리를 내는 열등감, 다른 사람뿐만 아니라 자신도 믿지 못하는 의심, 누군가의 인정을 갈망하고 매달리는 낮은 자존감 등은 예나 지금이나 크게 다를 바 없는 인간의 본성이자 세상을 혼탁하게 만드는 까닭이기 때문이다.
제갈 건 작가는 인간 본성의 한계 속에서 허우적거리는 자신의 모습을 『논어』를 읽으며 발견했다. 그리고 공자의 말씀대로 예와 악, 너도 주인공 나도 주인공의 마음으로 자신을 죄었다. 그러자 과거를 돌아보고 뉘우칠 수 있는 용기와 안목이 생겼다. 더 나은 길로 나아가고자 하는 목표도 생겼다. 『내일을 어떻게 살 것인가』는 스승 공자를 만나 새로운 인생을 작가의 솔직한 고백이자 다짐이다. 흔들리는 내 인생에 한 권의 지침서가 필요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 책을 통해 더욱 현명하고 풍요로운 인생을 그려나갈 수 있을 것이라 자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