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헬스의 정석-근력운동편 개정증보판

수피의 1:1 트레이닝, 이제 실전운동이다!


  • ISBN-13
    978-89-5699-455-0 (03510)
  • 출판사 / 임프린트
    한문화멀티미디어 / 한문화멀티미디어
  • 정가
    30,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3-11-10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수피
  • 번역
    -
  • 메인주제어
    건강일반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헬스의정석 #수피 #헬스 #근력운동 #다이어트 #식스팩 #몸짱 #피트니스 #웨이트트레이닝 #스트렝스 #머신운동 #프리웨이트 #벤치프레스 #데드리프트 #스쿼트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53 * 225 mm, 492 Page

책소개

《헬스의 정석-근력운동편》이 나온 후 7년간, 헬스 주요 종목의 실전을 총 정리한 대표 도서로 큰 사랑을 받았다. 피트니스 영역에서도 매년 새 이론과 트렌드가 등장하는데, 첫째로 근육의 부피 성장에 관한 이론이 많이 나오면서 기존의 운동을 어떤 방식으로, 어떤 범위에서 해야 근육이 더 빨리 커지는지에 대한 관점이 달라졌다. 둘째로 새로운 머신이 속속 등장하면서 그 평가도 달라졌다. 이번 개정증보판에서는 그간의 변화를 반영하고, 새로 등장한 기구나 종목도 추가했다. 뿐만 아니라 기존 내용에서 중요도가 높은 부분은 보완하고, 설명도 더 이해하기 쉽게 전면 수정했다. 근육, 골격, 체형과 움직임에 대한 이해에서부터 부위별 트레이닝과 내 몸에 꼭 맞는 운동 프로그램 설계까지, 왕초보부터 마니아까지 모두 만족할 만한 제대로 된 근력운동 가이드를 만날 수 있다.

목차

• 개정증보판 머리말  7년간 변한 것들, 변하지 않은 것들 

• 초판 머리말  운동은 머리가 아닌 몸이 기억해야 완성된다! 

 

1부. 근육과 힘

 

Chapter1. 운동과 근육  

1. 근육의 구조 

모터유닛, 신경의 운동단위 | 근육과 결합조직 | 어떻게 해야 근육이 강해질까? 

2. 운동 후 근육의 변화 

운동은 어떤 원리로 근육을 늘릴까? | 운동을 중단하면 근육은 얼마나 빨리 줄어들까?  

 

Chapter2. 강해지는 법 

1. 강해지기 위해 필요한 것 

기초체력, 스트렝스, 파워 | 스트렝스 훈련 vs 파워 훈련 | 파워리프팅, 역도, 단거리 달리기

2. 가동범위와 힘 

근육은 언제 가장 강할까? | 근육의 팀플레이 | 최대가동범위 vs 부분반복 | 근육이 길어진 상태가 근성장의 핵심이다 

3. ‘몸치’의 과학, 신경과 근육의 조화 

거울신경 | 고유수용감각 | 협응력 | 반응속도  

4. 근력운동에서 대응 개념 

복합운동이냐 고립운동이냐 | 치팅으로 볼까, 기능성으로 볼까? | 프리웨이트 운동? 머신운동? 맨몸운동?  

5. 트레이닝의 역학 

모멘트와 지렛대의 원리 | 몸의 중심축은 어디일까? | 근력운동과 몸의 중심, 모멘트 

 

2부. 부위별 트레이닝 해부

 

Chapter3. 오리엔테이션 

바벨과 덤벨 | 우리 헬스장에는 랙이 몇 대 있을까? | 머신과 케이블은 어떤 게 있을까? | 운동기구 잡는 방법 | 복장, 신발 및 소도구 | 근력운동의 호흡법 | 소소하게 알아두면 좋은 꿀팁 

 

Chapter4. 가슴운동과 어깨운동

1. 어깨 복합체의 구조 

2. 가슴운동 

벤치프레스 기본동작 | 벤치프레스, 그것이 알고 싶다 그립을 넓게 잡을까, 좁게 잡을까 | 견갑골의 올바른 위치 | 벤치프레스에서 바벨을 제대로 잡는 법 | 남성의 벤치프레스, 여성의 벤치프레스 | 락아웃을 할까, 말까? | 왜 벤치프레스 중량만 유독 안 오를까? | 벤치프레스 보조하기  

벤치프레스 변형 동작 인클라인 벤치프레스 | 디클라인 벤치프레스 | 덤벨 벤치프레스 | 클로즈그립 벤치프레스 | 머신 벤치프레스 | 파워리프팅 벤치프레스 | 리버스 그립 벤치프레스 

푸시업 기본동작 | 푸시업, 그것이 알고 싶다 손 짚는 너비에 따라 자극점이 어떻게 달라질까? | 맨손 vs 푸시업 바, 뭐가 더 좋을까? | 푸시업 개수를 늘리는 효과적인 방법 | 푸시업 변형 동작 디클라인, 인클라인 푸시업 | 중량 푸시업 | 플라이오 푸시업 | 한 손을 높인 푸시업 

딥스 기본동작 | 딥스 변형 동작 어시스티드 딥스 | 중량 딥스 | 링 딥스 

체스트 플라이 기본동작 | 체스트 플라이, 그것이 알고 싶다 모멘트성 운동이 까다로운 이유 | 체스트 플라이 변형 동작 머신 체스트 플라이 | 인클라인 덤벨 플라이 | 케이블 체스트 플라이 

3. 어깨운동 

오버헤드 프레스 기본동작 | 오버헤드 프레스, 그것이 알고 싶다 오버헤드 프레스에서 어깨 부상을 입는 경우 | 팔을 똑바로 못 드는 경우는 왜 그럴까? | 서서 하기 vs 앉아서 하기 | 오버헤드 프레스에서 바벨 잡는 법 | 오버헤드 프레스 변형 동작 덤벨 오버헤드 프레스 | 비하인드넥 프레스 | 아놀드 프레스  

숄더 레이즈 기본동작 | 숄더 레이즈, 그것이 알고 싶다 프론트, 래터럴, 벤트오버의 우선순위는? | 물 따르는 자세라니요? | 숄더 레이즈 변형 동작 프론트 레이즈 | 벤트오버 래터럴 레이즈 | 케이블, 머신 레이즈 | 페이스 풀 | 자세를 바꾼 레이즈 

업라이트 로우 기본동작 

 

Chapter5. 등운동

1. 등의 구조 

2. 등운동 

로우 기본동작 | 로우, 그것이 알고 싶다 그립 방향에 따라 작용하는 근육이 달라진다 | 등 근육은 왜 자극이 잘 안 될까? | 효과적인 등운동을 위한 꿀팁 | 로우 변형 동작 벤트오버 덤벨 로우 | T바 로우 | 패럴렐 로우 | 인버티드 로우 | 펜들레이 로우 

풀다운 기본동작 | 풀다운 변형 동작 비하인드넥 풀다운 | V바 풀다운 | 풀오버 | 스트레이트 암 풀다운

풀업 기본동작 | 풀업, 그것이 알고 싶다 풀다운과 풀업의 차이는? | 풀업에서의 흔한 실수, 치팅 | 안 되는 풀업을 되게 하는 꿀팁 | 데드 행을 할까, 말까? | 풀업 변형 동작 그립에 따른 변형 동작 | 중량 풀업 

 

Chapter6. 팔운동

1. 팔의 구조 

팔을 굽히는 근육 | 팔을 펴는 근육 | 손목과 손가락을 움직이는 근육 

2. 상완 운동 

이두 컬 기본동작 | 이두 컬 변형 동작 곧은 바벨 vs 컬바 | 언더그립 vs 뉴트럴그립 vs 오버그립 | 바벨 vs 덤벨 | 프리처 컬, 컨센트레이션 컬, 인클라인벤치 컬 | 프리웨이트 vs 머신, 케이블 | 드래그 컬

삼두근 복합운동 삼두근 복합운동의 유형 클로즈그립 벤치프레스 | 트라이셉스 딥스 | 클로즈그립 푸시업

트라이셉스 익스텐션 기본동작 | 트라이셉스 익스텐션 변형 동작 라잉 트라이셉스 익스텐션 | 덤벨 트라이셉스 익스텐션 | 머신, 케이블을 이용한 익스텐션 

트라이셉스 프레스다운 기본동작 

트라이셉스 킥백 기본동작  

3. 전완 운동 

리스트 컬 | 리스트 익스텐션 

 

Chapter7. 허리운동과 복근운동

1. 몸 중앙부의 구조 

몸 중앙부의 근육 척추를 뒤에서 잡아주는 근육 : 척추기립근 | 척추와 골반을 앞에서 지지하는 근육 : 요방형근, 장요근 | 배 주변을 둘러싼 근육 : 복직근, 복사근, 복횡근 | 척추뼈 사이사이를 잡아주는 로컬 근육 | 허리 아치가 필요할 때와 아닌 때 초보자에게 아치를 강조했던 이유는 뭘까? | 고중량 트레이닝과 요추전만 | 복근운동과 아치

2. 허리운동

데드리프트 기본동작 | 데드리프트, 그것이 알고 싶다 데드리프트가 과연 등운동일까? | 데드리프트와 체형의 상관관계 | 데드리프트의 스탠스 | 데드리프트의 그립 | 터치 앤 고 vs 데드 스톱 | 맨몸 스쿼트는 있는데 왜 맨몸 데드리프트는 없을까? | 바벨이 정강이를 친다고요? | 데드리프트 중량 VS 스쿼트 중량 | 여성과 데드리프트 | 데드리프트 변형 동작 루마니안 데드리프트 | 스티프레그 데드리프트 | 스모 데드리프트 | 트랩바 데드리프트 | 스내치그립 데드리프트 | 굿모닝 엑서사이즈

백 익스텐션 기본동작 | 백 익스텐션, 그것이 알고 싶다 백 익스텐션의 난이도는 어떻게 조절할까? | 백 익스텐션을 할 때 주의할 점 | 백 익스텐션 변형 동작 슈퍼맨 자세 | 프론 코브라 

3. 복근운동 

싯업 기본동작 | 싯업, 그것이 알고 싶다 싯업이 복근운동으로 유용할까? | 싯업을 할까, 말까? | 복근운동과 호흡법 | 싯업 변형 동작 크런치 | 머신, 케이블 크런치 | 트위스트 싯업, 크런치 | 바이시클 매뉴버 | 자세를 이용한 변형들

레그 레이즈 기본동작 | 레그레이즈 변형 동작 행잉 레그 레이즈 | 리버스 크런치  

기능성 코어운동 플랭크 | 할로우바디 홀드 | 롤아웃 

 

Chapter8. 하체운동-엉덩이와 다리

01 하체의 구조 

엉덩이 | 허벅지 대퇴사두근 | 햄스트링 | 대퇴근막장근, 내전근 | 종아리  

02 하체운동 

스쿼트 준비자세 | 기본동작 | 스쿼트, 그것이 알고 싶다 엉덩이를 얼마만큼 내려야 할까? | 하이바와 로우바, 뭐가 다를까? | 무릎이 발끝을 넘어가면 안 된다던데? | 스쿼트에서 허리가 굽는 많고 많은 이유 | 스쿼트 하단에서 무릎이 모아지는 이유는? | 고개를 들어야 할까, 말아야 할까? | 스탠스와 자극 부위 | 스쿼트에서 바벨은 어떻게 움직일까? | 스쿼트를 위한 마사지와 스트레칭 | 스쿼트의 속도 | 스쿼트 변형 동작 프론트 스쿼트 | 덤벨 스쿼트 | 박스 스쿼트 | 스미스머신 스쿼트 | V스쿼트 머신  

레그 프레스 기본동작 | 레그 프레스, 그것이 알고 싶다 발을 두는 위치에 따른 자극 부위 | 뻥 중량에 속지 말자! | 파워 레그 프레스와 핵 스쿼트

레그 익스텐션 기본동작 

런지 기본동작 | 런지 변형 동작 다리 동작에 따른 변형 | 스플릿 스쿼트 

레그 컬 기본동작 | 레그 컬 변형 동작 라잉 레그 컬과 시티드 레그 컬의 차이 | 맨몸 레그 컬 

 

 

힙 쓰러스트 기본동작

카프 레이즈 기본동작 | 카프 레이즈 변형 동작 시티드 카프 레이즈 | 덩키 카프 레이즈 | 토 프레스

 

 

3부. 운동 프로그램

 

Chapter 09  운동 프로그램 짜는 법

01 프로그램 설계의 기본원리 

근육 발달의 원리 | 며칠에 한 번, 어디를 단련할까? | 어느 종목을, 어떤 순서로 할까? | 중량과 횟수의 방정식 고중량 : 근력 | 중간 수준 중량 : 근부피 | 저중량 : 근부피, 지구력 | 어떻게 무게를 늘려갈까? | 휴식이 중요한 이유 | 특수한 경우 장시간 운동을 쉬었다 다시 시작하는 경우 | 만성질환이 있는 경우

02 세트 구성하기 

워밍업 세트 | 본운동 세트별 횟수와 중량은 어떻게 배분할까? 스트레이트 세트 | 앰렙 | 어센딩 세트 | 디센딩 세트 | 피라미드 세트 | 하루에 몇 세트를, 몇 분간 할까? 종목당 세트 수 | 하루의 총 세트 수 | 하루의 적정 운동시간 | 강도를 높이기 위한 변형 세트법 다중 세트법 | 강제반복법 | 기타 변형 운동법

03 내 단계에서는 뭐가 필요할까? 

운동 숙련 정도에 따른 가이드 초급자, 뭘해도 다 통한다 | 중급자, 바꿔야 변한다! | 상급자, 특단의 대책 없이는 제자리걸음 | 중장기 프로그램 주기화 | 체중 조절 전략 | 중장기 사이클 구성의 예 

 

Chapter10. 실전 프로그램

01 워밍업과 쿨다운 

02 피트니스 프로그램 

무분할 피트니스 프로그램 초급자 무분할 피트니스 프로그램 운동 적응기 및 디로딩용 순수 머신운동 | 기구운동 1단계 | 기구운동 2단계 | 홈트레이닝 1단계 | 홈트레이닝 2단계 | 중급자 전신 무분할 피트니스 프로그램 | 체중감량을 위한 전신 서킷 트레이닝 맨몸운동 1단계 | 맨몸운동 2단계 | 기구운동 | 분할 피트니스 프로그램 2분할 피트니스 프로그램 초・중급자 상・하체 2분할 기구운동 | 중급자 상・하체 2분할 홈트레이닝 | 3분할 피트니스 프로그램 | 4, 5분할 피트니스 프로그램 | 복합분할 프로그램 

03 스트렝스 프로그램 

스트렝스 프로그램의 특징 왕초보 리프터의 중량은 어디서부터 시작할까? | 스트렝스 트레이닝이라고 다 같지 않다 | 스트렝스 프로그램의 구성 | 스트렝스 초급 프로그램 스트렝스 초급 1단계 | 스트렝스 초급 2단계 | 스트렝스 중급 상‧하체 분할 프로그램 스트렝스 중급 1단계 | 스트렝스 중급 2단계 | 스트렝스 고급 프로그램 1일 1종목 집중훈련 프로그램 | 파워리프팅 12주 프로그램 | 고중량 스팟 프로그램 | 해외의 대표적인 스트렝스 루틴 빌 스타의 5×5 루틴 | 기타 5×5 루틴 스트렝스 루틴 | 마크 리피토의 루틴 | 텍사스 메소드 | 웨스트사이드 바벨의 변화형 메소드 | 쉐이코의 루틴 | 짐 웬들러의 5/3/1 루틴 | 캔디토의 루틴 

04 하이브리드 프로그램 

근부피 향상을 위한 일일 추가 프로그램 | 파워/스트렝스 복합 프로그램 | 근부피/스트렝스 복합 프로그램 | 월간 하이브리드 프로그램  

 

⁕ 쉬어가기

달리기를 잘하고 싶어요! | 체지방이 많으면 힘이 셀까? | 거울의 마법 | 치느님과 함께하는 맛있는 해부학1 | 벤치에서 바벨에 깔렸을 때, 어떻게 할까? | 내가 조인 나사를 왜 내가 못 풀까? | 겉근육과 속근육의 밸런스 | 고깃집에서 즐기는 해부학 시간 | 복근, 그것이 알고 싶다 | 치느님과 함께하는 맛있는 해부학2 | 풀 스쿼트를 할까, 하프 스쿼트를 할까? | 하이바와 로우바, 허리 부담이 더 큰 쪽은? | 맨몸 스쿼트가 더 어렵다? | 스미스머신을 피해야 할 운동 vs 오히려 유리한 운동 | 햄스트링과 종아리에서 쥐를 몰아내는 법 | 종아리는 가늘어지기도, 굵어지기도 어렵다 | 데드리프트는 상체운동에 넣을까, 하체운동에 넣을까? | 저중량으로도 근부피 운동이 될까? | 운동에서 수확체감의 원칙과 한계효용의 원칙 | 기록하는 습관 

 

⁕ 더 생각해보기 

악력에 숨은 비밀 | 엉덩이 말림 | 반복수에서 1-3-5-12는 뭘 의미할까? | 스트렝스 트레이닝에서 반복수와 세트수는 어떻게 잡을까? 

 

• 주간 운동 기록표 

• 주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수피
운동 좀 한다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수피'라는 이름만으로도 신뢰하는 파워 블로거다. 상식이 통하는 합리적인 운동을 지향하는 '수피의 健_강한 운동 이야기'를 17년째 운영해오고 있다.
수피는 운동선수도, 전문 트레이너도 아니다. 유학 시절에 접한 조정을 시작으로 27여 년간 피트니스, 수영, 마라톤, 격투기 등 여러 운동을 거치며 아마추어리즘에 입각한 사회 운동인으로 활동해왔다. 운동신경이 좋은 몸을 타고난 것도 아니고, 공학도 출신 사회인으로 시작한 운동이다 보니 그 자신도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었다. 그래서 실전운동 못지않게 이론을 파고들었다. 과학적 원리를 중시하고 궁금하면 직접 부딪쳐서 끝을 봐야 직성이 풀리는 성격 탓에 국내에서 쉽게 찾아볼 수 없는 해외 논문이나 저널까지 폭넓게 섭렵했다. 과학적인 바탕과 꼼꼼한 정보력, 상식을 최우선하는 원칙, 가려운 곳을 시원하게 긁어주는 재치 있는 글솜씨로 운동역학, 운동생리학의 복잡한 내용도 상식선에서 쉽고 재미있게 풀어준다.
현재는 운동 저널리스트 겸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매일 아침 달리기를 하고, 일주일에 4일 이상 근력운동을 하며, 날마다 공부하고 글을 쓴다. '타사우프'라는 필명으로 유명 온라인 사이트에 소설을 연재하는 특이한 취미도 갖고 있다.
누구나 쉽게 읽을 수 있는 운동학과 영양학의 기본 원리를 담은 책이 《헬스의 정석-이론편》이었다면 근력운동편에서는 실전운동을 다룬다. 구체적인 운동방법뿐 아니라 자신에게 최적화하여 운동할 수 있도록 운동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방법까지 친절하게 안내했다.

저자 블로그 http://blog.naver.com/kiltie999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